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티베트 불교철학

티베트 불교철학

(티베트 불교철학의 의의와 가치)

마츠모토 시로 (지은이), 김명우, 윤종갑, 이태승, 권서용, 송재근 (옮긴이)
불교시대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티베트 불교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티베트 불교철학 (티베트 불교철학의 의의와 가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88980021154
· 쪽수 : 588쪽
· 출판일 : 2008-11-01

목차

머리말
한국어판 서문
약호 사용 문헌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한글 발음 원칙

서장 티베트 불교사 개설
제1절 티베트의 불교 초전
제2절 불교의 본격적 도입
제3절 삼예의 종론(宗論)
제4절 왕국불교의 성숙과 붕괴
제5절 교단의 부흥과 아티샤의 활약
제6절 카담파
제7절 사캬파
제8절 카규파
제9절 그 외의 종파와 부톤교학
제10절 총카파의 사상
제11절 게룩파의 발전
참고문헌

제1장 불교강요서
제1절 번역
A. <대소승요설>(전역)
B. <사견해요설>(전역)
C. <대승중관의>(부분역)
D. <견해요약>(부분역)
E. <견해의 구별>(부분역)
제2절 문제점의 고찰

제2장 <견해의 구별>에 있어서 중관 이해
제1절 <견해의 구별> 중관사상 해설부분의 번역
제2절 문제점의 고찰―‘유가행중관’과 ‘경중관’
(1) ‘유가행중관’과 ‘경중관’이라는 호칭에 대하여
(2) ‘유가행중관’과 ‘경중관’의 사상적 순위에 대하여
결론

제3장 유가행중관파에 대하여
시작하며
제1절 ‘유가행중관파’의 세속유식설
제2절 <중관장엄론> 제64게송―‘세속=세간극성’
제3절 <중관장엄론> 제91게송―유형상유식설
제4절 세속유식설과 방편유식설

제4장 총카파의 중관사상에 대하여
제1절 총카파 독자의 학설들
제2절 총카파 학설의 기원

제5장 탁창파의 총카파 비판
제1절 총카파 비판의 개요
제2절 총카파의 중관사상에 대한 비판

제6장 이변중관설에 대하여
제1절 티베트에 있어서 3종의 중관사상
제2절 이변중관설과 총카파
제3절 이변중관설의 여러 모습
제4절 인도의 중관사상과 이변중관설

제7장 총카파에 있어서 언설유의 설정
제1절 자립파의 부정대상 확인
제2절 <도차제대론>과 <밀의해명>의 차이점
제3절 <선설심수>의 의의―‘혜에 현현하는 것’

제8장 총카파의 자립논증 비판
제1절 유법의 일반성과 일치현현
제2절 양의 일치현현
제3절 일치현현에서 유자상으로

제9장 총카파 철학의 근본적 입장
제1절 이변중관설이란 무엇인가
제2절 이변중관설 비판과 연기설의 옹호
제3절 이변중관설의 총괄적 비판
제4절 이변중관설의 개별적 비판
제5절 결론―총카파 중관사상의 사상적 의의

제10장 총카파와 이변중관설
제1절 총카파에 있어서 2종 부정의 의미
제2절 바비베카의 ‘prasajya-prati.edha’ 이론
제3절 찬드라키르티의 이변중관설―이제설
제4절 찬드라키르티의 이변중관설―논증법
제5절 중관파에 있어서 pratijn?와 svatantra
제6절 총카파의 ‘유주장’설의 의의

맺음말―티베트 불교철학의 의의

초출일람(初出一覽)
티베트 불교사 연표
역자 후기
색인

저자소개

마츠모토 시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 불교학부를 졸업하고, 동경대학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전공하였다. 현재 고마자와대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緣起と空: 如來藏思想批判>, <道元思想論>, <チケべット佛敎哲學>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허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대학원과 동아대학대학원에서 수학하였으며, 유식사상을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의대학교 철학인문학부에 재직하고 있으며, 성심을 다해 학생을 가르치면서 불교 관련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유식삼십송과 유식불교』(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마음공부 첫걸음』(반야학술상), 『49재와 136지옥』, 『왕초보 반야심경 박사 되다』, 역서로는 『마음의 비밀』, 『오온과 유식』, 『유식으로 읽는 반야심경』 등이 있다. 지금까지 20권이 넘는 불교 관련 저·역서를 펴냈다. 논문으로는 「말나식과 함께하는 심소법 고찰」(퇴옹학술상), 「백일법문에 나타난 퇴옹 성철의 유식사상」, 「감산의 『팔식규구통설』에 나타난 말나식 고찰」 등 2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태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인도철학과 학사. 문학석사를 졸업하다. 일본 고마자와(駒澤)대학 불교학박사를 취득하다. 전 (사)한국불교연구원 원장. 전 일본인도학불교학회 이사. 전 인도철학회 학회장. 전 위덕대 불교문화학과 교수. 제11회 청송학술상 수상(2022.11/5). 저서로는 『실담자기와 망월사본 진언집 연구』(공저, 글익는들, 2004), 『을유불교산책』(정우서적 2006), 『샨타라크쉬타의 중관사상』(불교시대사, 2012), 『폐불훼석과 근대불교학의 성립』(올리브그린, 2020), 『인문학 독자를 위한 반야심경』(불광출판사, 2025) 외 다수의 저서와 역서, 논문이 있다. 현재 지성불교연구원 원장.
펼치기
권서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철학과를 졸업하다. 인도철학·인도불교철학·동양철학이 전공이며, 미래의 철학자들인 원효·경허·다르마키르티·에크하르트·화이트헤드·비트겐슈타인 사상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는 다르마키르티사상연구소 소장이다.
펼치기
송재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