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25504766
· 쪽수 : 295쪽
· 출판일 : 2006-12-29
책 소개
목차
강경애 탄생 100주년 기념 남.북 공동 논문집을 펴내며
남 l 일관된 민중 연대성과 항일 투쟁
강경애 문학의 탈식민성과 프로 문학 - 하정일
강경애 '소금'의 '붓질 분자' 복원과 북한 '복원'본의 비교 - 한만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와 여성 서사의 실현 - 하상일
식민지, 근대화 그리고 여성 - 홍기돈
강경애 문학의 여성성 - 서영인
<인간문제>의 문체 연구 - 전용호
북 l 민족 지성인들이 한결같이 평가하는 강경애
해방 전 프로레타리아 문학과 강경애의 소설 - 한중모
강경애의 소설작품에서 녀성 형상 - 김정웅
강경애의 작품 창작에 대한 자료적 고찰 - 오향숙
장편소설 <인간문제>에 대한 간단한 고찰 - 조웅철
시와 수필을 통해 본 강경애 - 김일수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시대에 있어서의 인간의 근본문제"를 해명할 데 대한 과제를 내세운 이 소설에서 일제를 몰아내고 조국 해방을 이룩하는 것이 조선 인민의 운명 개척에서 근본적 의의를 가진다는 사상을 밝히지 못한 것은 주요한 제한성이다. 당시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 밑에 있는 식민지 반봉건 사회엿고 우리 민족은 일제 침략자들의 파쑈적 폭압과 강도적 수탈로 생사존망의 기로에 놓여 있었던 것만큼 조선 인민 앞에 나선 가장 근본적이며 본질적인 문제는 일제 강점자들을 물리치고 조국을 해방하며 민족적 독립을 이룩하는 것이였다.
그러므로 소설에서 인민들의 운명 개척의 참다운 길을 밝히려면 사람들에게 민족자주의식을 높여주고 그들을 반일 민족 해방투쟁에로 불러일으킬 데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해명하는 데 선차적ㅇ니 힘을 넣어야 할 것이였다. 그런데 소설에서는 반일 사상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것보다도 가난한 근로인민과 부유한 착취계급 사이의 모순과 대립, 지주에 대한 소작인들의 반항과 로동자들의 파업을 묘사하는 데 주되는 관심을 돌리였다. 소설에서는 순사부장과 군수를 등장시켜 '법'에 절대복종할 것을 강요하고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지 예속화 정책을 선전하는 대목을 비롯하여 민족적 모순과 반일 사상이 이러저러하게 표현되였지만 그것을 전개하고 심화시켜 나가지 못하였다. - 한중모, '해방 전 프로레타리아 문학과 강경애의 소설' 중에서
강경애 문학은 식민지 시대의 문학을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해석하는 데 있어서 많은 논란거리를 제공한다. 강경애는 빈궁과 간도 체험을 바탕으로 식민지 시대의 민중 현실에 대해서 당대의 어떤 여성 작가들보다도 깊이 있는 인식과 전망을 보여준 작가였다. 또한 그의 텍스트는 민족, 계급, 성의 범주가 이중 삼중으로 중첩된 복합적인 현실의 면모를 보여준다.
대표작인 <인간문제>를 비롯한 그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당대 하층계급의 삶이 어떻게 피식민국의 모순적 현실과 맞닿아 있는지를 고민하게 되고, 계급 담론과 민족 담론의 충돌 속에서 여전히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여성의 삶을 만나게 된다. 강경애는 하층계급 여성들을 서사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당대의 민중 현실이 여성문제와 만나는 접점에 관해 주목하도록 하엿으며 이는 예컨대, 결혼과 가정생활, 내면과 여성의 욕망의 문제에 집중한 당대의 여성 작가들, 그리고 계급 서사와 민족 서사 속에서 여성의 문제를 부수적인 것으로 배제해온 당대의 남성 작가들과 구분되는 강경애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이룬다.
강경애를 통해 우리는 계급 담론이나 민족 담론과 구분되어 논할 수 없는 젠더의 문제를, 중층적 현실의 핵심적 요소로서의 여성성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강경애의 작품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여성성에 관한 논란은 바로 이 서사의 복합성, 중층성에서 비롯된다. - 서영인, '강영애 문학의 여성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