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81338534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7-06-0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감동 없는 세상을 향해, 거침없이 하이킥! / 고영직
제1장 우리는 작품으로 승부한다
작품이 삶의 증거이다 / 이명원
무대에 미친 영혼의 연금술사 / 노이정
비상을 꿈꾼 은둔자 / 최태만
마루야마 겐지 가상 인터뷰 _ 그렇군, 그렇군요 / 박민규
아저씨, 휴일엔 살살 공연하겠습니다 / 조윤석
'내면의 망명지'에서 불멸의 언어를 쓰다 / 고영직
제2장 예술 아지트의 부활을 꿈꾸다
1980년대 애오개소극장을 아시나요? / 정희섭
우리는 지식 공동체를 꿈꾼다 / 고봉준
탑골은 연암일파의 아지트였다 / 박성순
중국예술의 둥지, 베이징 '798' / 김백균
프랑스는 왜 랭스-루브르를 선택했나 ? / 최정미
공간을 넘어 장소의 부활을 꿈꾸며 / 고영직
제3장 다시, 행동주의 예술이다
삼보일배는 '예술행동'이다 / 최성각
생명자치의 희망을 만들다 / 김화선
'해적방송국'의 볼륨을 높여라 / 박채은
점거하라, 저항하라, 창작하라! / 김강
스쾃은 '예술'이어야 한다 / 김희진
행동주의 예술현장은 어디인가 / 김종길
나의 체험적 예술행동론 / 최명수, 오수연, 김현성, 아시아문화네트워크(김근), 박이창식, 박경주(고영직), 스탑, 크랙다운(최지선)
'전위적 전위'로서의 예술운동을 바라며 / 김준기
제4장 축제 없는 축제가 '나'를 바꾼다
놀이라, 깨라, 뒤집어라 / 강원재
야하게, 더 야하게, 포르노의 신화를 뒤집자! / 김재희
여러분~ 우리집에 놀러오세요 / 이란주
나누고, 어울리고, 풀어놓아요 / 이근행
우리의 꿈터, 마포를 만들고 있어요 / 김종호
인자 원이 없구먼, 모다 잘 살드라고 / 전고필
대학축제, 새로운 진화를 꿈꾸어라 / 전민아
나비야, 단오날에 지평선 가자꾸나 / 배만규
'몸의 고고학'으로 맨몸의 관객과 호흡하라 / 안치운
우리 마을에는 동물원이 없어요 / 안치운
신바람 '흥한민국' 만들어보세 / 김선풍
중심 혹은, /이철송
제5장 젊은 아해들이 예술판을 질주하오
전위는 전진한다 : 70년대생 젊은 문학에 관한 브리핑 / 신형철
'네오팝'유생들, 심경을 얻다 / 반이정
대학로 연극문법을 바꾸는 젊은 극단들 / 이진아
젊은 예술가의 발언대 / 김민정, 조습, 배요섭, 정영두(김남수), 김기정, 마리오바르가스요사
구보 씨를 위한 문학 인프라를 구축하라 / 고명철
[ 좌담 ]
질주의 상상력, 상상력의 질주를 위하여 / 오창은 서진석 양기찬
[ 보론 ]
예술교육과 아름다운 세상
- 예술교육이 사람을 아름답게 한다 / 이병곤
- '삶의 그릇'을 위한 톨스토이의 선택 / 고영직
- 교사란 무엇인가? / 비탈리 B. 레미조프
책속에서
문화는 초월이되 낮은 곳으로부터의 초월이다. 우리는 낙원을 꿈꾸지만 그 낙원은 땅의 자력을 잊을 수 없는 최저낙원이고, 그런 점에서 우리는 유머감각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사람도 살고 작품도 살고, 게다가 세계 전체가 살아야 한다.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야 하는 것이 문화이고, 예술이고, 작품이며, 생성적 창조인 것이다. - 이명원, '작품이 삶의 증거이다' 중에서
인간을 위한 하늘과 땅이 있다면, 새들을 위한 하늘과 당이 있고, 물고기들을 위한 물과 땅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자연을 보호하고, 이를 통한 교육사업과 문화사업을 해서 사는 이들이 부러웠다. 자연은 그 어떤 것도 버릴 것이 없다는 진리를 절실하게 깨닫는 기회였다. 자연은 삶을 위한 최대의 문화상품이기도 했다. - 안치운, '우리 마을에는 동물원이 없어요' 중에서
한국의 문화예술은 새로운 희망의 철학을 향한 시선의 전환과 '고독'을 견딜 수 있는 정신적.문화적 항체가 요구된다. 지금, 여기의 문학예술은 어쩌면 고질의 병통에 가까운 제도화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지 모른다. - 고영직, '공간을 넘어 장소의 부활을 꿈꾸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