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5211340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2-06-20
책 소개
목차
사진으로 보는 손장순의 삶 ●3
이 책을 펴내면서 ●9
제1부 손장순과 그의 시대
한국문학의 1960, 1970년대와 손장순 문학의 의미 : 방민호
1. 1960, 1970년대 문학사가 잃어버린 것 ●18
2. ‘아프레게르’한 현실과 손장순 소설의 세대적 위치 ●20
3. 1960년대 한국사회의 혼종성과 손장순의 풍속소설 ●27
4. 리얼리즘이냐 풍속소설이냐 ― 손장순 소설에 나타난 상류층 인물들의 문제 ●37
5. 맺음말 ― 한국 현대문학사 연구의 맥락에서 본 손장순 소설 ●44
1960년대 여성 지식인의 ‘자유’담론과 미국 - 박순녀, 손장순, 박시정 소설을 중심으로 : 이선미
1. 1960년대 ‘근대화’와 여성 지식인 ●47
2. ‘이기적인 여성’과 ‘(연애)관계’의 주체 사이 ●54
3. 탕녀의 이미지와 사랑(=섹슈얼리티)의 주체 사이 ●63
4. ‘미국병’의 이면, 주체적 자아를 향한 마지막 비상구 ●70
5. 결론 ●79
프랑스 문학 사상 수용과 손장순 문학 : 장성규
1. 외국문학 수용의 문제와 ‘이식’에서 ‘전유’로의 전환 ●82
2. ‘아웃사이더’ 의식의 형성과 프랑스 여성주의의 변용 ●85
3. ‘낀-존재’로서의 여성의 자기 정체성 모색 ●91
4. 왜곡된 근대화 과정과 여성의 자각 ●95
5. 프랑스 문학 사상 수용과 산업화 시대의 여성문학 ●100
여성성의 모색을 통한 삶의 근원적 탐색 - 손장순의 19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이명희
1. 서론 ●103
2. 불신시대와 병리학적 증후군 ●105
3. 순수한 영혼과 자연의 만남 ●110
4. 여성의 삶을 통한 정체성 탐색 ●115
5. 결론 ●120
제2부 손장순의 문학과 삶
여성 주체의 세 가지 실존적 모험 - 손장순 장편소설의 변화양상 : 안서현
1. 들어가는 말: <한국인> 그리고 그 이후 ●126
2. 결혼(사랑): 권태와 고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불가능한 노력 ●129
3. 독립: 사랑의 갈등을 통한 역설적 자기 확인과 실존적 자유 인식 ●136
4. 야망: 여성의 사회적 자기실현과 삶의 균형 모색 ●140
5. 맺음말 ― 불가능한 모험을 권유하는 문학 ●149
아프레게르, 그리고 도저한 실존주의 : 박진숙
1. ‘아프레게르’, ‘아프레걸’의 자장 ●150
2. 전쟁 허무주의와 아메리카니즘, 소외되는 미국 유학생 ●156
3. 아프레게르의 전이 아프레걸, 예술을 추구하다 ●162
4. 아프레게르, 그리고 실존주의 ●171
현대소설의 도시생태적 독법에 대한 연구 - 손장순의 ??한국인??을 중심으로 : 전혜자
1. 손장순 ― ‘서울’의 메신저 ●174
2. ‘도넛 콤플렉스’의 서울 ●178
3. 미국 유학생 인텔리의 욕망과 갈등 ●182
4. 내면화된 타자의식의 부재 ●188
5. 나르시시즘적 글쓰기로서의 서울 ●194
불행, 성숙에 이르는 길 -<한국인>의 손장순론 : 장두영
1. 총체적 자화상으로서의 ‘한국인’ ●197
2. 실패하는 남녀의 결합에 관한 서사와 경쟁심 ●201
3. 인물적 서술 상황의 활용과 세태의 조망 ●208
4. 성숙의 계기로서의 불행과 한국인의 정체성 찾기 ●216
5. 지식인 인물을 통해 조망한 한국사회 ●223
여성 정체성 찾기와 손장순식 페미니즘 - <세화의 성>을 중심으로 : 문흥술
1. 권력과 여성 문제의 소설화 ●226
2. 부패한 권력과 권력지향적 욕망 ●228
3. 여성 정체성 찾기의 세 방향 ●234
4. 페미니즘적 시각의 소설사적 의의 ●239
제3부 손장순 문학의 다채로운 양상들
자유에 비례하는 허무, 그 생의 궤적 - 손장순의 수필세계 : 김미영
1. 손장순 문학에서 수필의 위치 ●244
2. 손장순 문학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48
3. 죽음의 트라우마와 고독, 그리고 창작에의 집념 ●252
4. 센티멘탈 져니, 다채로운 세계와의 만남 ●266
5. 손장순 문학에서 파리(프랑스), LA(미국), 서울(한국)의 의미 ●279
6. 손장순의 그녀들, 그 모순적 존재의 드러남 ●286
7. 고투의 삶이 도달한 평안에의 길 ‘겸허’ ●291
김승옥이 볼 수 없었던 그것 - 1960년대 손장순의 초기 단편들에 대한 고찰 : 김건우
1. 1960년대, 중심과 주변부 ●294
2. ‘거칠 것 없음’, 혹은 자존감의 근거 ●299
3. 세속적 욕망의 존재들 ●303
4. 손장순 초기 단편의 ‘유니크한’ 형상 ●308
산, 손장순 문학을 비추는 거울 : 이경재
1. 산악소설의 선구자 ●310
2. 일상의 속악성을 비춰주는 산 ●313
3. 인생과 예술을 상징하는 산 ●317
4. 에로티즘으로서의 산 ●320
5. 실재(the real)를 드러내는 틈새로서의 산 ●324
6. 남는 문제: 바라봄의 두 양상 ●326
‘유학생’ 표상, 착종된 현대의 투시도 - 손장순의 1970~198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전소영
1. ‘유학생 세대’의 탄생과 손장순 소설의 이채 ●328
2. ‘선망’과 ‘환영’ 사이: 유학 경험과 서구화의 모순 자각 ●333
3. 현기증과 분열의 알레고리: 여성 지식인의 존재 (불)가능성 ●340
4. ‘국외자’들의 변주, 심부를 탐사하는 경계인들의 시선 ●348
부록
“내 문학의 힘은 열정과 솔직함이다” (인터뷰) ●353
_방민호·전소영
손장순의 연보 ●379 | 손장순 서지 목록 ●381
_작성: 안리경 · 이지현(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