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고의 본질

사고의 본질

(유추, 지성의 연료와 불길)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에마뉘엘 상데 (지은이), 김태훈 (옮긴이), 최재천 (감수)
arte(아르테)
5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2,200원 -10% 0원
2,900원
49,300원 >
52,200원 -10% 0원
0원
52,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4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6,400원 -10% 2320원 39,440원 >

책 이미지

사고의 본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고의 본질 (유추, 지성의 연료와 불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50955670
· 쪽수 : 768쪽
· 출판일 : 2017-11-15

책 소개

‘유추’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한 두 학자의 지적 교류. <괴델, 에셔, 바흐>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와 파리 제8대학 인지 및 발달 심리학 교수인 에마뉘엘 상데 교수가 만나, 7년여에 걸친 사고 교환 끝에 완성된 책이다.

목차

저자의 말
프롤로그 유추, 인지의 핵심

1장 단어의 환기
2장 구절의 환기
3장 보이지 않는 유추의 드넓은 바다
4장 추상화와 범주 간 이월
5장 유추는 어떻게 우리를 조종하는가
6장 우리는 어떻게 유추를 조작하는가
7장 순진한 유추
8장 세상을 뒤흔든 유추
에피다이얼로그 인지의 핵심에 대한 논쟁

감수.해제 우리의 생각을 지배하는 메커니즘

주석
참고 문헌
색인

저자소개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1961년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아버지 로버트 호프스태터의 학문적 재능을 이어받아 일찍이 과학자의 길을 택했다. 1965년 스탠퍼드 대학교를 졸업했고 1975년에는 오리건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인디애나 대학교 컴퓨터학과, 미시간 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인공지능 연구에 몰두했다.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와 MIT 등 여러 대학교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인디애나 대학교 인지과학 및 컴퓨터 과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프린스턴 대학교 및 하버드 대학교에서 과학철학, 비교문학 및 심리학 분야의 객원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저서로는 《괴델, 에셔, 바흐Godel, Escher, Bach(GEB)》가 있다. GEB의 출간으로 1980년 퓰리처 상(일반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고, 같은 해에 전미(全美) 도서 대상을 석권했다.
펼치기
에마뉘엘 상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 제8대학교 인지 및 발달 심리학 교수이다. 이해력, 추론 및 지식 습득 과정을 연구하는 CRAC(Comprehension, Reason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실험실을 이끌고 있다. 유추 작용과 범주화, 그리고 인지 과정과 교육과의 연관성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유추, 순진한 것에서 창의적인 것까지Analogy, from the Naive to the Creative》가 있다.
펼치기
김태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문 번역가로서 인문·교양, 경제·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번역한다. 옮긴 책으로 《월가의 늑대 시장을 이겨라》, 《임팩트 플레이어》, 《티핑 포인트의 설계자들》, 《》,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최선의 고통》, 《사고의 본질》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최재천 (감수)    정보 더보기
초등학교 3학년 때 반장이 되어 리더로서 첫 경험을 쌓았다. 하지만 잘해내지 못해 선생님의 꾸중을 들었다. 군대에서 존댓말 문화를 확립하려 했다가 쓴맛을 보기도 했다. 체계적 훈련을 받았거나 타고난 리더는 아니다. 하지만 생태학자로서 집단생활 하는 동물들을 오래 관찰하면서 자연의 리더십을 배웠다.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한국생태학회장, 국립생태원 초대원장,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양심』 『숙론』 『최재천의 공부』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개미제국의 발견』 등을 썼다. 세계 동물행동학자 500여명을 이끌고 2019년 『동물행동학 백과사전』을 총괄 편찬했다. 2020년부터 유튜브 채널 ‘최재천의 아마존’을 개설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우리가 ‘범주’와 ‘범주화’라고 부르는 것은 어떤 뜻을 지닐까? 우리에게 범주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었고 때로는 느리게, 때로는 빠르게 진화하며, 조직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담아서 적절한 조건 아래 접근을 허용하는 관념적 구조물이다. 범주화는 머릿속에서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기존 범주에 연계시키는 잠정적이고 점진적이며 윤곽이 흐릿한 작업이다.
-프롤로그 | 유추, 인지의 핵심


유추 작용과 범주화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을 오도하는 것이다. 이 둘은 모두 잠재적으로 유용한 시각을 부여함으로써 우리가 마주치는 새로운 상황을 해석하기 위해 두 가지 정신적 개체 사이에 연결 고리를 만들기 때문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이런 정신 작용은 어떤 대상에 대한 아주 단순한 인지부터 인류의 지성에 대한 아주 원대한 기여에 이르는 범위를 포괄한다. 그래서 유추 작용은 단지 이따금 이루어지는 정신적 운동이 아니라 지각의 생명소 자체로서, 일상적인 지각(‘저것은 탁자다’)부터 절묘한 예술적 통찰과 (일반 상대성 원리 같은) 추상적인 과학적 발견까지 모든 층위에 퍼져 있다. 이 두 극단 사이에서 우리가 항상 수행하는 정신 작용, 즉 상황 해석, 다양한 대상에 대한 특성 판단, 결정, 새로운 대상에 대한 학습 같은 것이 존재하며, 이 모든 정신 작용은 동일한 근본적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프롤로그 | 유추, 인지의 핵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0973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