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옵.신 10

옵.신 10

김성희, 김신우, 레자 네가레스타니, 루카 츠베트코비치, 루테 메르크, 마리아 헤레스, 마텐 스팽베르크, 베르너 하마허, 서현석, 아르민 호크미, 안 쥐랭, 안나 페르손, 알레한드라 폼보 수, 알렉산더 가르시아 뒤트만, 이경후, 제니퍼 이벳 테럴, 클라라 아마랄, 토르 린드스트란드, 트리스탕 가르시아, 호영 (지은이)
작업실유령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50원
20,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옵.신 1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옵.신 10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94232056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11-01

책 소개

무대(scene)에서 벗어나(ob-) 삶과 예술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기를 제안하는 저널 『옵.신』 10호는 “주체 소거의 가능성”, 즉 주체와 자아가 형성되는 과정을 의심하고 주체성의 원환에 발생하는 균열의 문제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목차

기획자의 말 — 마텐 스팽베르크
기획자의 말 — 서현석

안나 페르손: 신체 드로잉

마리아 헤레스: 사물들의 생태학
안 밖 — 마리아 헤레스

트리스탕 가르시아: 끝이 없는 강도들
마텐을 위한 첫 단상 — 트리스탕 가르시아

토르 린드스트란드: 악의를 고집하기

루테 메르크: 연막과 테네브리즘

베르너 하마허: 뒤집히고 또 뒤집힌 항아리
항아리(발췌) — 베르너 하마허

알레한드라 폼보 수: 전략적인 우회

메테 에드바르센: 의미의 모호성
페넬로페는 잠잔다 — 메테 에드바르센

이경후: 번역가의 과제 2

알렉산더 가르시아 뒤트만: 경험의 경험
예술에서의 판단하기 — 알렉산더 가르시아 뒤트만

안 쥐랭: 환상의 해부학
환상의 해부학 수업 #1. 혀에 관한 강의 —안 쥐랭

루카 츠베트코비치: 우연 속에 길을 잃은 키스
어느 것이든 — 루카 츠베트코비치

클라라 아마랄: 책다움 연기하기
거꾸로 적힌 춤으로서의 텍스트 — 클라라 아마랄

제니퍼 이벳 테럴: 전적으로 다른 이미지 체제

마텐 스팽베르크: 확장된 생태학
단상들 — 마텐 스팽베르크

레자 네가레스타니: 무한성과 친구 되기
우발성과 공모 — 레자 네가레스타니

저자소개

서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상, 퍼포먼스, 글쓰기를 통해 공간과 감각에 관한 탐구를 진행한다. 장소 기반의 퍼포먼스와 전시를 통해 ‘작품’ 및 체험의 경계를 질문하는 형식을 실험하는 한편, 아시아에서의 국가 형성과 모더니즘 건축의 관계를 탐색하는 작품들을 만든다. 『미래 예술』 (2016)과 『Horror to the Extreme: Changing Boundaries in Asian Cinema』 (2009)를 공동으로 썼고, 비정기 간행물 『옵.신』을 만들고 있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화를 가르친다.
펼치기
서현석의 다른 책 >
베르너 하마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최초로 비교문학과를 창설한 베를린자유대학에서 당대를 풍미한 문학이론가 페터 손디의 지도 아래 횔덜린 시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자크 데리다의 초청을 받아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1976년 헤겔의 청년기 저작 『기독교의 정신』을 편집·출간하면서 일종의 주석으로 집필한 논고 「충만: 헤겔의 독서 개념에 대하여」를 베를린자유대학에 박사학위논문으로 제출했다. 당시 심사위원 중 한 명이던 폴 드 만은 “단순한 헤겔 주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립적인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라고 평했다. 1984년부터 존스홉킨스대학 독문과와 인문학부에 재직하며 피터 펜브스, 게르하르트 리히터, 대니얼 헬러-로즌 등의 걸출한 제자들을 길러냈고, 1998년 프랑크푸르트대학으로 옮겨 가 비교문학과를 창설했다. 스위스에 위치한 유럽대학원학교의 에마뉘엘 레비나스 교수직을 겸했으며, 2003년 이후 비정기적으로 뉴욕대학 독문과에서 방문 석좌교수로 일했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와 폴 드 만의 『독서의 알레고리』를 독일어로 번역했으며, 1993년부터 작고할 때까지 스탠퍼드대학 출판부에서 간행하는 <자오선: 횡단하는 미학> 총서 책임 편집자로 활동했다. 2000년 이후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변별되는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하면서 ‘문헌학’의 이념에 깊이 천착했으며, 이 노력은 『문헌학, 극소』를 통해 하나의 작은 결실을 맺게 된다. 이에 하마허의 제자와 친구들은 합심하여 2019년 『언어를 주기: 하마허의 문헌학을 향한 95개 테제에 대한 응답들』이라는 논문집을 펴냈는데, 거기에는 하마허의 장대한 답변도 함께 실려 있다. 그의 많은 유작 가운데 『언어정의Sprachgerechtigkeit』 『함께 없이 함께Mit ohne Mit』 『단 한 번도 한 번에Keinmaleins』 『남아 있는 할 말Was zu sagen bleibt』 등이 출간되어 있다. 절친한 벗이었던 철학자 장-뤽 낭시는 그를 이렇게 추모했다. “하마허는 [하찮은] 벌레 앞에서 몸을 굽히는 강력한 거인이다.”
펼치기
김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다원예술 축제 페스티벌 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옵/신 페스티벌 등의 예술감독을 역임했고, 『미래 예술』(2016년)을 공동으로 썼으며 『불가능한 춤』(2020년),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2023년)을 기획, 편집했다.
펼치기
