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비평
· ISBN : 9791191803372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4-12-24
책 소개
목차
요시유키 준노스케: 《모래 위의 식물군》/ 〈취우〉/ 《해 질 녘까지》
참을 수 없는 현실감 부재
성의 구도자, 1960년대에는 가능했을지 모르지만…
삭제하며 읽는 불필요한 장치들
여성혐오자의 엄청난 거짓말
쾌락에 젖은 신음, 심화되는 여성혐오
통속적인 소시민의 사소한 모험
작가의 자의식 과잉이 드러나는 〈취우〉
격차 게임: 인형사와 인형
환호하는 남자들과 이론으로 무장하는 여자들
체제 옹호로 이어지는 왜소한 자아
시마오 도시오: 《죽음의 가시》
고대의 무녀인가, 근대의 여성인가
죽지 못하는 남자의 애매함과 성실함
병의 왕복기로 읽는 《죽음의 가시》
표현과 체험 사이
문체의 힘과 이형의 타자
근대 성애의 이중구속
애인과 아내: 진보된 근대성과 뒤처진 근대성
사랑의 순교인가, 이해타산인가
《죽음의 가시》는 포스트 《무희》다
다니자키 준이치로: 《미친 사랑》/ 《만》
문체의 불쾌함에 대하여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정말로 성을 그리는가
카테고리로서의 여자, 애완동물로서의 사랑
타인이 욕망하는 것에 끌리는 법
여자는 어떻게 페미니스트가 되는가
풍자로서의 《미친 사랑》
다니자키의 애욕은 무섭지 않다
마조히즘적 인격, 반증으로서의 승리
윤리의식이 결여된 세계의 성애
고지마 노부오: 《포옹가족》
‘미국’이라는 기호 없이
에토 준과 《성숙과 상실》
흘러넘치는 찝찝한 풍요로움
넘쳐나는 성적 메타포와 부당하게 그려지는 여성
용서와 화해의 어중간한 그로테스크함
고독해질 수 없는 남녀
일본의 카미유 클로델
비평가의 역량은 20년 뒤 드러난다
무라카미 하루키: 《노르웨이의 숲》
와타나베 군은 블랙홀
여성의 리얼리티
작가론보다 독자론을 유발하는 무라카미 하루키
‘이런이런’ 와타나베 군의 리얼리티
섹스 장면이 많다, 죽는 사람도 많다
거리를 좁히지 않는다는 원죄
커뮤니케이션과 연애의 불가능성
반복되는 리듬, 짧은 문장
관계 맺지 못하는 시대, 관계 맺지 못하는 연애소설
미시마 유키오: 《교코의 집》/ 《가면의 고백》/ 《금색》
주제로서의 권태, 지루한 독자
미시마 유키오가 동시대에 보낸 것
《가면의 고백》이 동성애 소설이 아닌 까닭
축제가 끝난 뒤를 살아가는 세대
결혼이 미시마 유키오를 죽였나
시대의 호모포비아가 선택한 논리적인 죽음
여성혐오의 본질, 도움이 되는 자신이 싫다
미시마 유키오의 할복자살
몸과 정신의 상극, 안티 리얼리티
슬프고도 짧은 만남
미시마 유키오의 르상티망
스모 선수와 미소년으로 양분된 취향
성에서 인격이나 구도를 찾으려 했던 기묘한 시대
후기
우에노 지즈코 - 문학이라는 연못에 페미니즘 비평이라는 돌을 던지다
오구라 지카코 - 하나에의 길
도미오카 다에코 - ‘여성’이 부재했던 시대를 지나 비평의 안드로지너스로
문고판 후기
우에노 지즈코 - 축제가 끝나고
오구라 지카코 - 출구는 있다
도미오카 다에코 - 시대라는 일꾼
리뷰
책속에서
우에노: 오쿠모토 다이사부로가 아주 명쾌하게 이야기했죠. ‘요시유키 준노스케의 여성 독자가 많아졌다고 한다. 내 주변에도 그의 작품을 애독하는 여성이 적지 않고, 작가 본인도 여고생에게 편지를 받은 적이 있다고 어느 대담에서 겸연쩍은 듯 말했다. 전혀 예상치 못한 사태는 아니지만, 이는 사냥꾼의 총포 끝에 작은 새가 앉은 경우라고나 할까. 내가 이렇게 느끼는 건, 요시유키 준노스케가 틀림없이 여성혐오 사상의 계보에 위치한 작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면서 이렇게 덧붙여요. ‘여성혐오 사상을 가진 자들의 약점이란 도무지 여자에게 무관심해질 수 없다는 점이다.’
우에노: 애욕 속에서 스러지는 게 스이의 극치잖아요. 여자가 아니라 자신의 관념에 의해 스스로 스러지는 거니까요. 그러니 마스터베이션을 과도하게 하다가 죽는 수컷 원숭이가 느끼는 희열과도 통하죠.
도미오카: 그럼 이 작가에게 여성이란 뭘까요?
우에노: 마스터베이션의 도구죠. 쾌락 장치. 거대한 구멍이 뚫린 어둠으로 존재하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