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낸시 프레이저의 비판적 정의론과 논쟁들)

주디스 버틀러, 리처드 로티, 조지프 히스, 아이리스 매리언 영, 엘리자베스 앤더슨, 낸시 프레이저, 라이너 포르스트, 레너드 C. 펠드먼, 니컬러스 컴프리디스, 크리스토퍼 F. 주언, 잉그리드 로베인스, 앤 필립스 (지은이), 케빈 올슨 (엮은이), 이현재, 문현아, 박건 (옮긴이)
그린비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870원
26,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낸시 프레이저의 비판적 정의론과 논쟁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88976824271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16-02-25

책 소개

프리즘 총서 24권. 페미니스트 정치철학자 낸시 프레이저와 탁월한 사상가들의 의견 교환을 묶은 책이다. 프레이저는 지난 20여 년간 경제와 문화, 정치의 고유한 부정의를 해명하고. 세 차원의 부정의를 모두 해소할 수 있는 개선책을 모색해 왔다.

목차

서문 케빈 올슨 6

1부 _ 재분배냐 인정이냐, 잘못된 안티테제
1장 재분배에서 인정으로?: ‘포스트사회주의’ 시대 정의의 딜레마 _ 낸시 프레이저
2장 단지 문화적인 _ 주디스 버틀러
3장 이성애 중심주의, 무시 그리고 자본주의: 주디스 버틀러에 대한 답변 _ 낸시 프레이저?
4장 ‘문화적 인정’은 좌파 정치에 유용한 개념인가 _ 리처드 로티
5장 왜 편견을 극복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리처드 로티에 대한 답변 _ 낸시 프레이저
6장 제멋대로의 범주들: 낸시 프레이저의 이원론 비판 _ 아이리스 매리언 영
7장 폴리안나 원칙에 반대하며: 아이리스 매리언 영에 대한 답변 _ 낸시 프레이저
8장 불평등에서 차이로: 대체의 극단적 사례? _ 앤 필립스

2부 _ 재분배와 인정, 두 차원의 정의를 중재하다
1장 인정을 다시 생각하기: 문화 정치에서의 대체와 물화의 극복을 위하여 _ 낸시 프레이저
2장 참여 동등에 대해 논하기: 낸시 프레이저의 사회 정의 구상에 대하여 _ 크리스토퍼 F. 주언
3장 적극적 조치와 프레이저의 재분배-인정 딜레마 _ 엘리자베스 앤더슨
4장 분배 정의론에 대한 낸시 프레이저의 비판은 정당한가 _ 잉그리드 로베인스
5장 자원 평등주의와 인정 정치 _ 조지프 히스

3부 _ 정의의 세번째 차원, 정치적인 것
1장 지위 부정의: 국가의 역할 _ 레너드 C. 펠드먼
2장 참여 동등과 민주적 정의 _ 케빈 올슨
3장 글로벌한 세상에서 정의의 틀 새로 짜기 _ 낸시 프레이저

4부 _ 철학적 토대: 인정, 정의, 비판
1장 인정의 의미를 둘러싼 투쟁 _ 니컬러스 컴프리디스
2장 중요한 일부터 먼저: 재분배, 인정 그리고 정당화 _ 라이너 포르스트
3장 참여 동등의 정의를 우선시하기: 컴프리디스와 포르스트에 대한 답변 _ 낸시 프레이저

