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테마 한국불교 3

테마 한국불교 3

김호귀, 고승학, 이자랑, 김영진, 김기종, 김용태, 박광연, 정영식, 강호선, 박서연 (지은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엮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테마 한국불교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테마 한국불교 3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1449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테마 한국불교 시리즈 3권. 본성론에 입각해 성립된 중국불교의 교리와 사상을 수용함에 있어, 한국의 경우 여러 종파의 이론과 각자의 대립적인 주장들을 최대한 종합하여 조화를 이루려는 통섭적인 경향을 드러냈다.

목차

머리말_ 김종욱

총 설_ 김용태

제1부 사유와 가치

선禪 _ 김호귀 ● 43

I. 선의 원류와 형성 44
선의 발생 44/ 조사선의 형성 46/ 선종오가의 전승 48
II. 나말여초 선의 전래와 수용 50
동산법문의 수용 50/ 남종선의 전래 52/ 구산선문의 형성 54
III. 고려시대 선의 정착과 발전 56
전기의 선종 상황 56/ 고려 간화선의 형성 60/ 임제선법의 전승 및 계승 62
IV. 조선시대 선법의 계승과 전개 65
전법사승의 강조 65/ 선교 융합의 전통 68/ 조선말의 선리논쟁 73
■ 선교 차별에서 선교 융합으로 77

세간世間 _ 고승학 ● 83

I. 세간을 바라보는 불교의 관점들 84
‘세간’이라는 말 84/ 초기불교의 출세간 지향 87/ 대승불교의 출출세간 지향 90
II. 신라 불교도들의 세간관 : 원효의 사상을 중심으로 94
세간을 밝히는 계율 94/ 세간에 작용하는 열반 100/ 정토의 현실화 107
III. 고려와 조선 전기 불교계의 부침과 세간관의 동요 110
고려인들의 적극적 초월 추구 110/ 조선의 개국과 불교적 가치의 쇠퇴 112
IV. 조선 중후기의 불교적 세간관 부활 114
의승병의 활약과 불교의 세간 참여 114/ 세간적 가치의 제한적 수용 116
■ 출출세간 지향으로부터 세간 참여로 118

무격巫覡 _ 김영진 ● 121

I. 무격과 신라인의 자연 숭배 122
무격의 의미 122/ 무격의 종류 125/ 신라의 무교와 무격 128
II. 신라 불교의 자연신격 수용과 주술화 133
신라인의 세계관 133/ 불교의 자연신격 수용 136/ 무격과 승려
의 주술 경쟁 141
III. 신성공간의 재구성과 영토화 147
무교와 불교의 쟁투 147/ 칠처가람지와 영토화 150/ 기억의 점유 152
■ 불교의 자연 숭배와 주술화 156

제2부 종교와 국가

불국토佛國土 _ 박광연 ● 161

I. 불국토의 기원과 전개 162
불교의 세계관 162/ 불신佛身과 불토佛土 163/ 황제의 불국토 167
II. 삼국시대 불국토 인식의 수용 170
화랑, 미륵보살의 화신 170/ 자장慈藏과 황룡사 173/ 불연국토설의 성립 175
III. 통일신라시대 불국토 인식의 확산 177
정불국토의 구현과 불국사 177/ 오대산신앙과 천관보살신앙 180
IV. 고려·조선시대 불국토 인식의 내재화 184
금강산 담무갈보살신앙과 보개산 지장보살신앙 184/ 세조의 『관음현상기』와 그 후 187
■ 불·보살이 머무는 나라 190

계율戒律 _ 이자랑 ● 197

Ⅰ. 계율의 성립과 동아시아적 전개 198
바라제목차의 성립 198/ 오계와 팔재계 200/ 십선계와 삼취정계 202/ 범망보살계의 등장 204
Ⅱ. 삼국시대 계율 수용과 교단 정비 207
고구려와 백제의 계율 수용 207/ 원광의 세속오계 210/ 자장과 수계의식의 정비 213
Ⅲ. 통일신라시대 보살계의 발전 215
원효의 범망계 설시 215/ 의상의 지계의식 217/ 유식학승과 계율 연구 219/ 진표와 점찰계 221
Ⅳ. 고려 및 조선시대 계율의 현실적 변용 223
관단수계의 제도화와 국왕의 보살계 수계 223/ 청규의 설행 226/ 승군과 계율 229/ 율맥의 회생 231
■ 호국과 계율의 갈림길 234

