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손장순 문학 연구)

문흥술, 방민호, 박진숙, 이경재, 전혜자, 이선미, 장성규, 이명희, 안서현, 장두영, 김미영, 김건우, 전소영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손장순 문학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5211340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2-06-20

책 소개

작가로서 손장순은 한국전쟁 이후 등장한 '아프레걸들'의 시대를 이끌어 나간 시대적 전위였고, 이 세대의 운명을 자기 어깨에 짊어져 책임지려 한 강인한 의식의 소유자였다. 이 책은 손장순 문학을 새로운 문학사적 시각에서 재발견하고자 한 노력의 소산이다.

목차

사진으로 보는 손장순의 삶 ●3
이 책을 펴내면서 ●9

제1부 손장순과 그의 시대

한국문학의 1960, 1970년대와 손장순 문학의 의미 : 방민호
1. 1960, 1970년대 문학사가 잃어버린 것 ●18
2. ‘아프레게르’한 현실과 손장순 소설의 세대적 위치 ●20
3. 1960년대 한국사회의 혼종성과 손장순의 풍속소설 ●27
4. 리얼리즘이냐 풍속소설이냐 ― 손장순 소설에 나타난 상류층 인물들의 문제 ●37
5. 맺음말 ― 한국 현대문학사 연구의 맥락에서 본 손장순 소설 ●44

1960년대 여성 지식인의 ‘자유’담론과 미국 - 박순녀, 손장순, 박시정 소설을 중심으로 : 이선미
1. 1960년대 ‘근대화’와 여성 지식인 ●47
2. ‘이기적인 여성’과 ‘(연애)관계’의 주체 사이 ●54
3. 탕녀의 이미지와 사랑(=섹슈얼리티)의 주체 사이 ●63
4. ‘미국병’의 이면, 주체적 자아를 향한 마지막 비상구 ●70
5. 결론 ●79

프랑스 문학 사상 수용과 손장순 문학 : 장성규
1. 외국문학 수용의 문제와 ‘이식’에서 ‘전유’로의 전환 ●82
2. ‘아웃사이더’ 의식의 형성과 프랑스 여성주의의 변용 ●85
3. ‘낀-존재’로서의 여성의 자기 정체성 모색 ●91
4. 왜곡된 근대화 과정과 여성의 자각 ●95
5. 프랑스 문학 사상 수용과 산업화 시대의 여성문학 ●100

여성성의 모색을 통한 삶의 근원적 탐색 - 손장순의 19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이명희
1. 서론 ●103
2. 불신시대와 병리학적 증후군 ●105
3. 순수한 영혼과 자연의 만남 ●110
4. 여성의 삶을 통한 정체성 탐색 ●115
5. 결론 ●120

제2부 손장순의 문학과 삶

여성 주체의 세 가지 실존적 모험 - 손장순 장편소설의 변화양상 : 안서현
1. 들어가는 말: <한국인> 그리고 그 이후 ●126
2. 결혼(사랑): 권태와 고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불가능한 노력 ●129
3. 독립: 사랑의 갈등을 통한 역설적 자기 확인과 실존적 자유 인식 ●136
4. 야망: 여성의 사회적 자기실현과 삶의 균형 모색 ●140
5. 맺음말 ― 불가능한 모험을 권유하는 문학 ●149

아프레게르, 그리고 도저한 실존주의 : 박진숙
1. ‘아프레게르’, ‘아프레걸’의 자장 ●150
2. 전쟁 허무주의와 아메리카니즘, 소외되는 미국 유학생 ●156
3. 아프레게르의 전이 아프레걸, 예술을 추구하다 ●162
4. 아프레게르, 그리고 실존주의 ●171

현대소설의 도시생태적 독법에 대한 연구 - 손장순의 ??한국인??을 중심으로 : 전혜자
1. 손장순 ― ‘서울’의 메신저 ●174
2. ‘도넛 콤플렉스’의 서울 ●178
3. 미국 유학생 인텔리의 욕망과 갈등 ●182
4. 내면화된 타자의식의 부재 ●188
5. 나르시시즘적 글쓰기로서의 서울 ●194

불행, 성숙에 이르는 길 -<한국인>의 손장순론 : 장두영
1. 총체적 자화상으로서의 ‘한국인’ ●197
2. 실패하는 남녀의 결합에 관한 서사와 경쟁심 ●201
3. 인물적 서술 상황의 활용과 세태의 조망 ●208
4. 성숙의 계기로서의 불행과 한국인의 정체성 찾기 ●216
5. 지식인 인물을 통해 조망한 한국사회 ●223

여성 정체성 찾기와 손장순식 페미니즘 - <세화의 성>을 중심으로 : 문흥술
1. 권력과 여성 문제의 소설화 ●226
2. 부패한 권력과 권력지향적 욕망 ●228
3. 여성 정체성 찾기의 세 방향 ●234
4. 페미니즘적 시각의 소설사적 의의 ●239