감사의 말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저역자 소개

저자소개

주디스 버틀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비교문학과 석좌교수이다.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 이론가이자 철학자 중 한 사람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현실 참여적 목소리를 내고 있다.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학자로서 젠더 수행성 이론을 개진했고, 퀴어 이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최근 정치철학, 윤리학, 사회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평등한 인간으로서의 삶의 가능성과 공동체의 윤리적 관계성을 모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젠더 트러블』 『젠더 허물기』 『위태로운 삶』 『권력의 정신적 삶』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비폭력의 힘』 『지금은 대체 어떤 세계인가』 『전쟁의 프레임들』 등이 있다.
펼치기
리처드 로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다. 시카고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예일 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1년부터 프린스턴 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79년에는 미국철학회(동부지회) 회장을 지냈다. 영미 분석철학계의 대표주자였던 로티는 1970년대 중반부터 분석철학을 통렬히 비판하고 데카르트 이래 근대철학의 주류를 이뤄왔던 인식론 중심의 철학에 종말을 고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철학자가 되었다. 특히 1979년 출간한 『철학과 자연의 거울』은 진리 탐구로서의 철학의 종언을 선언하며 전 세계 지성계에 화제와 논란을 불러 왔다. 이로 인해 철학과 동료 교수들과의 불화가 심화되자 로티는 1982년 버지니아 대학 인문학 석좌교수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1989년 출간한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는 그의 독창적인 사상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저작으로 꼽히며 25개국 언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에서 로티는 언어, 자아, 공동체의 우연성에 대해 논하며 자아창조의 요구와 인류 연대의 희망을 통합시키려는 오래된 철학적 문제를 해소하고, 철학적 지식이 아니라 사회적 희망과 상상력을 사회 변화의 추동력으로 위치시키는 선구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 이후 1998년부터 스탠퍼드 대학 비교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네 권의 철학 논문집과 강연문 등 다양한 저서를 출간했다. 1998년 출간한 『미국 만들기』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을 예견한 책으로 2016년 다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로티는 정체된 철학의 혁신을 주도한 창조적인 철학자이자, 공공 지식인으로서 다양한 사회 활동을 펼친 희망의 실천가로 기억된다. 2007년 타계한 이후로도 그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펼치기
조지프 히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캐나다에서 태어났다. 맥길 대학과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공부했고 위르겐 하버마스Jugen Habermas 등의 지도 아래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토론토 대학 교수로 철학과와 공공정책?거버넌스 학부School of Public Policy and Governance에서 강의하고 있다. 행위 이론, 기업 윤리, 비판 이론, 정치철학 등의 분야를 주로 연구하며, 저서로 『효율적인 사회The Efficient Society』, 『의사소통 행위와 합리적 선택Communicative Action and Rational Choice』, 『도덕, 경쟁, 기업Morality, Competition, and the Firm』 등이 있다. 국내에는 『혁명을 팝니다The Rebel Sell』(앤드루 포터Andrew Potter 공저)와 『자본주의를 의심하는 이들을 위한 경제학Filthy Lucre: Economics for People Who Hate Capitalism』 등이 소개되었다.
펼치기
아이리스 매리언 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정의와 민주주의를 이야기하는 대표적인 정치철학자이자 페미니즘 이론가이다. 2006년 57세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정치학과에서 정의론, 민주주의이론, 페미니즘이론 등을 가르쳤다. 주요 저서로는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1990), Intersecting Voices: Dilemmas of Gender, Political Philosophy, and Policy(1997), Inclusion and Democracy(2000), On Female Body Experience: “Throwing Like a Girl” and Other Essays(2005), Global Challenges: War, Self-Determination, and Responsibility for Justice(2006), Responsibility for Justice(2011) 등이 있다. 미국정치학회에서는 페미니스트 정치이론의 최우수 논문을 영(Iris Marion Young)과 오킨(Susan Moller Okin)의 기여를 기리고자 영과 오킨의 이름(Okin-Young Award)으로 매년 수여하고 있다.
펼치기
엘리자베스 앤더슨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철학자이자 미시간대학의 철학 및 여성학 교수. 2008년 미국예술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2013년 미시간대학의 최고 교수직인 John Dewey Distinguished University Professor of Philosophy and Women's Studies로 지명되어 그 지적 역량을 인정받았다. 『사적 정부』(2017)의 저술로 2018년 진보협회(Society for Progress)로부터 프로그레스메달을 수상하는 한편, 이후 맥아서 펠로우 프로그램의 “천재 지원금”을 받았다. 2020년 Prospect Magazine에서 선정하는 50인의 세계 최고 사상가들에 포함되었으며, 2021년에는 미국 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펼치기
