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서필지

유서필지

(고문서 이해의 첫걸음)

전경목, 김건우, 김동석, 심영환, 전영근 (옮긴이), 박병호 (감수)
사계절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서필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서필지 (고문서 이해의 첫걸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58281757
· 쪽수 : 405쪽
· 출판일 : 2006-07-14

책 소개

조선 후기 문서작성 지침서로 널리 사용되었던 공사문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고문헌인 <유서필지>를 우리말로 번역, 원본과 함께 볼 수 있도록 편집한 책이다. 원본의 한자 목각체를 그대로 살리고, 당시 한글 대신 사용된 이두의 표현까지 하나하나 풀이하는 등 꼼꼼한 편집이 돋보인다.

목차

사진으로 보는 고문서
추천사
일러두기

목록(상세목차)(目錄)
범례(凡例)
상언(上言)
격쟁원정(擊錚原情)
소지류(所志類)
단자류(單子類)
고목류(告目類)
문권류(文券類)
통문투(通文套)

부록(附錄)
이두휘편(吏頭彙編)
보장식(報將式)
서목식(書目式)
중수동추식(重囚同推式)
결송입안식(決訟立案式)
매득사출식(買得斜出式)
이관하첩식(移關下帖式)

해제
<유서필지> 編刊과 고문서학적 의의
<유서필지> 판본 연구

저자소개

전경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문헌관리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수향편-사조 정승 정원용이 기록한 조선의 통치 시스템』(공역), 『옛 편지로 읽는 조선 사람의 감정』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심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한림대학교부설 태동고전연구소(芝谷書堂)(3년) 수료 국사편찬위원회 국내초서과정(2년) 수료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 전공 졸업(문학박사) 동경대학교 한국조선문화연구실 외국인 연구원(6개월)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책임연구원 논문 「高麗時代 獎諭敎書 樣式」(2007), 「南宋 淳熙5년(1178) 呂祖謙 勅授告身」(2010), 「朝鮮初 吉再의 追贈과 <追贈牒>의 復元」(2011), 「몽골시대 高麗人 李達漢의 팍바문자 宣命」(2013), 「蒙學三書 몽골어의 한글 轉寫 연구」(2014), 「고대 동아시아 임명문서의 성격-8~10세기 동아시아 임명문서를 통한 통치 시스템의 비교분석」(2015), 「淸學四書 만주어의 한글 轉寫 연구」(2016), 「고려사의 北方語 성씨 石抹에 대하여」(2018), 「藏書閣 소장 滿漢合璧文書의 滿洲語 轉寫」(2019), 「《滿洲源流考》〈附金史舊國語解考〉의 北方語」(2019) 외 다수 저·역서 『朝鮮時代 古文書 草書體 硏究』(소와당, 2008), 『高麗時代 中書門下敎牒』(소와당, 2010), 『變化와 定着-麗末鮮初의 朝謝文書』(3인 공저, 민속원, 2012), 『임원경제지: 유예지』(공역, 풍석문화재단, 2017), 『유불도 삼교 청대 문헌 연구』(3인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임원경제지: 이운지』(공역, 풍석문화재단, 2019) 외 다수
펼치기
박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전남 해남 출생 1950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입학 195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입학 195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1975년 법학박사(서울대학교, 구제舊制) 2011년 명예문학박사(한국학중앙연구원) 1962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조교 1963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1996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 1997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초빙교수 2007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1987~1989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1990~1992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한국법사학회, 한국고문서학회, 한국가족법학회 명예회장
펼치기

책속에서

산의 모양을 그려오너라
여기에 제시된 산송(묘지에 관련된 소송) 처리 절차는 조선 후기의 관행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이다. 당시 실제로 지방에서 산송이 제기되면 수령은 먼저 도형을 그려오도록 하였는데 도형을 살펴보고서도 판결을 내리기 어려우면 수령이 친히 현장조사를 실시한 후 판결을 내렸다. 또 수령의 1심 판결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관찰사에게 2심을 제기하도록 되어 있었다. - 본문 해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