마텐 스팽베르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러 영역에 걸쳐 활동하는 안무가, 무용 이론가. 확장된 영역에서의 안무, 다양한 형식과 표현을 통한 안무의 실험적 실천 등이 주된 관심사이며 다층적 형식을 띤 실험적 실천을 통해 이 문제들에 접근해 왔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스톡홀름의 무용 대학교에서 안무학을 이끌었고 2011년 『스펭베르크주의』를 출간했다. 최근에는 생태학과 후기 인류세 미학에 관한 작업을 발표하고 있다.
펼치기
레자 네가레스타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에서 활동 중인 이란의 철학자. 사변적 실재론에 관한 작업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지능의 철학과 현대 지식 체계의 진화에 관심을 둔다. 비영리 교육기관인 신(新) 연구실천센터(New Centre for Research & Practice)에서 비판철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어와 영어를 오가며 번역하고 글을 쓴다. 책 『남은 인생은요?』(성 지음), 『You Have Reached the End of the Future』(황인찬 지음)와 앨범 『신의 놀이』(이랑)의 가사 등을 번역했고, 산문집 『전부 취소』를 썼다. 웹사이트 hoyoung.info.
펼치기
루카 츠베트코비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르비아 벨그라드에서 활동 중인 창작자. 제네바의 예술디자인학교 (HEAD)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비디오, 텍스트, 퍼포먼스, 설치 등의 작업을 통해 권력, 경계, 잠재성 등의 주제를 탐색하고 있다.
펼치기
루테 메르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에서 활동 중인 리투아니아의 화가. 아카데미 회화 전통을 적용하여 매개화된 세계의 물적 재현에 발생하는 결함들이나 인지 자본주의 조건 아래의 정체성 통합을 모방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펼치기
마리아 헤레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드리드에서 활동 중인 창작자. 퍼포먼스, 영화, 시각 매체에 걸쳐 현존의 역학,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 이미지 제작을 연결하는 작업들을 하고 있다.
펼치기
아르민 호크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란 안무가. 형식적 전형의 호환성과 서구 미학 고전의 군림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 이슬람 이전의 신화에 매료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시라즈’는 형식과 내용, 그리고 정치적 맥락 사이의 관계를 교란한다.
펼치기
안 쥐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빈에서 활동 중인 프랑스의 안무가, 연구자이자 펠든크라이스 요법 수행자. 안무의 개념을 확장하고 사적 행위와 공적 행위의 경계를 교란하는 작업을 통해, 신체 및 감각 체계, 근감각과 에로티시즘을 탐구하고 있다.
펼치기
안나 페르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웨덴의 무용수. 무용, 안무, 시각예술의 접점에서 작업한다. 신체 창작에서 출발해 드로잉을 넘나들면서 이미지의 존재론과 움직임의 순간성을 탐색하고 있다.
펼치기
알레한드라 폼보 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페인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에서 활동 중인 창작자. 동시대 미술에서 퍼포먼스를 수용함에 있어서의 역설에 관한 논문으로 미술 박사 학위를 받았고, 조형예술, 시청각예술, 퍼포먼스를 오가며 창작하고 있다.
펼치기
알렉산더 가르시아 뒤트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의 철학자. 프랑스에서 자크 데리다에게 수학했고, 예술 체험에 관한 해체주의적 연구를 진행했다. 베를린예술대학교의 미학 및 예술 이론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제니퍼 이벳 테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자, 창작자. 엘파소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아프리카의 정치, 페미니즘, 퀴어, 탈식민주의 등의 주제에 관해 연구했다.
펼치기
클라라 아마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암스테르담에서 활동 중인 포르투갈의 창작자. 주로 텍스트와 퍼포먼스로 작업하며, 글쓰기가 지닌 퍼포먼스적 성격과 새로운 출판의 형식 등을 탐구한다. 오브제, 퍼포먼스, 아카이브, 기억의 공간 등으로서 책을 만들고 있다.
펼치기
토르 린드스트란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톡홀름에서 활동 중인 스웨덴의 건축가이자 창작자. 라르손 린드스트란드 팜 건축사무소를 공동 운영 중이며, 콘스트파크 미술공예 디자인대학교에서 공간 디자인 석사과정의 학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트리스탕 가르시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소설가. 장물랭 리옹3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친다. 지은 책으로 『형식과 대상: 사물에 관한 논고』(Forme et objet. Un traite des choses, 2011년)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옵.신』 10호의 출발점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주체 소거의 가능성, 말하자면 개별 존재?그것이 인간, 동물, 식물, 심지어 무생물이든 간에?를 그 존재로 유지시키는 무언가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다. (마텐 스팽베르크, 「기획자의 말」)


