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전체주의/국가주의
· ISBN : 9788970135434
· 출판일 : 2005-10-15
책 소개
목차
1권
프롤로그
'대중독재'의 지형도 그리기 - 임지현
1. 서유럽 역사에서 나타나는 대중독재
이탈리아 파시즘, 강제적 동의에서 문화적 동의로 - 김용우
비시 프랑스, 민족 혁명의 이상과 현실 - 신행선
프랑코 체제와 대중 - 황보영조
독일과 영국의 총력전 체제 - 스테판 버거
2. 중유럽 역사에서 나타나는 대중독재
나치의 민족 공동체, 새로운 정치 질서 - 미하엘 빌트
나치 독재의 정치종교와 전체주의적 대중 만들기 - 나인호
대중에 대한 독재 또는 대중에 의한 독재? 나치 독재의 새로운 대중적 기반 - 김승렬
강제와 동의, 동독 - 마르틴 자브로
'강제와 복종'에서 '강제와 동의'로, 동독 현실 사회주의와 대중 - 최승완
'희생된 사람들'에서 '국민화된 희생자들'로, 오스트리아 민족 사회주의와 민족 기억문화 - 미즈노 히로코
3. 동유럽 역사의 경험을 통한 대중 독재
스탈린 체제에 대한 대중의 지지와 저항 - 박원용
스탈린주의와 소비에트 사회 - 알렉산드르 골루베프
비주얼 이미지를 통해 본 스탈린주의 성격과 담론 - 이종훈
현대 우크라이나 역사 서술에의 강제 대 동의 - 블로디미르 크라프첸코
희생자인가 공범인가 - 카타지나 소볼레프스카 미실리크
4. 우리나라와 일본의 체제
박정의 체제의 지배 담론과 대중의 국민화 - 황병주
일본의 총력전 체제, 그 통합과 동원에 내재하는 모순 - 나카노 토시오
에필로그
독재의 정당화 , 독일 나치와 공산주의 지배는 어떻게 대중의 지지를 이끌어냈는가 - 콘라트 야라우슈
용어설명
찾아보기
2권
- 프롤로그 / 대중독재의 매력 : 김용우
1. 정치의 신성화와 동의의 생산
1. 정치 종교와 시민 종교
1) 정치의 신성화 / 에밀리오 젠틸레
2) 시민 종교의 지적 계보 - 플라톤에서 로크까지 / 조승래
3) 종교로서의 공산주의 / 마르친 쿨라
2. 파시즘과 나치즘
1) 이탈리아 파시즘과 영적 혁명 / 로버트 말렛
2) 무솔리니 사상에 나타난 종교와 정치 문화 / 디디에 뮈지들라크
3) 시간과 적법성 - 독일 양대 독재의 시간 감각에 대한 비교 고찰 / 마르틴 자브로
3. 동아시아
1) 가족주의, 사회주의, 북한의 정치 종교 / 찰스 암스트롱
2) 독재와 상징의 정치 / 나치즘과 일본 파시즘의 정치 종교 / 나인호, 박진우
2. 헤게모니와 동의의 문화
1. 대중 매체와 동원의 미학
1) 식민 후기 조선의 시각 문화에 나타난 전체 동원의 미학 / 마이클 김
2) 두 가지 유형의 선전, 선동 - '제3국'과 동독에서의 대중 매체 방송으 의미에 대한 고찰 / 크리스토프 클라센
2. 민족주의, 인종주의
1) 고삐 풀린 세대 - 제국보안사령부 지휘부에 관한 연구 / 미하엘 빌트
2) 민족 문제와 폴란드 공산주의 체제의 전술 - 유대인 정책 / 펠릭스 티흐
3) 제국적 내셔널리즘과 소수자들에 대한 비교의 전망 / 사카이 나오키
3. 영웅 숭배
1) '제3제국'에서의 영웅화와 악마화 / 피터 램버트
2) 항공 영웅들과 독재 체제하의 민족사 - 포르투칼과 리투아니아 / 리나스 에릭소나스
3. 한국의 대중독재 논쟁 - 진보 담론인가 보수 담론인가
1. 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지배, 전통, 강압과 동의의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 조희연
1) 들어가는 말
2) 대중독재론과 일상사의 문제의식에 대한 평가
3) '지배에서 강압과 동의'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 틀
4) 한국 현대사 분석
5) 맺는 말
2. 대중독재와 포스트 파시즘 - 조희연 교수의 비판에 부쳐 / 임지현, 이상록
1) 냉전 담론과 '악마론'
2) '혐의'의 정치학과 '오독'의 논리학
3) 박정희 체제의 '동의'에 대한 재해석
3. 박정희 체제의 복합성과 모순성 - 임지현 등의 반론에 대한 재반론 / 조희연
1) 임지현, 이상록에 대한 총괄적 재반론
2) 근대 독재 권력으로서 박정희 독재의 복합적 모순성
3) 박정희 파시즘의 유산을 둘러싼 현대적 투쟁
4. 대중독재와 외세의 관계 중요......실증 없이 주장만 대립 / 박태균
5. 대중독재 논쟁과 시민적 진보의 길 - 동원의 시대를 넘어서 / 이병천
6. 대중독재와 기억의 정치학 - 조희연, 박태균, 이병천의 비판에 답한다 / 임지현
1) 들어가는 말
2) 실사구시
3) 강제와 동의 / 지배와 저항
4) 헤게모니의 과잉 / 과소 인식
5) 파시즘의 보편성과 유신 독재의 특수성
6) 근대와 탈근대
7) 아렌트와 과거 청산
8) 맺는 말
7. 탈구조적 비평으로는 복잡한 현실 해명 못해 / 조희연
1) 포스트 독재 담론 대 혁신 반독재 민주 담론
2) 포스트 독재 담론의 양가성
3) 대중독재오 탈민족주의
4) 박정희 독재는 일정한 동의에도 불구하고 실제 폭압적이었으며 불안정했다
5) 독일이나 일본과 달리 한국이 독재의 헤게모니 균열과 극복의 보편적 사례일 수 있다
6) 성찰적 과거 청산과 제도적 과거 청산의 관계
에필로그 / 대중독제 테제 - 임지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