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

이정모, 김용석, 강봉균, 강신주, 최기운, 정재승, 이현숙 (지은이)
낮은산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12,6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260원
13,8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8964682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2-07-20

책 소개

《사이언스》는 창간 125주년을 맞아 우주와 자연, 생명과 의식에 관한 가장 중요한 125개의 질문을 선정했다. 예를 들어, ‘잠자고 꿈꾸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덕성은 뇌에 각인되어 있을까?’ 같은 질문들이다.

목차

책을 내며
과학의 최전선에서 보낸 따뜻한 질문 그리고 대답

BRAIN 뇌는 판도라의 상자일까?

BRAIN01 생체시계는 어찌 이렇게 정확할까?
인간은 누구나 자명등 하나씩 갖고 있다 _정재승

BRAIN02 어떻게 기억을 저장하고 불러내는가?
인간의 뇌는 복제될 수 없는가 _강봉균

BRAIN03 의식의 생물학적 토대는 무엇인가?
뇌가 스스로를 들여다볼 수 있을까 _강봉균

BRAIN04 잠자고 꿈꾸는 이유는 무엇인가?
영원히 깨지 않는 것이 죽음이다 _강봉균

LIFE 삶과 죽음을 바꿀 수 있을까?

LIFE01 유전자 조절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을까?
모두에게 평등한 의학을 꿈꾼다 _이현숙

LIFE02 줄기세포로 모든 암을 치료할 수 있을까?
매력적이고 치명적인 줄기세포 _이현숙

HUMAN 인간 본성이 과학으로 설명될까?

HUMAN01 도덕성은 뇌에 각인되어 있을까?
망가진 뇌가 시킨 도덕적 판단은 무죄인가 _이정모

HUMAN02 성격은 유전자와 얼마나 연관이 있을까?
일란성 쌍둥이의 성격은 똑같을까 _이정모

HUMAN03 서로 돕는 행동은 어떻게 진화되어 왔을까?
이익 없는 공생 관계도 있을까 _이정모

UNIVERSE 궁극의 자연법칙은 존재하는가?

