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사일반
· ISBN : 9788970134406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04-04-30
책 소개
목차
엮은이의 말
프롤로그
'대중독재'의 지형도 그리기 - 임지현
1. 서유럽 역사에서 나타나는 대중독재
이탈리아 파시즘, 강제적 동의에서 문화적 동의로 - 김용우
비시 프랑스, 민족 혁명의 이상과 현실 - 신행선
프랑코 체제와 대중 - 황보영조
독일과 영국의 총력전 체제 - 스테판 버거
2. 중유럽 역사에서 나타나는 대중독재
나치의 민족 공동체, 새로운 정치 질서 - 미하엘 빌트
나치 독재의 정치종교와 전체주의적 대중 만들기 - 나인호
대중에 대한 독재 또는 대중에 의한 독재? 나치 독재의 새로운 대중적 기반 - 김승렬
강제와 동의, 동독 - 마르틴 자브로
'강제와 복종'에서 '강제와 동의'로, 동독 현실 사회주의와 대중 - 최승완
'희생된 사람들'에서 '국민화된 희생자들'로, 오스트리아 민족 사회주의와 민족 기억문화 - 미즈노 히로코
3. 동유럽 역사의 경험을 통한 대중 독재
스탈린 체제에 대한 대중의 지지와 저항 - 박원용
스탈린주의와 소비에트 사회 - 알렉산드르 골루베프
비주얼 이미지를 통해 본 스탈린주의 성격과 담론 - 이종훈
현대 우크라이나 역사 서술에의 강제 대 동의 - 블로디미르 크라프첸코
희생자인가 공범인가 - 카타지나 소볼레프스카 미실리크
4. 우리나라와 일본의 체제
박정의 체제의 지배 담론과 대중의 국민화 - 황병주
일본의 총력전 체제, 그 통합과 동원에 내재하는 모순 - 나카노 토시오
에필로그
독재의 정당화 , 독일 나치와 공산주의 지배는 어떻게 대중의 지지를 이끌어냈는가 - 콘라트 야라우슈
용어설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총력전 체제의 경험은 사실상 대중의 자발적인 동원과 참여 정도가 그 체제의 힘과 효율성을 가늠하는 척도임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대중 사회의 출현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조건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 성인 남자 보통선거권의 도입, 의무 교육과 징병제의 실시, 노동 운동의 성장과 사회보장제도의 정비, 산업화와 도시화 등으로 교양 시민층의 자유주의는 대중 민주주의로 대체되었다.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어 1차 세계대전의 총력전 체제를 거치면서 정비된 20세기 근대 국가의 시스템 속에서, 대중이 역사 무대의 전면에 등장한 것이다. 민주주의와 독재를 막론하고 이제 평범한 보통 사람들의 목소리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대중에 대한 권력의 관심은 이들의 일상적 욕구를 총족시킨다는 단순한 배려의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은 국가의 동원 체제에 적극적,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들의 욕망을 유도하고 만들어내는 다양한 장치들을 요구한다. 이를 통한 자발적 동원 체제의 작동 수준이 곧 그 국가 체제의 효율성과 총체적 국력을 규정하는 한 요인이된다. '외부로부터의 독재'가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독재'로 전환하는 것도 이 지점에서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