낸시 프레이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정치철학자, 사회이론가. 뉴욕 뉴스쿨의 철학․정치사회이론 담당 교수로 있다. 독일 비판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은 프레이저는 위르겐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계급과 젠더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펼쳤다. 국제적으로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된 첫 번째 계기는 신자유주의가 확고한 지배 이념으로 자리 잡은 1990년대에 착수한 ‘정의’론 작업이었다. 그는 ‘분배’에만 초점을 맞추는 존 롤스식 정의론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1970년대 이후 급속히 발전한 여성운동, 흑인운동, 성소수자운동 등이 제기하는 또 다른 정의관, 즉 문화적 정체성의 ‘인정’을 중심에 둔 정의관을 적극 수용해 이 둘의 공존과 상호작용을 중심에 두는 새로운 정의론을 제시했다. 이러한 그의 정의론은 악셀 호네트와 벌인 논쟁의 기록 《분배냐, 인정이냐?》에 잘 나타나 있다. 이후 프레이저의 정치사회이론은 부단히 진화했다. 그는 정의의 또 다른 축으로서, 분배와 인정의 측면에서 불의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치적 ‘대표’의 측면에서 만인의 동등한 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삼차원적 정의론을 발전시켰다. 또한 지구화 시대에 정치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초국적인 공론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구화 시대의 정의》는 그의 이러한 정의론 작업을 결산한 저작이다. 경제 위기와 극우 포퓰리즘의 창궐, 기후 급변 등으로 어지러웠던 2010년대에 프레이저는 이제까지의 이론적 토대 위에서 다른 어떤 사회이론가보다 더 맹렬히 현실에 개입하면서, 신자유주의 이후의 대안을 찾는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영감을 주었다. 그는 정체성 정치만 강조하며 분배 요구를 등한시한 사회운동들을 비판했고, 최근 극우 포퓰리즘이 상당수 대중에게 대안으로 선택받는 근본 원인이 여기에 있음을 통렬히 지적했다. 특히 페미니즘의 대중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힐러리 클린턴에 대한 ‘비판적 지지’ 식의 낡은 틀에 갇혀 있는 여성운동을 향해 자기 성찰과 노선 전환을 촉구했다. 그 결실이 《전진하는 페미니즘》 《99% 페미니즘 선언》(공저) 같은 저작들이다. 또한 그는 무엇보다도 사회운동과 좌파정치 전반이 환골탈태해야 함을 역설했다. 2020년 미국 대선 직전에 펴낸 팸플릿 《낡은 것은 가고 새것은 아직 오지 않은》에서 그는, ‘진보적 신자유주의’는 극우 포퓰리즘이 발호하도록 만든 원흉이기에 결코 대안이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즉, 극우 포퓰리즘에 맞설 수 있는 것은 오직 노동계급과 중간계급의 동맹에 바탕을 둔 ‘진보적 포퓰리즘’뿐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노동운동, 여성운동, 생태운동, 흑인운동 등이 굳건한 동맹을 발전시켜야 할 근거를 ‘자본주의’라는 토대 자체에서 찾아내려 한다. 다만, 이 ‘자본주의’는 더 이상 고전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이야기하던 그 ‘자본주의’와 같지 않다. 자본-임금노동 관계만으로 환원되지 않는, 더 복잡한 제도적 실체인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 책 《좌파의 길: 식인 자본주의에 반대한다》에서 드디어 프레이저의 새로운 자본주의관은 그 전모를 드러낸다.
펼치기
라이너 포르스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소재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의 정치 이론과 철학 교수이다. 『정의의 맥락들』(Contexts of Justice, 2002), 『충돌하는 관용』(Toleranz im Konflikt, 2003), 『정당화 권리』(Das Recht auf Rechtfertigung, 2007)를 집필했고, 『근대의 에토스: 푸코의 계몽주의 비판』(Ethos der Moderns: Foucaults Kritik der Aufkl?rung, 1990)과 『관용』(Toleranz, 2000)을 엮었다.
펼치기
레너드 C. 펠드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리건 대학 정치학과 조교수이다. 『주거지 없는 시민: 노숙 상태, 민주주의, 정치적 배제』(Citizens without Shelter: Homelessness, Democracy, and Political Exclusion, 2004)를 출간했으며, 민주주의 이론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필연성의 지배』(Governed by Necessity)라는 저서를 집필하고 있다. 2007~2008년에는 프린스턴 고등연구원(Institute for Advanced Study in Princeton)의 객원 회원이었다.
펼치기
니컬러스 컴프리디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요크 대학 철학과 조교수이다. 저서로 『비판과 개시: 과거와 미래 사이의 비판 이론』(Critique and Disclosure: Critical Theory between Past and Future, 2006)이 있으며 『철학적 낭만주의』(Philosophical Romanticism, 2006)의 엮은이이기도 하다. 현대 사회·정치철학, 독일 관념론과 낭만주의, 비판 이론, 미학, 문화철학에 관한 여러 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크리스토퍼 F. 주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켄터키 대학의 철학과 부교수이다. 민주주의, 법, 인정, 분배, 비판 이론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 『심의 민주주의와 사법 심사 제도』(Deliberative Democracy and the Institution of Judicial Review, 2007)가 있다.
펼치기
