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9119808466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5-09
책 소개
목차
1. 기후 돌봄 선언 우석영 외
2. 기후 회복력의 시대, 돌봄의 확장 신지혜
기후변화 대응에서 회복력과 돌봄의 의미
돌봄 대상의 확장━취약한 자 모두가 돌봄 대상이다
돌봄 공간의 확장─돌봄 관계자 간의 거리와 관계의 확장
돌봄 방식의 확장─취약성,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지와 포용
회복력 시대의 돌봄, 기후 돌봄
3. 지역공동체에서 시작하는 기후 돌봄 한윤정
돌봄을 삶과 사회의 중심에 둔다는 것
기후 회복력 강화와 기후 돌봄
풀뿌리 민주주의, 지역공동체, 지역 기후 돌봄
기후돌봄공동체의 가능성━서울의 세 사례를 중심으로
난잡하게 관계 맺기─부정적 커먼즈에 주목하라
4. 인류세의 비인간 돌봄 우석영
인류세, 테크노스피어, 비인간 존재
친족의 확장━‘누구/무엇까지’라는 문제
비인간/인간에 대한 이해━‘왜’라는 문제
상품 친교와 상품 돌봄─새로운 욕망의 분화구
결론─돌봄 × 창작의 땅으로
5. 돌봄과 탈성장─땅과 공통하며 미래로 돌아가기 권범철
탈성장의 의미
탈주로서의 탈성장
구성으로서의 탈성장
도시를 시골화하기
미래로 돌아가기와 새로운 친족 만들기
6. 기후 돌봄의 정치, 로컬에서 실천하기 이재경
서론
인간과 비인간을 통합하는 기후 돌봄의 정치
기후 돌봄 정치의 진지로서의 지역
지역 기후 돌봄 정치, 그 구체적 대안
저감과 적응, 두 갈래 기후정치/정책의 병행
결론
7. 한살림 생명운동으로 본 생태적 돌봄 조미성
들어가며─생태적 돌봄
한국 생명 담론에서의 돌봄─모심과 살림
유기농업─땅과 생명을 돌보기
한살림 돌봄운동의 지향과 실천
지역사회 생태적 돌봄을 위한 한살림 돌봄운동의 과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간과 생물, 즉 중생衆生이 전반적으로, 또 갑작스러운 방식으로 취약해지는 기후재난 상황 역시 이러한 양면적 의미의 돌봄 노동을 호출하는 국면으로 이해해야 한다. 불어난 강물에 휩쓸린 인체나 소의 신체, 토사에 휩싸이거나 태풍에 산산조각이 난 주택과 가구, 몇 시간 만에 거주지를 잃고 졸지에 난민 신세가 되고 만 인간, 폭염에 노출되어 열사병으로 쓰러진 건설 노동자의 신체…기후재난 상황 속에서 취약해진 자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이러한 각양각색의 몸들은 즉각적인 돌봄 노동을 필요로 한다.
기후재난 상황, 나아가 빈번한 기후재난이 예상되는 작금의 위기 상황에서 요청되는 돌봄을 ‘기후 돌봄’이라는 용어로 표현해보자고 우리는 제안한다. 그 최소한의 의미에서 기후 돌봄은 기후위기로 인해 삶 또는 자기실현이 어려워진
인간/비인간 약자들, 기후재난 상황에 처해 취약해진 인간/비인간 존재들을 돌보는 일을 뜻한다.
2024년 4월 9일, 유럽연합(이하 EU) 기상기구인 코페르니쿠스기후변화국(Cor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 이하 CCCS) 역시 충격적인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