사장寺匠 _ 강호선 ● 239

I. 고대 관영官營수공업으로서의 사원수공업과 승장 240
장인匠人과 “사장寺匠” 240/ 고대 사원수공업의 시작과 전개 243/ 사원성전寺院成典과 승장僧匠 247
Ⅱ. 고려시대 사원수공업의 다양화 251
고려시대 수공업 전개와 사원수공업 251/ 승장과 공역승供役僧 그리고 수원승도隨院僧徒 256/ 사경승寫經僧과 화사?師의 활동 260
Ⅲ. 조선시대 불교정책과 사원수공업 263
국가적 건설사업과 공역승 263/ 공납과 진상의 폐해 268/ 전문적 승장 집단 및 유파의 등장 274
■ 사장, 한국불교문화유산의 생산자 280

제3부 문화와 교류

태고太古·나옹懶翁 _ 정영식 ● 287

Ⅰ. 원간섭기의 고려 선종 288
13~14세기 원대불교 288/ 고려에 미친 원대불교의 영향 289/ 고려선승의 입원구법入元求法 291
Ⅱ. 태고 보우의 간화선법 293
생애 293/ 임제선법의 전래 294/ 간화선 중심주의 295/ 교단개혁 298
Ⅲ. 나옹 혜근의 임제선풍 300
생애 300/ 지공의 영향 301/ 임제정종의 고취 303/ 공부십절목功夫十節目 305
Ⅳ. 태고·나옹과 여말선초 불교 308
간화선의 수용과 정착 308/ 나옹계의 활약 310/ 태고·나옹과 법통 문제 312
■ 한국 간화선을 확립한 두 고승 315

구결口訣 _ 김기종 ● 319

Ⅰ. 구결이란 무엇인가? 320
이두, 향찰, 구결 320/ 구결의 유형 321
Ⅱ. 신라시대 구결의 기원과 전개 324
의상과 설총의 구결 324/ 일본 훈점訓點과의 관계 327/ 신라 구결의 잔영 329
Ⅲ. 고려시대 석독구결과 불전佛典의 번역 331
자토字吐 구결과 점토點吐 구결 331/ 12세기의 구결문 335/ 13세기의 구결문 337
Ⅳ. 조선시대 음독구결과 한문독법 340
구결문과 언해문 340/ 유가儒家와 불가佛家의 구결 342/ 조선 후기의 구결 인식 345
■ 한문의 학습과 지식의 체득體得 348

결사結社 _ 박서연 ● 353

I. 결사란 무엇인가? 354
결사, 향도, 계 354/ 결사의 기원 357/ 여산 혜원의 백련사白蓮社 359
II. 신라시대 결사의 성립 361
김유신의 용화향도龍華香徒 361/ 경덕왕대의 만일계萬日契 363/ 오대산 결사와 화엄·추모 결사 366
III. 고려시대 결사의 성행 370
만일결사와 지리산 수정사水精社 370/ 지눌의 정혜定慧결사 373/ 요세의 백련결사 376
IV. 조선시대 결사의 계승 381
사찰계寺刹契와 결사 381/ 백파의 수선修禪결사 384/ 경허의 수선결사 386
■ 신앙과 수행을 향한 승속僧俗의 염원 389

