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럽의 정체

유럽의 정체

조홍식, 홍태영, 이옥연, 김준석, 요하네스 헬름라트, 메들린 호슬리, 윤비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1,150원
2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럽의 정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럽의 정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유럽
· ISBN : 978895211263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1-11-30

책 소개

본문에 실린 각 논문은 국내외 탁월한 역량의 연구자들에 의한 심도 있는 분석과 논의를 담고 있다. 중세의 유럽부터 오늘날의 유럽에 이르기까지 유럽의 역사, 이념, 문화, 경제, 법, 정치, 사회 등 흥미로운 주제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유럽의 정체를 이해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각을 제공했다.

목차

서문

제1장 중세의 유럽: 기독교 유럽의 문제
I. 유럽의 정체성을 찾아서
II. 중세의 유럽과 기독교
III. 유럽의 ‘자기 이미지’로서의 기독교 유럽
IV. 파생적 문화로서의 유럽
V. 두 개의 ‘파생성(secondarit?)’: 르네상스와 제국

제2장 유럽 여제(Europa Regina): 근대 초 의인화된 유럽의 알레고리와 정치적 레토릭
I. 인간신체의 메타포
II. 유럽의 의인화와 정치 레토릭
III. 맺음말

제3장 유럽적 근대성과 유럽적 가치의 형성
I. 문화적 개념으로서 ‘유럽’
II. 근대의 시공간으로서 국민국가
III. 정치적 구성으로서 네이션: 시민, 계급, 그리고 민족
IV. 국민경제(학)의 형성
V. 사회관계의 민주주의적 구성
VI. 유럽적 근대의 한계

제4장 프랑스-독일 관계의 변화와 유럽통합: 회고와 전망
I. 들어가며
II. 전후(戰後) 프랑스-독일 관계의 복원과 유럽통합의 기원: ECSC의 설립과정을 중심으로
III. 1960년대 프랑스-독일 관계의 진화와 유럽통합
IV. 유로화의 탄생과 프랑스-독일 관계
V. 프랑스-독일 관계와 유럽통합의 미래

제5장 유럽 화폐통합과 유로
I. 유럽과 유로
II. 유럽 화폐통합의 배경
III. 안정성장협약(SGP): 기원과 발전
IV. 유로와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한 도전
V. 유로의 전망: 금융위기와 금융 감독

제6장 화폐와 정체성: 유로와 유럽의 사례
I. 화폐와 정체성: 일국 일 통화(One Nation, One Currency)
II. 유럽 정체성 만들기
III. 경제통화연합(EMU)의 정치
IV. 유로의 효과와 한계
V. 화폐에서 공동체로?

제7장 유럽의 종교, 정치, 그리고 정체성
I. 유럽의 정체성 논의
II. 유럽의 다면성: 리스본 조약과 지역통합
III. 유럽의 다면성과 정체성
IV. 종교적 정체성, 정치적 정체성, 유럽의 정체성
V. 유럽을 그리다