제3부 손장순 문학의 다채로운 양상들

자유에 비례하는 허무, 그 생의 궤적 - 손장순의 수필세계 : 김미영
1. 손장순 문학에서 수필의 위치 ●244
2. 손장순 문학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48
3. 죽음의 트라우마와 고독, 그리고 창작에의 집념 ●252
4. 센티멘탈 져니, 다채로운 세계와의 만남 ●266
5. 손장순 문학에서 파리(프랑스), LA(미국), 서울(한국)의 의미 ●279
6. 손장순의 그녀들, 그 모순적 존재의 드러남 ●286
7. 고투의 삶이 도달한 평안에의 길 ‘겸허’ ●291

김승옥이 볼 수 없었던 그것 - 1960년대 손장순의 초기 단편들에 대한 고찰 : 김건우
1. 1960년대, 중심과 주변부 ●294
2. ‘거칠 것 없음’, 혹은 자존감의 근거 ●299
3. 세속적 욕망의 존재들 ●303
4. 손장순 초기 단편의 ‘유니크한’ 형상 ●308

산, 손장순 문학을 비추는 거울 : 이경재
1. 산악소설의 선구자 ●310
2. 일상의 속악성을 비춰주는 산 ●313
3. 인생과 예술을 상징하는 산 ●317
4. 에로티즘으로서의 산 ●320
5. 실재(the real)를 드러내는 틈새로서의 산 ●324
6. 남는 문제: 바라봄의 두 양상 ●326

‘유학생’ 표상, 착종된 현대의 투시도 - 손장순의 1970~198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전소영
1. ‘유학생 세대’의 탄생과 손장순 소설의 이채 ●328
2. ‘선망’과 ‘환영’ 사이: 유학 경험과 서구화의 모순 자각 ●333
3. 현기증과 분열의 알레고리: 여성 지식인의 존재 (불)가능성 ●340
4. ‘국외자’들의 변주, 심부를 탐사하는 경계인들의 시선 ●348

부록

“내 문학의 힘은 열정과 솔직함이다” (인터뷰) ●353
_방민호·전소영
손장순의 연보 ●379 | 손장순 서지 목록 ●381
_작성: 안리경 · 이지현(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저자소개

문흥술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경남 사천에서 태어나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국문과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인간주체의 와해와 새로운 글쓰기>가 당선되어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자멸과 회생의 소설문학≫(1997), ≪작가와 탈근대성≫(1997), ≪시원의 울림≫(1998), ≪모더니즘 문학과 욕망의 언어≫(2000), ≪한국모더니즘 소설≫(2003), ≪존재의 집에 이르는 지도≫(2004), ≪형식의 운명, 운명의 형식≫(2006), ≪문학의 본향과 지평≫(2007) 등을 썼고, 장편소설 ≪굴뚝새는 어디로 갔을까≫(2000), 편저 ≪운수 좋은 날≫(2001), ≪태평천하≫(2002), ≪상록수≫(2003), 공저 ≪소설 신라열전≫(2001) 등을 펴냈다. 2006년 김달진 문학평론상을 수상하였으며, 2015년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방민호 (감수)    정보 더보기
1965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공주를 거쳐 대전에서 성장했다. 대학 입학과 함께 서울로 올라와 수학하며 한국 현대 문학을 전공했고, 서울이라는 공간과 작가·작품의 관계 양상에 관심을 갖고 탐구해 왔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4년 《창작과비평》 제1회 신인평론상을 수상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고, 문학평론집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납함 아래의 침묵』, 『행인의 독법』,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 『한국비평에 다시 묻는다』가 있다. 연구서로는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가 있으며, 함께 펴낸 저서로는 『최인훈, 오디세우스의 항해』, 『탈북문학의 도전과 실험』 등이 있다. 2001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 『숨은 벽』을 출간했다. 또한 2012년 《문학의오늘》에 단편소설 「짜장면이 맞다」를 발표하며 소설 창작을 시작하여 소설집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 장편소설 『연인 심청』, 『대전 스토리, 겨울』을 집필했다. 그 외에도 산문집 『명주』, 『통증의 언어』, 『경원선 따라 산문 여행』 등이 있다. 현재 이효석문학재단 이사장과 계간 《맥》의 편집주간을 맡고 있다.
펼치기
박진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대표 논문으로「한국 근대문학에서의 샤머니즘과 민족지ethnography의 형성」,「일제 말기 사회사업의 텍스트화 양상과 그 의미」,「이태준의 언어의식과 근대적 글쓰기의 장」등이 있으며 저서로는『조선적인 것의 형성과 근대문화담론』(공저),『박태원 문학 연구의 재인식』(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14회 젊은평론가상, 제29회 김환태평론문학상, 제3회 김윤식학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단독성의 박물관』(2009), 『끝에서 바라본 문학의 미래』(2012), 『현장에서 바라본 문학의 의미』(2013), 『여시아독』(2014), 『문학과 애도』(2016), 『재현의 현재』(2017), 『명작의 공간을 걷다』(2020), 『한국 베트남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 비교』(2022), 『한국 현대문학과 민족의 만화경』(2023), 『요즘 소설이 궁금한 당신에게』(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전혜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BK 연구교수
펼치기
장성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초빙교수
펼치기
안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대학교, 숭실대학교 강사
펼치기
장두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전임대우 강의교수
펼치기
김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강의교수
펼치기
전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