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학과 종교

문학과 종교

발터 옌스, 한스 큉 (지은이), 김주연 (옮긴이)
문학과지성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학과 종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학과 종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88932035109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9-01-25

책 소개

문학과 종교에 비친 근대의 출발과 와해. 파스칼의 『팡세』에서 카프카의 『성』까지 문학평론가와 신학자가 펼치는 열여섯 편의 강론을 담았다. 파스칼에서 카프카에 이르기까지, 위대한 작가들의 경전적인 작품들에 드러난 복잡하지만 생생한 그리고 모순에 찬 근대 종교사를 주시한다.

목차

머리말 7

제1장 블레즈 파스칼, 『팡세』
한스 큉 근대의 개막과 종교 11
발터 옌스 “확실성! 확실성!” 36

제2장 안드레아스 그리피우스, 『시』
한스 큉 종교개혁 파문과 종교 55
발터 옌스 “칼이 쟁기로 바뀌고” 78

제3장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현자 나탄』
한스 큉 계몽주의 과정과 종교 103
발터 옌스 “예로부터 나탄과 나는 한마음” 127

제4장 프리드리히 횔덜린, 『찬가』
한스 큉 고대문화와 기독교의 화해로서의 종교 153
발터 옌스 “그리고 평화를 바라보라” 180

제5장 노발리스, 『기독교 혹은 유럽』
한스 큉 낭만주의 시정신에 비친 종교 207
발터 옌스 “포연 어린 전장의 평화대동제” 231

제6장 쇠렌 키르케고르, 『기독교 훈련』
한스 큉 기존질서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종교 259
발터 옌스 “지금, 수많은 순교자가 필요한 때” 284

제7장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한스 큉 무종교 항쟁과 종교 309
발터 옌스 “그러나 나는 보리라, 피살자가 부활하여 살해자를 껴안는 것을” 337

제8장 프란츠 카프카, 『성』
한스 큉 근대의 와해와 종교 361
발터 옌스 “인간을 타락시키지 말라” 386

꼬리말 411
참고문헌 415
옮긴이의 글 문학과 종교, 멀리 떨어져서 438

저자소개

발터 옌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3년 독일 함부르크 출생으로, 함부르크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독문학을 연구했다.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고전문헌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수사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소설로 『흰 손수건』 『아니다─피고들의 세계』 『잊혀진 얼굴들』 등이, 그 밖의 저서로 『문학사를 대신하여』 『현대 독일문학』 등이 있다. 레싱 상, 하인리히 하이네 상 등을 받았다.
펼치기
한스 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황청 부설 그레고리안 대학(Pontificia Universita Gregoriana)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후 1954년 가톨릭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리고 1960년에는 튀빙겐대학의 가톨릭 신학부 교수로 초빙되고, 1962년에는 신학적 역량을 인정받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자문위원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큉은 교회개혁을 주장하면서 교황청과 마찰을 빚었고, 결국 1979년 12월 15일 교황청의 신앙 교리성(信仰敎理省)은 공식적으로 그의 가톨릭 신학교수직을 박탈한다. 그러나 튀빙겐 대학은 에큐메니칼 신학부를 신설하고 큉을 교수로 초빙했으며, 교황청도 사제직은 면직하지 않았다. 큉은 튀빙겐대학교 에큐메니칼 신학부에서 은퇴한 후 글로벌 윤리재단(Global Ethic Foundation)의 의장을 역임했으며, 교회일치와 세계평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1년에는 유엔에 의해 ‘존경받는 세계인물’로 선정된다. 그의 주요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교회』(Die Kirche), 『그리스도인 실존』(Christ sein), 『하나님은 실존하는가?』 (Existiert Gott?), 『영원한 생명?』(Ewiges Leben?) 『기독교와 세계종교』(Christentum und Weltreligionen)
펼치기
김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버클리 대학과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독문학을 연구했다. 『문학과지성』 편집동인으로 활동했으며, 『그리운 문학 그리운 이름들』 『노발리스―낭만주의 기독교 메르헨』 등 최근까지 약 30여 권의 평론집과 연구서를 펴냈다. 30여 년간 숙명여대 독문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김환태평론문학상, 우경문화저술상, 팔봉비평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근대와 더불어 무슨 일이 종교에 일어났는가?


기독교 역사상 처음으로 파스칼 시대에 세계와 사회, 교회와 신학에 대한, 근본적으로 새로운 모델에 대한 새로운 파라디그마의 계기가 주어졌다. 그것은 원천적으로 신학과 교회 안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밖에서 왔다. 급속도로 “세속화하는” 세계로부터, 교회와 신학의 후견에서 “해방된” 사회로부터 온 것이었다. [……] 17세기까지 서양 문화는 가톨릭이든 프로테스탄트든 근본적으로 기독교에 의해 규정되고 관철되어왔다. 그러나 이제 정신생활은 교회와 관계없이(교회가 칸막이를 쳤으므로) 전개되었고 점점 교회와 등을 돌리게 되었다. 흔히 말하듯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 근대적 파라디그마의 “일급 개혁자들” 가운데서 파스칼이야말로 의심의 여지 없이 가장 예리하게 인간에 대한 중대 결론을 도출해냈고, 인간의 근본적 상반 감정을 비할 데 없이 명료하게 분석한 사람이다. 그는 인간 성격의 양면성을 모든 가능한 상황·관습·우연성 속을 파고들면서 냉정하게 묘사했다(그는 이미 키르케고르, 도스토옙스키, 니체, 프로이트와 카프카에 앞서 심리적으로 이 문제를 들추어낸 사람이다). 파스칼은 “반론으로 진실을 제기하는” 사상가, 탁월한 변증가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