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37425486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05-12-26
책 소개
목차
개정판에 부쳐
초판 책머리에
권두시론
1부 운암(雲岩) 김성숙
1. 항일을 결심하고 집을 떠나다
2. 3.1 운동 참여와 투옥
3. 사회주의에 입문하다
4. 중국으로의 망명과 급진활동
5. 의열단의 김원봉과 손을 잡다
6. 조선의용대를 조직하다
7. 임정통합운동에 참여하다
8. 민족해방에 대비하여
9. 해방과 더불어 귀국하다
10. 임정 탈퇴와 민전 참여 - 탈퇴의 전말
11. 대한민국 건국 이후의 혁신운동
2부 소해(宵海) 장건상
1. 항일을 결심하고 일본과 미국에 유학하다
2. 임정의 참여와 이탈
3. 북경과 이르쿠츠크에서 공산주의에 접하다
4. 레닌을 만나 조선독립의 방략을 논의하다
5. 북경에서 투옥되다
6. 상해에서의 투옥과 국내로의 압송
7. 임정으로의 탈출
8. 연안에서 해방을 맞고 귀국하다
9. 민전과 근민당에서의 활동
10. 남-북협상에 참여하다
11. 대한민국 건국 이후의 혁신운동
3부 화암(華岩) 정현섭
1. 3.1 운동을 계기로 중국으로 망명하다
2. 무정부주의 운동에 참여하다
3. 파업과 일본화물배척을 주도하다
4. 상해와 북경에서 항일투쟁을 계속하다
5. 북만에서의 항일투쟁
6. 남화한인연맹을 발족시키다
7. 육삼정 의거와 서간단의 활동
8. 도립운동단체들 사이의 불화를 이겨내며
9. 한-중 합동유격대를 조직하다
10. 해방 직후 중국에서의 활동
11. 혁신운동가서로싀 만년
4부 청뢰(靑雷) 이강훈
1. 간도와 상해에서 시작한 항일활동
2. 다시 북간도에서
3. 김좌진 장군의 한 팔이 되다
4. 만주에서의 무정부주의 운동
5. 김좌진의 죽음을 보고 만주를 떠나다
6. 육삼정 의거로 15년 징역형을 받다
7. 해방 이후의 혁신-통일 운동
8. 원로 지도자로 독립운동사를 편찬하고 민족정기를 세우는 일에 앞장서다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사항)
책속에서
석방되어 나오시니 사회분위기가 어떻든가요?
- 사회주의 사상이 확 퍼져 있읍디다. 소련 사상이 국내에 많이 퍼져 있었지요. 만주에 갔던 사람들, 시베리아에 갔던 사람들, 상해로 갔던 사람들 가운데 꽤 많은 사람들이 들어와 비밀리에 사회주의 활동을 하고 있었어요. 나도 곧 그들과 접촉하게 되었는데, 특히 감옥에 있던 같이 있던 김사국(金思國)과 가까워졌습니다. - 본문 49~5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