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91185661391
· 쪽수 : 234쪽
· 출판일 : 2017-05-17
책 소개
목차
□ 프롤로그_사드 그 이후, 대한민국 한류의 길을 묻다_6
제1부 한류와 문화산업 정책
○ 한류 20년, 문화산업 정책 : 수출 지원과 문화교류를 중심으로_18
○ 사드, 그 이후 한류 정책에 대한 몇 가지 생각_44
○ 외교갈등의 볼모가 된 한류_56
·한류 핵심 소비 시장_일본과 중국_57
·압도적인 중국 문화산업 규모_거대 자본의 득과 실_63
·중국의 한한령_합작도 인력진출도 해답은 아니었다._69
_이 또한 지나가리라 vs. 기다리다가 지친다_76
·자국문화 보호정책의 확대_자생적 한류 수요는 안전한가?_78
○ 사드 이슈에 대한 엇갈린 입장과 언론보도_83
·부풀리기 식 한류 보도 행태_한국 언론이 문제를 키운다?_84
_정작 중국에서 공식화된 것은 없다_89
·중국의 이율배반적 대응 전략_금지를 부인하는 정부와 밀어붙이는 산업_93
·한국 정부의 '전략적 모호성'과 언론의 역할_101
○ 정치·외교 이슈와 한류 간의 역학관계_105
·한류의 국가 브랜드화_106
·문화의 산업화와 융합한류 패러다임_115
·융합한류 시대_한류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_131
_K 접두사만 붙이면 만사형통인가?_135
·경제적 가치 창출에 몰두하는 한류 산업_한류 가치의 상업화에 대한 반성_141
_한류의 경제적 가치와 측정 방법_144
○ 위기의 'K담론'과 지속가능한 한류를 위한 제언_153
·지금 한류는 위기인가? 아니면 기회인가?_154
·미래 한류에 대한 담론_162
1) 산업적 흐름의 차원_163
·한류의 ‘탈국적화’_순혈주의 한류로부터 ‘졸업’ ∥ 한류 리포지셔닝과 서브 브랜드 개발
2) 한류 창작 모델의 차원_186
·실리콘밸리 모델 | 미국과 영국 모델 ∥ 스위스 모델 ∥ 창의적 IP 육성 | 4차 산업 혁명 :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미래 한류 콘텐츠 육성
3) 사회 흐름의 차원_208
·결국은 쌍방향 교류다 ∥ 친한파 유학생 육성·관리_콘텐츠도 결국 '사람'이 중심 ∥ 쌍방향 교류를 위한 정부 역할의 재조정 ∥ 민간이 자생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중요 ∥ 그외 정부지원에 대한 미시적 접근_구체적인 정책믹스
·KOFICE 간행물 _ 236
·엮고 쓰다 _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