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15 위안부 합의 이대로는 안 된다

2015 위안부 합의 이대로는 안 된다

양현아, 이나영, 김창록, 조시현 (지은이)
경인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400원 -5% 2,500원
360원
13,5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15 위안부 합의 이대로는 안 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15 위안부 합의 이대로는 안 된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9942063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16-06-13

책 소개

2015년 12월 28일 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외교장관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관한 합의는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다. <2015 합의>의 실체가 무엇인지,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소상히 알리기 위해 기획되고 집필되었다.

목차

책을 내며

2015년 한일외교장관의 ‘위안부’ 문제 합의에서 피해자는 어디에 있(었)나? : 그 내용과 절차 ■ 양현아
Ⅰ. 머리말
Ⅱ. 일본군‘위안부’ 운동과 피해자의 위치
Ⅲ. 피해자권리에 관한 국제규범과 ‘2015 합의
Ⅳ. 다시 “피해자는 누구인가”
V. 맺음말: 개인적이고 집합적인 피해 회복을 위하여

「2015 한일 외교장관 합의」의 실체와 문제점 ■ 김창록
Ⅰ. 머리말
Ⅱ. 「2015 합의」에 이르기까지의 경과
Ⅲ. 「2015 합의」의 특정
Ⅳ. 「2015 합의」의 내용과 의미
Ⅴ. 「2015 합의」와 2011년 헌법재판소 결정
Ⅵ. 「2015 합의」의 효력 범위
Ⅶ. 맺음말

2015년 한일 외교장관 합의의 법적 함의 ■ 조시현
Ⅰ. 머리말
Ⅱ. 한일 합의는 국제법상 조약인가?
Ⅲ. 한일 합의 내용의 법적 검토
Ⅳ. 조약으로 가지 않은 이유 - 외교와 민주주의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일본군‘위안부’ 운동의 역사와 ‘2015 한일 합의’의 문제점 ■ 이나영
Ⅰ. 머리말
Ⅱ. 일본군‘위안부’ 운동의 역사와 의미
Ⅲ. ‘2015 한일외교장관 합의’: 당사자들의 열망을 무시한 무책임한 자들의 정치적 야합
Ⅳ. 시민사회의 대응: 운동의 계승과 열린 희망을 위한 결의

[부록]
일본군‘위안부’ 문제 연표 131
‘2015 합의’ 관련 자료

저자소개

양현아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편자 양현아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일반대학원, 교양교육에서 젠더법학을 강의해 왔다. 젠더 관점에서 본 한국가족법의 전통과 식민지성, 일본군 성노예제의 식민지성 등을 주제로 하여 ‘포스트식민 여성주의 법학’을 연구하고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저서로는 『한국가족법 읽기 – 전통, 식민지성, 젠더의 교차로에서』(창비, 2011)가 있고, 편저로는 『군대와 성평등』(경인문화사, 2009) 등이 있고, Law and Society in Korea (Edward Elgar, 2013), 공역서로는 『평등, 차이, 정의를 그리다 : 페미니즘 법이론』(서울대 출판문화원, 2019)과 Voices of the Korean Comfort Women – History Rewritten from Memories (Routledge, 2023)가 있다.
펼치기
이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College Park)에서 여성학으로 박사학위 취득. George Mason University 여성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부설 전쟁과여성인권센터 운영이사, 여성가족부 일본군 위안부 유네스코 등재 자문위원 등을 지냈고, 현재 일본군‘위안부’연구회 총무. 주요 논문으로 “한국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The Korean Women’s Movement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vigating between Nationalism and Feminism” 등. 주요 연구주제는 섹슈얼리티, 페미니즘 이론, 젠더와 민족주의, 탈식민주의.
펼치기
김창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법학 학사ㆍ석사ㆍ박사학위를 받음. 일본 토오쿄오(東京)대학 대학원 법학정치학연구과에서 수학함. 부산대학교 및 건국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음. Harvard-Yenching Institute Visiting Scholar, 대법원 사법개혁위원회 전문위원,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위원, 일본 리쯔메이칸(立命館)대학 객원교수, 법과사회이론학회 회장, 일본군‘위안부’연구회 회장,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 한국법사학회 회장 등을 지냄.
펼치기
조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법학사 및 석사학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국제법으로 박사학위 취득. ‘2000년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남북한공동검사단 검사, 성신여자대학교.건국대학교 부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식민법제 연구를 기획 중. 주요 논문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역사와 법적 책임”, “한일‘위압부’ 합의에 대한 하나의 결산” 등. 주요 연구주제는 일본군‘위안부’ 문제, 국제법사, 전쟁범죄, 식민법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