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문제
· ISBN : 9788958204169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16-11-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말하기는 계속되어야 한다
- 두려움을 떨치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꿀 수 없습니다.
-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습니다. 지금 서 있는 이곳이 바닥이고 절벽입니다.
- 어렸을 때도 ‘여성스럽지’ 않았습니다.
- 제가 이런 경험을 한 것은 제가 여성이기 때문이었습니다.
- 그들이 성범죄에 복장과 시간을 들먹이는 건 좋은 변명의 구실이 되기 때문입니다.
- 혐오의 화살은 자신보다 약하다고 여겨지는 이들에게 향합니다.
- 가해자의 꿈을 언급합니다. 그들에게 여성 피해자는 없었습니다.
- 여성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결코 개인적인 사건이 아닙니다.
- 여자가 안 된다고 말할 때는 안 되는 겁니다.
- 성추행을 안 당해본 여자는 없습니다.
- 살인범이 아니라 살해당한 여성에게 동일시하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렵습니까?
- 당하는 사람은 수도 없이 많은데 없는 일이라고 하지 말아주세요.
- 남자친구는 저를 달래주면서 “네가 예뻐서 그렇다”라고 했습니다.
- 피해자의 무너진 삶보다 가해자가 살아갈 삶을 걱정하는 사회가 두렵습니다.
- 혐오는 야만적인 얼굴이 아니라 친절하고 부드러운 방식으로도 작동됩니다.
- 능력이나 소망에 따라서 동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 저는 인간이 아닙니다. 저는 여직원입니다.
- 사람들은 말합니다. 처신 똑바로 하고 다니라고.
- 문고리를 걸어 잠그는 것 말고는 저를 방어할 수단이 없었습니다.
- 좋아하는 치마를 입고, 빨간 입술도 하고 싶습니다.
- 일부 남성의 책임이 아닙니다. 모든 남성이 책임의 일부입니다.
- 여성도 남성도 아닌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그 순간에는 머리가 하얘져 어찌할 바를 몰랐습니다.
- 나는 살아남을 것입니다. 이 증오의 밤을.
- 밤늦게 들어온 저의 모습을 보고 엄마는 정신을 놓고 때렸습니다.
- 여자라서 폭행을 당하고. 여자라서 강간을 당하고 .
- ‘살아남았다’는 해시태그와 ‘억울하다’는 말에 대하여.
- 집이라는 공간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 저는 끊임없이 떠들 것입니다. 저를 침묵시킬 순 없습니다.
- 당연한 게 당연하지 않은 사회가 되었습니다.
- 이건 피해 고백이 아니라 가해 고백입니다.
- “이불 밖은 위험해”라는 말, 이제 그만 듣고 싶습니다.
- 부단히 해야 했던 변명들이 제 잘못이 아니었음을 알았습니다.
- 과연 언제쯤 이 액땜을 끝낼 수 있을까요?
- 벗고 있든 아니든, 우리가 뭘 하고 있든 만져서도 안 되고 우리를 죽이면 안 돼요.
- 학교 다닐 때 규정이 많았어요. 그중 하나가 발목양말 금지였습니다.
- 남자애들은 원래 덜렁거리니까 여자애들이 이해해줘야 한다니요!
- 두리번거리는 나를 보며 정말 짜증나고 슬펐습니다.
- 무언가 정말 많이 잘못되었습니다.
- 그들은 내게 여자답게 굴라고 강요할 수 없어, 나는 이미 여자니까.
- 저와 여동생과 남동생은 그렇게 살아남았습니다.
선언문 / 여성 폭력 중단을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해제 / 모든 것이 달라질 것이다 _ 권김현영
리뷰
책속에서
“일상 속에서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들은 지극히 작은 것들입니다. 여성들은 지하철에 붙은 성형 광고를 볼 때, 늦은 밤 택시기사가 느닷없이 반말을 할 때, 직장 상사가 ‘웃자고 하는 소리’라며 사생활을 침범하는 질문을 할 때, 온라인에서 여성에게만 붙은 온갖 험한 댓글을 볼 때에도, 숱한 순간순간마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그럴 때 ‘불편하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누군가 표현을 했을 때 그 행위와 내용을 그대로 인정하고 귀담아 들어야 합니다. 어느 것 하나 사소하거나 당연한 것은 없습니다. 왜 누군가를 불편하게 만드는 행위가 사회적으로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는지, 하나하나 질문해보아야 합니다.”
“이게 시작입니다. 변화는 기존의 것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인식 없이는 절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뭔가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피해자들, 약자들, 소수자들이 목소리를 내지 않는데 기득권자들이 사회 시스템이 알아서 바꾼 예는 단 한 번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 폭력 중단을 위해서 작은 목소리나마 끊임없이 떠들고 소리 지르고 외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성들이 자신의 경험에 대해서 ‘나’로 시작하는 말을 한다는 건, 역사적인 변화이다. 오랫동안 여자들은 이야기 속에 있었지, 이야기를 말하는 사람은 아니었다. 1인칭 ‘나’는 언제나 남자였고, 이야기 속에 있는 여자가 1인칭을 사용해서 ‘나’라는 말을 시작하면 그 경험은 너무나 사적인 것이거나 예외적이거나 사소한 것으로 치부되기 십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