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2817521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05-06
책 소개
목차
『일곱 문장으로 읽는 구약』
서론
1 창조 _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창세기 1:1
2 아브라함 _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 창세기 12:3
3 출애굽 _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출애굽기 20:2
4 다윗 _여호와께서 그의 마음에 맞는 사람을 구하여, 여호와께서 그를 그의 백성의 지도자로 삼으셨느니라. 사무엘상 13:14
5 예언서 _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은, 오직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미가 6:8
6 복음 _좋은 소식을 전하며…산을 넘는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 이사야 52:7
7 시편과 지혜서 _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시편 23:1
나눔 질문
주
성경 찾아보기
『일곱 문장으로 읽는 신약』
서론
1 성취 _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 마태복음 16:16
2 하나님 나라 _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마가복음 1:15
3 십자가 _인자가…죽임을 당하고 제삼일에 살아나야 하리라. 누가복음 9:22
4 은혜 _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에베소서 2:8-9
5 언약 _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베드로전서 2:9
6 성령 _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 로마서 8:9
7 완성 _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요한계시록 21:1
결론
나눔 질문
주
성경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일곱 문장으로 읽는 구약』
하나님은 창조하신 인간을 동산으로 데려와 그곳에 두시고, (말 그대로)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work it and take care of it) 하셨다. 창조 세계 내에서 인간의 다스림(창 1장)은, 인간이 창조 세계를 섬기는 형태(창 2장)로 나타나야 한다. 섬기는 왕권의 형태는 아주 명확하며, 의도적으로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심으로써 주님이자 선생인 자신의 지위를 드러내 보이신 예수님, 완벽한 인간이자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이 당연히 이러한 왕권의 완벽한 본이 되신다. 섬김을 통해 왕권을 행사하는 것, 그것이 바로 그리스도의 방식이다. 또한 우리의 방식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섬기고 지킨다는 말에서 전달되는 또 다른 의미에 주목해 보자. 이 말은 바로 제사장직과 관계된 표현으로, 레위기는 제사장과 레위 자손의 임무가 성막/성전에서 하나님을 섬기고 하나님이 그곳에서 맡기신 모든 것을 지키는 것이라고 거듭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도 창조 세계 안에서 왕의 역할뿐 아니라 제사장의 역할도 감당해야 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다스리는 권한도 있고 섬겨야 하는 책임도 있다.
_1장 창조
우리는 본래의 문맥 속에서 그 표현의 원어 뜻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영어로 ‘내 마음에 맞는 사람’(a man after my own heart)이라는 표현은 ‘내가 정말 좋아하는 사람, 나와 사이가 좋은 사람, 내 마음에 꼭 드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히브리어에서 마음은 정서와 감정의 중심이라기보다 의지와 결단의 자리라고 보아야 한다. 하나님은 다윗이 특별히 마음에 꼭 드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다(하나님은 나중에 다윗을 아주 혹독하게 훈련하실 것이다). 오히려 이 표현은, 다윗이 그 이전의 실패한 모든 사람과 달리(사무엘을 제외하고) 이스라엘 역사의 그 시점에 하나님의 계획과 뜻을 수행할 통치자가 되리라는 뜻이다. 정확히 이것이, 바울이 “나의 뜻을 모두 네가 이룰 것이다”(새번역)라는 이사야 44:28을 덧붙여 사무엘상 13:14을 인용하고 해석한 방식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래 다윗에 대한 기록인 이 네 번째 문장은 예수님께 훨씬 더 완벽하게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예수님은 하나님이 통치자로 임명하신 분이자, 실제로 하나님이 그분을 보내며 명하신 일을 모두 성취한 분이니 말이다. 바울은 아마도 이러한 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을 것이다.
_4장 다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