잉그리드 로베인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이자 경제학자. 위트레흐트대학교 윤리연구소의 제도윤리학 분과장으로 이 연구소 소장과 네덜란드 철학연구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로베인스의 학술 연구 프로젝트는 네덜란드 연구위원회의 연구 지원금과 2백만 유로 규모의 유럽 연구위원회(ERC) 연구 지원금도 받았다. 2018년에 네덜란드 왕립학회 회원이 되었으며 2021년 9월에 오스트리아 빈에 소재한 플랙스 재단(FLAX Foundation)에서 불평등 분야의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엠마 골드먼상을 받았다. 저자는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부에 상한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왔으며, ‘제한주의(Limitarianism)’라는 단어를 최초로 제안한 선구자다. 저서 《부의 제한선》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탄탄한 근거, 흔히 제기되는 반대 의견 그리고 그에 대한 재반박을 담아냈다. 무엇보다도 저술의 목적은 전 세계적인 사회망 붕괴 위기를 해결하겠다는 희망이다. 불평등 분야에서 떠오르는 스타 학자로 꼽히는 로베인스의 도발적인 이 책은 소크라테스 철학상의 본선에 진출했으며, 여성 철학자가 쓴 최고의 책에 주는 히파티아상을 수상했다. <에스콰이어>지가 선정한 올해의 책 10권에도 올랐다.
펼치기
앤 필립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런던 정경대의 정치 및 젠더 이론 교수이며, 민주주의, 평등, 페미니즘, 다문화주의 쟁점에 관한 폭넓은 저술을 발표했다. 저서로 『민주주의를 젠더화하기』(Engendering Democracy, 1991), 『민주주의와 차이』(Democracy and Difference, 1993), 『현존의 정치』(The Politics of Presence, 1995), 『어떤 평등이 문제인가』(Which Equalities Matter?, 1999)가 있으며, 최근에는 『문화 없는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without Culture, 2007)를 출간했다.
펼치기
케빈 올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바인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 정치학과 부교수이다. 『성찰적 민주주의: 정치적 평등과 복지국가』(Reflexive Democracy: Political Equality and the Welfare State, 2006)를 집필했으며, 인민주권, 시민권, 민주주의의 문화적·물질적 기반, 사회 정의, 다양성 정치, 유럽의 사회·정치·법 이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2006~2007년에는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의 에라스무스 문두스 방문 학자(Erasmus Mundus Scholar)를 지냈다.
펼치기
이현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교수다. 사회철학과 여성철학을 전공했다. 2004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에서 인정 이론을 여성주의의 관점과 접목한 논문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Identitatsbegriffe aus Feministischer Perspektive)≫(여이연, 2007)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도시인문학’이라는 융합 학문 분야를 구축하는 작업에 집중해 왔다. 도시성을 기반으로 친밀 관계와 감정 양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연구하는 데 몰두했다. 2016년부터는 국내에 새롭게 등장한 온라인 기반 페미니즘에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들녘, 2016)을 출간했다. 최근에는 포스트휴먼, 돌봄, 신유물론, 성차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심화하고 있다. 공역서로는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사월의책, 2011)과 낸시 프레이저의 ≪모욕과 불평등을 넘어≫(그린비, 2016) 그리고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페미니즘≫(아카넷,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재의 다른 책 >
문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 박사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 책임연구원이자 연구공동체 ‘건강과대안’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화와 여성이주, 돌봄노동, 가족 정책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성노동』(공저), 『돌봄노동자는 누가 돌봐주나』(공저), 『페미니즘의 개념들』(공저), 『엄마도 때론 사표 내고 싶다』가 있고, 역서로 『경계 없는 페미니즘』, 『세계화의 하인들』, 『자본주의의 병적 징후들』(공역), 『커밍 업 쇼트』(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문현아의 다른 책 >
박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 위원이다. ‘한국 사회의 차별 구조와 반차별 운동’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차별 문제뿐 아니라 여성 노동, 젠더와 건강, 가족 가치, 남성성, 죽음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다. 논문으로 「낸시 프레이저: 재분배, 인정, 그리고 대표의 3차원 정의와 페미니즘 운동」(2011), 「청춘 밖의 청춘, 그들의 성인기 이행과 자아 정체성」(공저, 2012), 「모욕과 무시 경험의 차별 유형화에 대한 연구」(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러한 상호 얽힘에도 불구하고 나는 계속해서 경제 부정의와 문화 부정의를 분석적으로 구분할 것이다. 그리고 이로부터 두 종류의 서로 다른 개선책 또한 구분할 것이다. 경제 부정의의 개선책은 특정한 유형으로 정치-경제를 재구조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소득 재분배, 노동 분업의 재조직, 민주적 결정에 따른 투자, 또는 여타 기본적 경제 구조의 변혁을 포함할 것이다. 이런 다양한 개선책은 그 강조점에 있어서 구분되지만 나는 이 전부를 총괄해 ‘재분배’라는 용어로 나타낼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문화 부정의에 대한 개선책은 특정 유형의 문화적 혹은 상징적 변화이다. 이것은 무시된 정체성과 비난받는 집단의 문화 생산물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것은 모든 사람의 자아감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사회의 재현·해석·의사소통 패턴을 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책들은 그 강조점에 있어서 구분되지만 나는 이 전부를 총괄해 ‘인정’이라는 용어로 나타낼 것이다. (낸시 프레이저, 「재분배에서 인정으로?」)


