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보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
경북대 박물관장,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경북대 교수회 의장, 경북대학교 인문대학장. 한국목
간학회 회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 저서
『금석문과 신라사』, 『신라 지방통치체체의 정비과정과 촌락』, 『임나일본부설, 다시 되살아나는 망령』, 『가야사 새로 읽기』, 『김춘추와 그의 사람들』, 『한국 고대 기본 사료』, 『가야사 이해의 기초』, 『가야사 새로 읽기』
펼치기
이강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김해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남대학교 국문학과와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봉직했다.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객원교수로 있다. 예일 대학교 비교문학과, 스토니브룩 대학교 한국학과의 방문교수로 연구했다. 한국구비문학회, 한국어문학회, 한국고전문학회, 한국문학치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두계학술상(2020), 지훈국학상(2015), 천마학술상(2008), 성산학술상(1999) 등을 수상했다.
<한국야담의 서사세계>(2018), <구운몽과 꿈 활용 우울증 수행치료>(2018), <일화의 형성원리와 서술미학>(2014), <구운몽의 불교적 해석과 문학치료교육>(2010), <한국야담 연구>(2006), <조선시대일화 연구>(1998), <깨어남의 시간들>(2019), <새 세상을 설계한 지식인 박지원>(2010), <보이는 세상 보이지 않는 세상>(2004), <젖병을 든 아빠 아이와 함께 크는 이야기>(2001) 등을 저술했고, <청구야담>(2019), <구운몽>(2006), <말이 없으면 닭을 타고 가지>(1999)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이한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한국판〉과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 기자로 일했고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지냈다.
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 철학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색하며 『이한우의 군주열전』(전 6권)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들을 쓰는 한편,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등 동양 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해오고 있다.
2016년부터는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5년에 걸쳐 『이한우의 태종실록』(전 19권)을 완역했으며, 그 외 대표 저서 및 역서로는 『이한우의 노자 강의』, 『이한우의 《논어》 강의』, 『이한우의 인물지』, 『이한우의 설원』(전 2권),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전 2권), 『이한우의 주역』(전 3권), 『완역 한서』(전 10권), 『이한우의 사서삼경』(전 4권), 『대학연의』(상·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내다 귀국한 뒤 지난 20여 년 동안 철학·과학·문학·대중문화를 횡단하는 독창적 작품을 잇달아 내며 인문학의 새 흐름을 이끌었다. ‘서사철학’이라는 분야를 개척해서 스토리텔링의 실용화에 기여했다. 2002년부터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와 미용·예술대학원 교수로 재직했으며, 2년여 동안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미국 워싱턴 대학교(UW)에서 연구했다. 2017년 몸담았던 대학교에서 정년 퇴임을 하였고, 이제 인간 삶의 다양한 차원, 특히 문화적 욕망에 관하여 이야기하는 작가로 살아가려 한다. 또한 예술가들이 전유해오던 아름다움을 일반 사람들의 ‘미적 욕구’ 및 ‘미학적 차별’과 연관하여 집중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
『사소한 것들의 구원』은 그가 새로운 삶의 작가로서 내는 첫 산문집이다. 일상의 가치와 의미를 적극적으로 의식하고, 스스로의 생각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삶의 지혜가 압축적으로 담겨 있다. 고아한 글쓰기와 절제된 유머, 섬세한 감수성과 경계 없는 인문학적 지식은 독자를 끌어당긴다. 그는 비뚤어진 인간관계 속에서는 상처받지 않는 삶이란 없으므로, 자기 성찰과 함께 타인에게 상처 주지 않기 위해 더욱 애쓰면서 살아가자며 이렇게 역설적으로 청한다.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 주지 않을 것처럼.”
지은 책으로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미녀와 야수, 그리고 인간』, 『깊이와 넓이 4막 16장』, 『철학광장』, 『서사철학』, 『메두사의 시선』, 『김광석 우리 삶의 노래』 외 다수가 있다.
“조심한다는 건 소극적인 태도가 아니라 남에게 ‘마음을 쓴다’는 의미에서 오히려 조용한 적극성을 뜻합니다. …… 사람 사이의 만남이 인생을 파괴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그만큼 인생은 누구에게나 어마어마하게 소중한 것이니까요.”
펼치기
송용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과 중국사회과학원 등에서 연구하였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장, HK 문명연구사업단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역서로 《중국시사(中國詩史)》, 《중국한시(中國漢詩)》, 《송시사(宋詩史)》(공저), 《중국시율학(中國詩律學)》, 《소순흠시역주(蘇舜欽詩譯註)》, 《구북시화(甌北詩話)》, 《중국어 어법 발전사》(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전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이다. 문화재위원,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 제주학회 회장, 진도학회 회장 등을 지내고 현재는 근대서지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 윈난대학교, 예일대학교 등에서 방문교수를 역임한 바 있으며,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구이저우대학의 특빙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인류학자 말리노프스키》 《한국문화론》(전4권) 《문화의 이해》 《한국인류학 백년》 《브라질의 한국이민》 《베트남일기》 《똥이 자원이다》 《탐라·제주의 문화인류학》 《백살의 문화인류학》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공저) 《파푸아에서 배운다》(편저)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