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주정치와 균형외교

민주정치와 균형외교

(역동적 균형과 한국의 미래 1)

박찬욱, 김성국, 김경원, 한상진, 임동원 (지은이)
나남출판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000원 -0% 2,500원
100원
1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주정치와 균형외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주정치와 균형외교 (역동적 균형과 한국의 미래 1)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30081627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06-08-15

책 소개

'광복60주년기념 종합학술포럼'의 주제인 '역동적 균형과 선진한국'에 관한 논문을 엮었다. 북-미 관계 개선과 동북아 국제질서 안정에 한국의 균형적인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역정치의 균형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탈권위주의시대에 시민사회와 국가 간의 협치적-타협적 균형이 가진 중요성을 강조한다.

목차

제1권 민주정치와 균형외교

제1장 왜 역동적 균형인가? : 국민의식구조의 분석 - 한상진
제2장 21세기 한반도 평화구축의 과제 - 임동원
제3장 역동적 환경과 균형의 전략 : 대한민국의 대전환기 생존전략 - 김경원
제4장 지역균열의 해소와 균형정치 : 선거구제 개편 논의를 중심으로 - 박찬욱
제5장 역동적 시민사회와 균형적 국가발전 - 김성국
제6장 역동적 균형의 정치와 외교

제2권 새로운 성장동력과 균형발전

제1장 성장동력 강화와 균형성장 - 이승훈
제2장 선진통상국가의 구축 - 현오석
제3장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새로운 지평 - 임경순
제4장 중소기업의 발전조건과 정책 : 새로운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과 과제 - 조영삼
제5장 한국의 발전모델과 시장경제 - 이정우

제3권 사회통합과 균형성장

제1장 지방화시대의 과제와 전망 - 송기도
제2장 사회적 파트너십과 미래의 노사관계 - 최영기
제3장 한국형 사회복지의 실험과 패러다임의 전환 - 김상균
제4장 젠더재구조화의 양성평등 : 돌봄노동의 사회화를 중심으로 - 심영희
제5장 한국사회 균열구조와 생산적 제 3의 길 - 한상진

제4권 삶의 질과 지속가능한 발전

제1장 한국사회의 역동적 전환 : 위험사회에서 안전사회로 - 임현진.이재열
제2장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21세기 적정인구정책의 모색 - 전광희
제3장 산업적 근대화에서 생태적 탈근대화로 - 조명래
제4장 역동적 균형과 한국사회의 미래 - 이재열

저자소개

박찬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랭클린 마샬 대학 정치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과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세계정치학회 집행위원과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국회의 성공조건》(공저)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민주정치와 균형외교》(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찬욱의 다른 책 >
김성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부산에서 태어나 초중고를 마치고,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학사, 석사)을 공부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박사학위(The Political Economy of East European Relations with the USSR: A Historical and Time-Series Analysis, 1945-1979)를 취득한 후 부산대학교 사회학과(현재 명예교수)에서 불평등론, 이론, 사회사 등을 가르쳤다. 한국사회학회, 한국이론사회학회, 한국아나키즘학회, 한국지역사회학회, 한국동아시아사회학회, 한국해양사회학회의 회장 및 East Asian Sociological Association의 Korean President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중국 길림대학교 사회학과 객좌교수(2020-2025)로 있다. 대표 저서로는 A Quest for East Asian Sociologies(편저, 2014), 『잡종사회와 그 친구들: 아나키스트 자유주의 문명전환론』(2015), Handbook of Post-Western Sociology(편저, 2023) 등이, 논문으로는 “East Asian Community as Hybridization”(2014), ?유아유심 개인주의: 마음사회학을 위하여?(2018), “Toward an Ocean of Hybridisation: East Asian Connections”(2022) 등이 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평화의 책”(2016)과 대한민국학술원상(2017)을 수상했다. 부산 바닷가에 살며 태평양을 품에 안은 영도와 의열의 터 밀양을 즐겨 찾는다.
펼치기
김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윌리암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요크대학교, 뉴욕의 NYU, 고려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청와대 국제정치담당 특보, 대통령 비서실장, 주요엔 대사, 주미 대사, 사회과학원 원장을 지내고 2005년 현재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한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동적 균형과 한국의 미래 3>
펼치기
임동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평북 위원 출생으로 한국전쟁 시기에 월남하여 1957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문리대 철학과와 동 행정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인제대학교와 원광대학교에서 명예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서냉전시대인 1960년대에 육사 교수로서 「공산주의 비판」과 「대공전략론」을 강의했으며, 1970년대에 합참과 육군본부에서 자주국방을 위한 「율곡계획」을 수립하는 등 안보정책 분야에 기여했다. 28년간의 군복무를 마치고 육군소장으로 예편한 뒤 1980년대에 나이지리아 주재대사, 오스트레일리아 주재대사와 외교안보연구원장 등을 역임했다. 동서냉전이 종식된 1990년대 초 남북고위급회담 대표와 통일원 차관을 역임하며 남북협상을 통해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 등을 채택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1995년 초 아태평화재단 사무총장으로 김대중 이사장과 인연을 맺어 「김대중의 3단계 통일론」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김대중 대통령 정부(1998~2003)에서는 대통령 외교안보수석비서관, 통일부장관, 국가정보원장,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역을 역임하며 대북 화해·협력정책을 설계하고 시행하는 사령탑의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미국 및 일본과의 대북정책 공조를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했다. 2000년 6월에는 김대중 대통령 특사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6·15남북공동선언」을 채택하는 데 기여했다. 2002년 4월, 2003년 1월에 대통령 특사로 다시 평양을 방문해 남북관계를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45년간의 공직생활을 마치고 세종재단 이사장과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을 거쳐 현재 김대중평화센터 고문, 한반도평화포럼 명예이사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안보 분야 근무 시에는 보국훈장 삼일장과 보국훈장 천수장, 통일 분야 근무 시에는 황조 근정훈장과 청조 근정훈장을 받았다. 또한 한겨레통일문화상, 민족화해상(민화협), 심산상(김창숙), 임창순상(청명재단)과 백범통일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대표 저서로는 남북관계와 북핵문제 25년을 다룬 《피스메이커》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