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번암집 13

번암집 13

채제공 (지은이), 정문채, 김정기, 이유찬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번암집 1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번암집 13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28408672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번암집》은 조선 후기의 문신 채제공(蔡濟恭)의 시문집이다. 채제공은 이황(李滉), 정구(鄭逑), 허목(許穆), 이익(李瀷)을 이은 청남(淸南)의 영수로서, 노소론 당쟁의 와중에서 탕평을 표방한 영조와 정조의 신임을 받았다.

목차

일러두기∙4

번암집 제50권

묘갈명墓碣銘
통정대부 수 황해도 관찰사 정공 묘갈명 通政大夫守黃海道觀察使鄭公墓碣銘∙11
통훈대부 행 홍문관교리 지제교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편수관 제산 김공 묘갈명通訓大夫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編修官霽山金公墓碣銘∙30
구사당 김공 묘갈명 九思堂金公墓碣銘∙49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구호 이공 묘갈명 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龜湖李公墓碣銘∙60
증 이조 참판 행 호조 좌랑 이공 묘갈명 贈吏曹參判行戶曹佐郞李公墓碣銘∙75
찰방 이공 묘갈명 察訪李公墓碣銘∙81
가의대부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노공 묘갈명 嘉義大夫慶尙左道兵馬節度使盧公墓碣銘∙87
외조고 증 이조 판서 행 형조 정랑 이공 묘갈명 外祖考贈吏曹判書行刑曹正郞李公墓碣銘∙103

번암집 제51권

묘갈명墓碣銘
성호 이 선생 묘갈명 星湖李先生墓碣銘∙113
보국숭록대부 겸 호조 판서 판의금부사 완양부원군 이공 묘갈명 輔國崇祿大夫兼戶曹判書判義禁府事完陽府院君李公墓碣銘∙128
정곡 조공 묘갈명 鼎谷曺公墓碣銘∙135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지제교 명고 정공 묘갈명 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知製敎鳴臯鄭公墓碣銘∙146
남애 김공 묘갈명 南厓金公墓碣銘∙159
통정대부 공조 참의 용와 유공 묘갈명 通政大夫工曹參議慵窩柳公墓碣銘∙164
통정대부 형조 참의 양파 유공 묘갈명 通政大夫刑曹參議陽坡柳公墓碣銘∙173
증 호조 좌랑 권공 묘갈명 贈戶曹佐郞權公墓碣銘∙180
통정대부 예조 참의 대산 이공 묘갈명 通政大夫禮曹參議大山李公墓碣銘∙185
통훈대부 행 세자시강원 필선 심공 묘갈명 通訓大夫行世子侍講院弼善沈公墓碣銘∙194

번암집 제52권

묘갈명墓碣銘
설월당 김공 묘갈명 雪月堂金公墓碣銘∙205
예문관 검열 증 홍문관 수찬 근시재 김공 묘갈명 藝文館檢閱贈弘文館修撰近始齋金公墓碣銘∙214
건원릉 참봉 김공 묘갈명 健元陵參奉金公墓碣銘∙224
증 이조 참판 행 통정대부 수 강원도 관찰사 경연당 이공 묘갈명 贈吏曹參判行通政大夫守江原道觀察使景淵堂李公墓碣銘∙231
대군사부 쌍봉 정공 묘갈명 大君師傅雙峯鄭公墓碣銘∙244
증 이조 참판 행 통정대부 병조 참의 지제교 정공 묘갈명 贈吏曹參判行通政大夫兵曹參議知製敎丁公墓碣銘∙250
오한 손공 묘갈명 聱漢孫公墓碣銘∙257
증 지평 대은 권공 묘갈명 贈持平臺隱權公墓碣銘∙264
충신 증 훈련원 정 손공 묘갈명 忠臣贈訓鍊院正孫公墓碣銘∙270
영릉 참봉 만와 김공 묘갈명 英陵參奉晩窩金公墓碣銘∙276
통훈대부 행 공조 좌랑 이공 묘갈명 通訓大夫行工曹佐郞李公墓碣銘∙281
증 참판 양공 묘갈명 贈參判梁公墓碣銘∙286
만취당 김공 묘갈명 晩翠堂金公墓碣銘∙290
통정대부 사간원 대사간 유공 묘갈명 通政大夫司諫院大司諫柳公墓碣銘∙297

번암집 제53권

묘갈명墓碣銘
현감 남계 이공 묘갈명 縣監南溪李公墓碣銘∙313
세마 권공 묘갈명 洗馬權公墓碣銘∙321
통훈대부 행 온양 군수 이공 묘갈명 通訓大夫行溫陽郡守李公墓碣銘∙326
통훈대부 행 사간원 정언 홍공 묘갈명 通訓大夫行司諫院正言洪公墓碣銘∙334
죽봉 권공 묘갈명 竹峯權公墓碣銘∙344
퇴곡 권공 묘갈명 退谷權公墓碣銘∙347
사물재 권공 묘갈명 四勿齋權公墓碣銘∙352
통훈대부 진주 목사 정공 묘갈명 通訓大夫晉州牧使丁公墓碣銘∙358
가선대부 함경북도 병마수군절도사 우공 묘갈명 嘉善大夫咸鏡北道兵馬水軍節度使禹公墓碣銘∙369
눌옹 이공 묘갈명 訥翁李公墓碣銘∙382
선교랑 행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 세자시강원설서 이공 묘갈명 宣敎郞行藝文館檢閱兼春秋館記事官世子侍講院說書李公墓碣銘∙393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지제교 경정 이공 묘갈명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知製敎敬亭李公墓碣銘∙404

저자소개

채제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0년(숙종46)~1799년(정조23).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이며,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1743년 문과 정시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임명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748년 11월 영조의 특명으로 시행한 한림소시(翰林召試)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예문관 사관이 되었고, 이후 대사간, 한성 판윤, 병조 판서, 예조 판서,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780년 역적 홍국영과의 친분, 사도세자에 대한 신원 주장으로 공격을 받자 사직하고, 명덕산(明德山)과 노량(鷺梁) 등지에서 은거하였다. 1788년 우의정이 되었으며 2년 후 좌의정으로 승진하면서 3년간 혼자 정승을 맡아 국정을 운영하였다. 영조가 사도세자의 죽음을 후회하여 기록한 〈금등(金縢)〉을 정조와 함께 보관할 유일한 신하로 채택될 만큼 두 국왕의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사후인 1801년 황사영 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1823년 영남만인소로 신원되었다. 문장은 소차(疏箚)에 능했고, 시풍은 위로는 이민구(李敏求)․허목(許穆), 아래로는 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문집으로 《번암집》이 있다.
펼치기
이유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6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경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대전 온지당에서 한학을 배웠다.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위원으로 《승정원일기》 번역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정문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실 번역위원이다.
펼치기
김정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와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문헌번역실 번역위원이며, 한국국학진흥원 영남선현문집번역 객원연구원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