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8494506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5-30
책 소개
목차
사회인문학총서 발간에 부쳐
책을 내면서
1부 공공성의 성리학적 재구성
주권의 역설과 유교적 공공성:그 문법과 동학(動學)|박영도
Ⅰ. 들어가는 말
Ⅱ. 주권의 역설과 유법(儒法) 결합
Ⅲ. 유교적 법치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
Ⅳ. 정치와 도덕의 변증법과 천리의 공공성
Ⅴ. 천리와 민생의 변증법과 민본적 공공성
Ⅵ. 유교적 공론의 숙의적 공공성:천리와 민의의 만남
Ⅶ. 맺음말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朱熹)의 인식과 공공성 교육|황금중
Ⅰ. 들어가는 말
Ⅱ.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의 인식
Ⅲ. 공(公)과 인(仁)에서 예(禮)로 옮아갈 때:노자의 관점에서 본 유가 예론
Ⅳ. 공(公)과 사(私), 그리고 개체성
Ⅴ. 주희의 공/사관을 통해 본 공공성 교육
성리학적 공공성의 민주적 재구성 가능성|나종석
Ⅰ. 들어가는 말
Ⅱ. 주희의 공생적.연계적 공공성 이론과 공(公) 이론의 창신
Ⅲ. 주희의 유교적 공론(公論) 정치이론
Ⅳ. 공생적.연계적 공공성이론과 민주주의
2부 실학의 새로운 이해와 공공성
다산(茶山)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몇 가지 비판적 고찰|박영도
Ⅰ. 들어가는 말
Ⅱ. 유교적 공공성에서 실학적 공공성으로
Ⅲ. 천리에서 상제로의 이행과 그 함의
Ⅳ. 민본적 공공성의 이념과 그 분화
Ⅴ. 국가적 공공성의 강화와 숙의적 공공성의 축소:공공성의 탈언어화
Ⅵ. 맺음말
유교 지식인의 공(公) 관념과 공공(公共) 의식-이익, 정약용, 심대윤의 경우를 중심으로|백민정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익:‘천하공(天下公)’ 관념과 사(私), 욕(欲), 이(利) 개념
Ⅲ. 정약용:본성[性]의 욕망[嗜好]과 도심(道心)의 공적 의미
Ⅳ. 심대윤:‘호리오해(好利惡害)’의 본성 개념과 ‘천하동리(天下同利)’ 관념
Ⅴ. 공사론과 관련된 반성적 쟁점들
다산 정약용의 ‘민주(民主)’ 기획|김호
Ⅰ. 머리말
Ⅱ. 변등(辨等)의 정치학
Ⅲ. 토족(土族)의 교화
Ⅳ. 사족(士族)의 도덕성 회복
Ⅴ. 권분(勸分)의 책임과 공론(公論)
Ⅵ. ‘유보’된 소민(小民) 교화
Ⅶ. 맺음말
3부 유교와 타자
도쿠가와(德川) 유교와 ‘타자(他者)’의 문제|타지리 유이치로(田尻祐一郞)
Ⅰ. 머리말:과거제도.예악 부재의 역설
Ⅱ. 이토 진사이와 ‘타자의 발견’
Ⅲ. 지배의 도덕에서 공감의 도덕으로
Ⅳ. 맺음말:동아시아의 정신세계와 ‘타자의 발견’
공공성(公共性)의 타자들-실행(失行) 부녀의 배제와 감시, 공론(公論)의 이름으로|이숙인
Ⅰ. 들어가며
Ⅱ. 실행(失行) 여성과 그 자손
Ⅲ. 과부 여성의 규방
Ⅳ. 결론을 대신하며
“아내는 남편의 스승”:유교 문명화의 빛과 그늘|김상준
Ⅰ. 문명화와 여성화
Ⅱ. 루크레시아:공화국 로마의 어머니
Ⅲ. 죽음 앞에서 지키고자 하는 것을 바꾸지 않는다(見死不更其守)
Ⅳ. “아내는 남편의 스승”
Ⅴ. 다시 루크레시아-자살과 열녀
Ⅵ. 문명화 과정과 도덕성의 에너지 전환
찾아보기
필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