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8621386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07-01-30
책 소개
목차
1장 성장의 틀
텍스트:삐노끼오의 모험
읽기:삐노끼오는 인간되기가 왜 어려웠을까?
말하기 1:하고 싶은 대로 하면 왜 인간이 덜 되나?
쓰기 1:틀 없이 사람 없다
말하기 2: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왜 못하나?
쓰기 2:몸의 한계는 나의 한계다
2장 성장의 길
텍스트:데미안
읽기: 싱클레어의 방황은 결국 무엇을 향했나?
말하기 1: 타인은 나의 성장에 방해가 되나?
쓰기 1:나의 스승은 내 안에 있다
말하기 2:무엇을 향한 성장인가?
쓰기 2:자기가 되지 않고 인간이 되는 길은 없다
3장 성장의 얼굴
텍스트:하나오
읽기: 하나오는 성장의 모범일 수 있나?
말하기 1:성장하지 않는 것의 힘은 무엇인가?
쓰기 1:즐거운 어른은 힘이 세다
말하기 2:어떻게 진짜 어른이 될 수 있나?
쓰기 2:삶의 알맹이는 교과서 밖에 있다
4장 성장의 무게
텍스트:외딴방
읽기: 상처는 어떻게 나를 성장으로 이끄나?
말하기 1:무엇이 나를 아프게 하나?
쓰기 1:나도 모르게 내가 나를 죽인다
말하기 2:상처는 어떻게 치유되나?
쓰기 2:300cc의 상처에는 300cc의 고통이 따라야 한다
5장 성장의 마디
텍스트:스탠 바이 미
읽기: 시체 찾기의 경험은 아이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나?
말하기 1:어떤 경험이 나를 변하게 하나?
쓰기 1:많은 경험이 아니라 놀라운 경험이 나를 키운다
말하기 2:성장의 징표는 무엇인가?
쓰기 2: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는 건 굉장하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라야 한다. 커야 한다. 모든 생명체에게 '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사항이다. 생명체는 보통 필연의 단계를 밟아 성장한다. 하지만 인간은 자연적인 발육만으로 성장했다고 말하지 않는다. 인간에겐 신체의 자연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지식의 축적이나 정신적인 성숙과 같이 ‘의지적으로’ 추구해야 할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인간 사회에서는 오히려 성장의 핵심을 이룬다. 성장기의 아이는 주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부지런히 지식을 습득해야 하고 젊은이는 좀 더 나은 사회생활을 위해 항상 현재의 자기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기를 모색한다.
그런데 '성장'을 단순히 특정한 지식의 습득이나 원만한 사회생활을 위한 능력 배양에 국한시키지 않고 '인간되기'의 영역까지 확대시킬 경우, 신체의 자연적인 성장이 멈추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비교적 적은 성인까지도 '성장'의 문제를 비껴가기는 어렵다. 여기서 성장은 곧 '성숙'의 문제로 이어지고, 자연적인 나이와 지식의 양이 곧 인간적인 성숙의 지표일 수는 없게 된다. 나이가 든다고 자동으로 성숙한 인간이 되는 건 아니다. 살아 있는 동안 '성장' 또는 '성숙'이라는 화두에서 벗어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 본문 12~1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