찾아보기 _ 394

저자 소개 _ 410

저자소개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고승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광주 출생. 1996년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2011년 UCL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ultures에서 박사학위 취득. 동국대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능인대학원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2017년부터 금강대학교 로터스칼리지 조교수로 재직 중. * 주요 저역서: Buddhist Thought of Korea (고익진, 『한국의 불교사상』 영역본;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021), 『불교』 (데미언 키온 저,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한글역, 교유서가, 2020) 외 화엄 및 동아시아 불교사상 관련 논문 다수.
펼치기
이자랑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인도철학·불교학 석사 및 박사 과정 졸업. 「초기불교교단의 연구-승단의 분열과 부파의 성립」으로 문학박사 학위 취득. 일본 도쿄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 『나를 일깨우는 계율이야기』, 『붓다와 39인의 제자』,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불교교단사론』, 『열반경 연구』 등의 번역서,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에 관한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불교학술진흥상(2007), 불이상(2015)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영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경남 삼천포 출생.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 동 대학원에서 중국 위진(魏晉) 시대 불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 『제물론석』 저자 장타이옌[章太炎]의 불교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철학과 박사후과정, 동국대 BK21연구단 박사후연구원,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캐나다 UBC 아시아학과 방문학자를 거쳤고 현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학부 교수이다. 그간 『중국 근대사상과 불교』, 『공(空)이란 무엇인가』, 『근대중국의 고승』, 『불교와 무(無)의 근대』, 『중국 근대불교학의 탄생』을 썼고, 이들 5권의 저서가 문광부와 학술원 추천 우수도서에 선정됐다. 이외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공역), 『근대중국사상사약론(近代中國思想史略論)』 등을 번역했다. 제3회 대원학술상(저서부문)과 제29회 불이상(학술부문)을 받았다. 박사학위 취득 이후 주로 사상사와 학술사 맥락에서 중국 근대불교를 연구했다. 상기 소개한 책은 그 과정의 성과다. 십여 년 전부터 한국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불교 철학의 시도라는 주제로 연구를 확장했다. 최남선, 김법린, 백성욱 등 몇몇 불교계 혹은 불교 관련 인물의 사상과 학술을 분석했고, 식민지 시기 불교계의 서양 철학 및 서양 사조 수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근대 간행 불교 잡지를 천천히 읽고 있다. 향후 수년간 이 분야에 집중할 요량이다.
펼치기
김기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BK21 한국어문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보고사, 2010),『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보고사, 2014),『불교와 한글: 글로컬리티의 문화사』(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역주) 월인천강지곡』(보고사, 2018),『한국 고전문학과 불교』(동국대학교 출판부, 2019.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일본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중국 송대(宋代)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했다. 대원불교문화상 대상과 원효학술상 대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및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로 있다.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조선시대 불교를 연구하고, 근대불교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박광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박사. 한국고대사, 불교사상사 전공. 서울대학교 규장학한국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역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국사학과 조교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소장. 논저|<신라 법화사상사 연구>(2013, 혜안), <테마한국불교 1~7>(2013~2019, 동국대출판부, 공저), <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중국문헌편>(2014, 동국대출판부, 공역), <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2015, 동국대출판부, 공역), <동아시아 종파불교-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2016, 민족사, 공저), <거란 불교사 연구>(2020, CIR, 공역) 등의 저서와 번역서가 있다. 진표(眞表)와 신라 찬술문헌들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신라 불교문화의 글로컬리티를 찾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불교 교단, 미륵, 보살계, 신라하대 불교문화, 불교사 사료 비판 및 활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정영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철학과 졸업 일본 동경대학교 불교학 박사 현재 고려대장경연구소 연구원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간추린 한국선사상사』, 「한국간화선의 원류』, 「고대 한국과 일본의 불교문화」(공역), 「천복승고·각범혜홍 그리고 보조지눌의 삼현문 해석」, 「종경록이 진각혜심에 미친 영향」 등 다수.
펼치기
강호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대 사학과 부교수.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고려말 나옹혜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조선 전기 불교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고려시대 국가의례로서의 불교의례 설행과 그 정치적 의미」, 「13세기 강도(江都) 및 개경(開京)의 사찰 운영」, 「고려불교사에서의 구산선문 개념 검토」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박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연구교수, 한국불교 및 화엄학 전공,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 동국대 한의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역임. 「신라 現身成佛 설화에 보이는 의상 화엄사상의 영향」, 「의상계 화엄수행론의 심리치유 가능성 고찰」, 「의상의 五尺身思想 연구」, 「滿文 『華嚴經續入法界品』에 관한 연구」, 「滿文 『금강경』의 내용과 특징」, 「乾隆帝의 滿文大藏經 序文에 관한 연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