UNIVERSE01 통일 이론은 가능할까?
우주 삼라만상의 원리를 찾을 수 있을까 _최기운

UNIVERSE02 우리 우주는 유일한가?
우리 우주는 우연의 산물인가 _최기운

UNIVERSE03 광활한 우주는 무엇으로 채워져 있나?
우리와 다른 물질, 다른 에너지의 존재는 무슨 의미인가 _최기운

UNIVERSE04 복잡계를 설명하는 일반 이론을 발견할 수 있을까?
자연이 이토록 복잡하고 아름답고 질서정연한 이유는 무엇일까 _정재승

위험한 좌담
인문학이 묻는다 “과학, 너 누구냐?” _김용석+강신주+정재승

125 Questions : What don't we know?
우리가 조금밖에 모르는 125가지 과학 난제

저자소개

이정모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캐나다 퀸즈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와 인지과학 협동과정 교수, 한국인지과학회 회장을 거쳐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인지심리학》 《인지과학: 과거-현재-미래》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내다 귀국한 뒤 지난 20여 년 동안 철학·과학·문학·대중문화를 횡단하는 독창적 작품을 잇달아 내며 인문학의 새 흐름을 이끌었다. ‘서사철학’이라는 분야를 개척해서 스토리텔링의 실용화에 기여했다. 2002년부터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와 미용·예술대학원 교수로 재직했으며, 2년여 동안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미국 워싱턴 대학교(UW)에서 연구했다. 2017년 몸담았던 대학교에서 정년 퇴임을 하였고, 이제 인간 삶의 다양한 차원, 특히 문화적 욕망에 관하여 이야기하는 작가로 살아가려 한다. 또한 예술가들이 전유해오던 아름다움을 일반 사람들의 ‘미적 욕구’ 및 ‘미학적 차별’과 연관하여 집중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 『사소한 것들의 구원』은 그가 새로운 삶의 작가로서 내는 첫 산문집이다. 일상의 가치와 의미를 적극적으로 의식하고, 스스로의 생각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삶의 지혜가 압축적으로 담겨 있다. 고아한 글쓰기와 절제된 유머, 섬세한 감수성과 경계 없는 인문학적 지식은 독자를 끌어당긴다. 그는 비뚤어진 인간관계 속에서는 상처받지 않는 삶이란 없으므로, 자기 성찰과 함께 타인에게 상처 주지 않기 위해 더욱 애쓰면서 살아가자며 이렇게 역설적으로 청한다.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 주지 않을 것처럼.” 지은 책으로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미녀와 야수, 그리고 인간』, 『깊이와 넓이 4막 16장』, 『철학광장』, 『서사철학』, 『메두사의 시선』, 『김광석 우리 삶의 노래』 외 다수가 있다. “조심한다는 건 소극적인 태도가 아니라 남에게 ‘마음을 쓴다’는 의미에서 오히려 조용한 적극성을 뜻합니다. …… 사람 사이의 만남이 인생을 파괴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그만큼 인생은 누구에게나 어마어마하게 소중한 것이니까요.”
펼치기
강봉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신경생물학 및 행동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을 거쳤다. 국제 학술지 <몰레큘러 브레인(Molecular Brain)> 편집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연구대상(2007), 과학기술부 우수과학자상(2007),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상 생명과학상(2008), 서울대학교 우수연구상(2011), 생화학분자생물학회 동헌생화학상(2012),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2018), 삼성호암상(2021)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국가과학자’로 선정됐다. 저서로는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공저) 《뇌약구체》(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시냅스와 자아》 《신경과학》(공역) 《신경과학의 원리》(공역) 등이 있다. 《내가 처음 뇌를 열었을 때》를 함께 감수했다.
펼치기
강신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과 삶을 연결하며 대중과 가슴으로 소통해온 ‘사랑과 자유의 철학자’. 동서양 철학을 종횡으로 아우르며 냉철하면서도 따뜻한 인문학적 통찰로 우리 삶과 시대를 관통하는 주제들에 다가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철학 VS 철학: 동서양 철학의 모든 것》 《철학 VS 실천: 강신주의 역사철학・정치철학 1》 《구경꾼 VS 주체: 강신주의 역사철학・정치철학 3》 《강신주의 노자 혹은 장자》 《강신주의 장자수업》(전 2권) 《한 공기의 사랑, 아낌의 인문학》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공저)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강신주의 감정수업》 《철학이 필요한 시간》 《망각과 자유: 장자 읽기의 즐거움》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등이 있다.
펼치기
최기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입자물리이론 박사 학위. 2007년 Thomson Scientific Citation Laureate Awards, 2011년 한국과학상(물리 분야) 수상. 《우주와 인간 사이에 질문을 던지다》(공저) 등을 씀.
펼치기
정재승 (기획)    정보 더보기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이자 융합인재학부 학부장이다. 복잡계 및 통계물리학적인 접근을 통해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고 이를 정신질환 모델링, 뇌-기계 인터페이스, 인간 뇌를 닮은 인공지능 및 소셜 로봇 개발에 적용하는 학자다. 〈네이처〉를 포함해 세계적인 학술지에 120여 편의 논문을 출간한 바 있으며, 국내외 학술상을 여럿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열두 발자국》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포의 미스터리로 생명의 신비를 푸는 생명과학자’ 이화여자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 전공으로 유방암 암억제인자 BRCA2의 기능을 세계 최초로 밝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하버드 의과대학 세포생물학과와 워싱턴 주립대학 생화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쳤으며, 지금은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암세포생물학연구실에서 인간의 수명과 노화 그리고 질병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바이오인공지능연구단을 설립해 단장을 맡고 있다. 암세포 생물학의 난제 중 하나인 ‘염색체 불안정성’의 비밀을 처음으로 풀어내 암의 발병 원인을 규명했다. 또한 생체 시계라고 불리는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DNA가 복제할 때 이루는 새로운 구조의 비밀을 밝혀 노화와 더불어 텔로미어 DNA가 손상되는 메커니즘, 나아가 텔로미어 손상으로 암세포가 탄생하는 새로운 기전을 제시했다. 최근에는 생명과학 연구에 AI 기술을 적용한 융합 연구를 통해 우리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차세대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생명과학 분야의 미래를 이끄는 선도적인 연구 활동 외에도 카오스재단 과학위원과 이사, 서경배과학재단 이사로 과학 발전을 위한 사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KBS 〈이슈 Pick! 쌤과 함께〉, tvN <미래 수업>에 출연해 노화의 치료 가능성에 대해 흥미롭게 들려주는 등 대중과 생명과학 분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이 책은 저자의 첫 번째 책으로 삶과 죽음의 내밀한 세계를 세포의 눈으로 우리에게 생생하게 들려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