프레이저는 『중단된 정의』에서 “젠더”가 “정치경제의 기본적인 구조적 원리”임을 인정했지만, 그 근거는 젠더가 무급 재생산 노동을 구조화한다는 것이었다. 비록 그녀는 레즈비언과 게이의 해방 투쟁을 지지하고 동성애 혐오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명확하게 밝혔지만, 자신이 제안한 개념화와 관련하여 이러한 지지가 어떤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지를 충분히 급진적으로 밀어붙이지는 않았다. 프레이저는 정치경제 내에서 ‘젠더’의 장소를 보증하는 재생산 영역이 어떻게 성적 규제에 의해 제한되는지, 즉 어떤 강제적 배제를 통해 재생산 영역이 제한당하고 그것이 자연스러운 것처럼 고착되는지 묻지 않는다. 규범적인 이성애 중심주의와 그 ‘젠더들’이 어떻게 재생산 영역 내에서 생산되는지를 분석할 방법이 있는가? 더군다나 트랜스젠더뿐 아니라 동성애와 양성애도 성적 ‘비체’abject로 생산하는 강제적 방식을 언급하지 않은 채, 그리고 바로 이러한 규제라는 사회 메커니즘을 적절하게 설명하도록 생산양식을 확장하지 않은 채 이를 분석할 방법이 있는가? 따라서 이러한 생산들이 정치경제의 성적 질서가 기능하는 데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말해 그런 생산들이 정치경제의 실행 가능성에 근본적인 위협을 구성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러한 생산들을 ‘단지 문화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잘못이다. (주디스 버틀러, 「단지 문화적인」)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정 정치가 경제 정의에 관한 관심사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려는 경향을 비판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프레이저의 지적은 옳다. 그러나 프레이저가 제안하는 해결책, 즉 정치경제를 전적으로 문화에 반대되는 것으로 재범주화하는 방식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킨다. 정치경제와 문화에 대한 프레이저식의 이분법은 페미니스트, 인종차별 반대자, 동성애 운동가가 인정 그 자체를 목적으로 추구하는 것처럼 간주한다. 그러나 이들이 문화적 인정을 추구하는 이유는 그것이 경제 정의와 정치 정의를 위한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아이리스 매리언 영, 「제멋대로의 범주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