질문과 통찰의 용광로 속에서 그가 기회가 될 때마다 곱씹는 하나의 일관된 지향점은 ‘주체를 폐기’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창작자로서 그가 실천하는 기본적인 태도로 전제되기도 하고, 저항과 변화의 전략을 예리하게 보듬을 때마다 결정적인 조건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토론의 큰 주제로 부각되지는 않더라도 모든 교류의 결정적 유전자로서, 생각과 태도의 타협 없는 토대로서, 말 사이와 행동의 궤적을 은은하고도 강력한 오라(aura)처럼 맴돌곤 했다. 그리고 이는 열 번째 『옵.신』의 출발점이 되었다. (서현석, 「기획자의 말」)


그들은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 건지 모른다. 천은 그들의 몸을 묵직하게 덮고 있다. 그들은 어떤 상황인지, 몇 명인지, 어디에 있는 건지, 누구인지 궁금해한다. 그들은 덮여 있고 관을 통해 호흡한다. 천 밑에 있는 것이 인간인지 자동화 기계인지, 수가 여럿인지 0인지, 움직임은 내부에서 나오는지 다른 곳에서 통제되는 것인지 알기 어렵다. 덥다. 그들은 불확실성에, 답을 내지 못하고 형태를 알아볼 수 없는 상태에 직면한다. 그들은 불가능한 자세로 움직이지 않으며, 산소 부족으로 의식 변형이 유발된다. 그들은 스스로를 포기한다. (마리아 헤레스, 「안 밖」)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