부록
찾아보기
집필자 소개

저자소개

조홍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 Paris) 정치·경제·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럽 정치와 국제정치경제다. 대표 저서로 『22개 나라로 읽는 부의 세계사: 역사의 흐름을 지배한 7가지 부의 속성』(2022), 『자본주의 문명의 정치경제』(2020), 『문명의 그물: 유럽 문화의 파노라마』(2018) 등이 있다.
펼치기
홍태영 (감수)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이자 현 안보대학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1-22년 한국정치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유주의, 민족주의, 공화주의, 근대와 탈근대의 정치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국민국가의 정치학』(2008), 『정체성의 정치학』(2011), 『국민국가를 넘어서』(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중세 말-근세 초 유럽에서의 대안적 국가형성과정」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가톨릭학교 국제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유럽의 국가형성사와 국제정치사를 주로 공부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근대국가>(책세상), 「‘연방적 국가’의 탄생: 중세 말-근세 초 독일 국가형성과정의 재조명」, 「1차 세계대전의 교훈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등이 있다.
펼치기
요하네스 헬름라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4. 독일 쾰른(K?ln) 대학교 역사학과 역사학 학사 1995. 독일 쾰른(K?ln) 대학교 역사학과 역사학 박사 현재 독일 훔볼트(Humboldt) 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2002. Diffusion des Humanismus. Studien zur nationalen Geschichtsschreibung europ?ischer Humanisten. G?ttingen: Wallstein. 2009. Studien zur Medien und Sprachen humanistischer Geschichtsschreibung. Berlin: de Gruyter. 2011(예정). [mit Edition und Kommentar] Studien zu Reichstag und Rhetorik. Die Reichstagsreden des Enea Silvio Piccolomini 1454/55. 2 Teile, Habilitationsschrift K?ln. 1994.
펼치기
메들린 호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7.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정치학 학사 1992. 스위스 쌩갈렝(St. Gallen) 대학교 정치?경제?국제법 박사 현재 네덜란드 레이든(Leiden)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2005. The Euro: A Concise Introduction to European Monetary Integration. Boulder: Lynne Rienner. 2006. (Robert Thomson 공저) “Who Has Power in the EU? The Commission, Council and Parliament in Legislative Decision-Making,” Journal of Common Market Studies 44(1): 391-417. 2008. “Council Decision Rules and European Union Constitutional Design,” AUCO Czech Economic Review 2(1): 76-96. 2008. “Negotiating European Economics and Monetary Union,” Homo Oeconomicus 25(2): 203-223. 2010. (Christine Arnold 공저) “The Importance of Actor Cleavages in Negotiating the European Constitution,”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54: 615-633.
펼치기
윤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석사 과정을 마치고 독일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의 초청 장학생으로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훔볼트대학교에서 고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정치사상을 강의하고,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장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며, 현재 사회과학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 주목받는 정치학자로, 파리 고등사회과학원과 뉴욕대 레마르크 연구소, 에를랑겐-뉘른베르크 국제 인문사회 컨소시엄 등 여러 해외 연구기관의 초청을 받았다. 2021년 독일에서 출간한 《Wege zu Machiavelli(마키아벨리로 향하는 여러 갈래의 길)》을 비롯해 국제적 학술지와 연구서를 통해 마키아벨리 사상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 학계에서 21세기 가장 혁신적인 마키아벨리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2024년에는 서양 전근대 정치사상의 변동을 주제로 세계적 명성을 가진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아카데미 아인슈타인 홀에서 단독 강연을 했다. 최근에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 대한 기존 해석을 뒤집는 논문들을 연속으로 발표하며 국내외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2023년 가을 세계 석학들의 경연장인 베를린 고등연구원 펠로우로 선임되어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의 리더 30인과 독일에 머물며 세계 민주주의 위기의 원인과 해법을 연구했다. 이를 통해 ‘민주주의란 시민들의 의지와 실천을 통해 부단히 확장되고 진화하는 체제’라는 결론을 내렸다. 오늘날 국가는 국방뿐만 아니라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토머스 홉스는 국가를 ‘리바이어던’이라는 괴물에 비유했지만, 그것이 정말 괴물이 될지 아니면 선한 수호신이 될지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택에 달려있다. 권력이 시민의 감시와 견제를 벗어나는 순간, 국가는 언제든 ‘위험한’ 존재로 돌변할 수 있다. 이를 막고 국가를 선한 수호신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민주주의가 필요하다. 민주주의만이 국가를 통제할 유일한 힘이기 때문이다. 세계 민주주의의 쇠락과 그 풍랑 속에 갇힌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 다시금 ‘왜 우리에게 민주주의가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던질 때이다. 한국 민주주의가 지금의 한계를 넘어 질적으로 더 높은 단계로 진화하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저자의 다급한 목소리가 이 책에 담겨있다.
펼치기
윤비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유럽이 아직 기독교의 땅이었던 시절, 인간이 사는 이 대륙을 하나의 기독교 세계가 아우르든 그때 그 시절은 아름답고도 영광스러웠네….” 이 유명한 구절은 시인 노발리스(Novalis: George Friedrich Phlipp von Hardenberg; 1772~1801)가 1798년 쓴 에세이『기독교 세계 혹은 유럽(Die Christenheit oder Europa)』의 첫 시작 부분이다. 이 제목이 시사를 하는 바는 유럽을 이루는 것이 기독교 자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유럽과 기독교는 개념상으로 중첩되어 있다는 것이 그 주장이다. 노발리스가 ‘영광스런 시절’로 이상화하고 있는 시기, 종교개혁 이전의 통일된 교회 속에서 깊은 신앙과 조화롭고 질서 있는 사회 속에 유럽이 통합되어 있던 시기는 바로 중세이다. (제1장, 1면)


오스트리아의 역사가 볼프강 슈말레(Wolfgang Schmale)는 “유럽은 유럽을 거론하고, 서술하고, 그림으로 그리고, 돌로 새기는 바로 그곳에 있다.”라고 말했다. 이는 유럽이 처음부터 지리적·인종적·종교적 혹은 기타의 문화적인 요인을 근거로 하나의 완결된 실체로서 존재해 왔다는 생각에 대한 반박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유럽의 관념, 그것이 포괄하는 지리적 범위와 여기에 포함된 종교적·문화적·인종적 정체성에 대한 의식은 다양한 정치·경제·사회적 동기로부터 여러 개인과 집단이 벌인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역사 속에서 형성, 발전된 것이다. (제2장, 39면)


유럽이 만들어진 근대적 질서는 유럽에 한정되지 않고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제국주의적 침략을 통해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1789년 보편주의적 공화주의는 유럽에서 구현된 현실이 되었고, 그것은 다시 유럽 이외의 지역에 그 보편성을 구현하고자 했다. 유럽의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 개척을 통해 유럽의 근대적 모습을 동일하게 식민지에 이식하고자 했다. 이러한 일들이 19세기 이후 지속적으로 진행되었고, 비록 제국주의적 식민지 지배가 끝을 맺었다 하더라도 그 과정은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미 자본주의적 세계질서에 편입된 세계는 유럽과 미국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논리 속에서 작동하고 있다. (제3장, 305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