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박영도, 정일균, 백영서, 조경란, 나종석 (지은이)
혜안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8494507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4-05-30

책 소개

동아시아의 유교문화 전통 속에 내재되어 있는 공공성의 논리를 오늘의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선 인권 및 민주주의와 관련한 오늘의 물음에 대해 유교가 어떤 대답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목차

사회인문학총서 발간에 부쳐
책을 내면서

1부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유교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과 그 민주주의적 함의|박영도
Ⅰ. 유교적 계몽정치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
Ⅱ. 유교적 공공성의 민주주의적 함의
Ⅲ. 공적 숙의, 엘리트주의, 민주주의:엘리트주의적/권위주의적 숙의로부터 민주적 숙의로
Ⅳ. 천리(天理)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의 필요성
Ⅴ. 유교적 계몽의 변증법과 그 경로
Ⅵ. 유교적 계몽의 변증법과 자유의 역설

인권에 대한 유교적 정당화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나종석
Ⅰ. 들어가는 말
Ⅱ. 유교적 어짊(仁)의 자율성과 칸트의 이성주의적 자율성 이념
Ⅲ. 어짊(仁)의 자율성 이론과 인권 이해의 새로운 가능성
Ⅳ. 성기/성물(成己/成物)의 변증법과 유교적인 어짊의 자율성론의 구체화
Ⅴ. 나가는 글

동아시아 인권 담론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전망-한국의 인권 담론과 동아시아 인권사상의 비판적 재구성|조경란
Ⅰ. 서론:동아시아에서 인권담론의 배경과 조건
Ⅱ. 유가적 인권 담론의 의미와 한계
Ⅲ. 보편적 인권과 보편적 인권에 대한 비판
Ⅳ. 동아시아 인권사상의 비판적 재구성을 위하여

2부 공공성의 위기와 유교적 대응
위험사회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생태 민주적 공공성에 대한 유교의 기여|박영도
Ⅰ. 들어가는 말
Ⅱ. 생태윤리로부터 생태 민주적 공공성으로
Ⅲ. 유교적 계몽정치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
Ⅳ. 유교적 공공성에서 생태 민주주의적 공공성으로: 유교적 계몽의 변증법과 그 경로
Ⅴ. 환경정의와 생태 민주적 공공성
Ⅵ. 생태계의 바다에 떠있는 민주적 공공성의 배

중국의 유학담론과 복수(複數)의 공공성-문화대혁명시기 유학담론과 비교하여|조경란
Ⅰ. 왜 ‘복수의 공공성’인가
Ⅱ. 유학소환에서 정체성, 역사성, 윤리성
Ⅲ. 유학담론의 태도와 복수의 공공성
Ⅳ. 맺음말

자유주의적 공사이원론의 위기와 유교적 대안|나종석
Ⅰ. 들어가는 말
Ⅱ. 주자학 이전의 전통적인 공(公) 개념의 성격 분석
Ⅲ. 주자학에서의 공 개념의 확장과 체계화
Ⅳ. 주희의 공 이론에 대한 몇 가지 쟁점들
Ⅴ. 맺는말:주희의 공생적.연계적 공공성 이론의 현재성

3부 현대 동아시아에서의 유교
1950.60년대 ‘근대화’와 다산 호출|정일균
Ⅰ. 머리말
Ⅱ. 1950.60년대의 시대상황:분단과 ‘두 개의 다산 호출’
Ⅲ. 1950.60년대 ‘실학’ 담론의 지형:‘다산 호출’의 양상Ⅰ
Ⅳ. 1950.60년대 ‘다산’ 연구의 주요동향:‘다산 호출’의 양상 Ⅱ
Ⅴ. 맺음말:21세기 ‘다산 호출’의 방법론에 관한 일 단상

한국 민주주의와 유교문화:한국민주주의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나종석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의 사회적 상상으로서의 유교적 전통
Ⅲ. 유교망국론
Ⅳ. 유교전통과 민주주의
Ⅴ. 선비정신과 민주주의의 결합으로서의 한국 민주화 운동
Ⅵ. 민주화 운동과의 접촉을 통한 유교전통의 변형
Ⅶ. 나가는 말

‘중국특색적’ 보편주의의 미래-유교와 공공성을 다시 묻다|백영서

찾아보기
필자 소개

저자소개

박영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비판의 변증법>,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 <포스트모던 테제>(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사실성과 타당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민주주의의 역설과 경계의 사유], [다산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과 그 민주적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일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졸업(문학학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대학원 사회학과 졸업(문학석사·문학박사) 주요 저서 『茶山 四書經學 硏究』 『葛川 林薰의 생애와 사상』 『조선시대 충청지역의 예학과 교육』(공저) 『전통 예교와 시민 윤리』(공저) 『인본주의와 지식정보사회』(공저) 『고종시대 공문서 연구』(공저)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공저) 등
펼치기
백영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학술 활동으로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사회 활동으로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세계중국학공헌상(2023년)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나남출판),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 1949, 1989』(창비), 『사회인문학의 길: 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창비),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공생사회를 위한 실천과제』(창비),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창비), 『중국현대대학문화연구: 정체성 위기와 사회변혁』(일조각) 등이 있고,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책과함께), 『생각하고 저항하는 이를 위하여: 리영희 선집』(창비), 『내일을 읽는 한·중 관계사』(알에이치코리아), 『한국의 미美를 읽다』(연립서가), 『한국의 마음心을 읽다』(독개비) 등 다수의 책을 엮었다.
펼치기
조경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서 중국 현대사상과 동아시아 현대사상을 연구하고 있다. 총리실 산하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특별위원회 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지냈다. 『중앙일보』, 『주간동아』 등 칼럼니스트를 지냈다. 홍콩 중문대학교에서 포닥, 북경대 초빙교수, 절강대학 방문학자를 지냈다. 논문으로 「AI 시대, ‘레드차이나’와 ‘디지털 레닌주의’ - 이중의 감시 체계: ‘디지털차이나’와 ‘센티널차이나’」, 「중국의 ‘메타서사’와 소프트파워의 딜레마」 등이 있다. 단독저서로는 『현대중국 지식인 지도』, 『20세기 중국 지식의 탄생』, 『국가, 유학, 지식인』 등이 있다. 공저로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등 다수가 있다. 대한민국 학술원, 열암철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나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헤겔과 비코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와철학연구회 회장과 한국헤겔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대한철학회 부회장으로 있으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및 한국학협동과정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독일 관념론, 현대 서구 정치철학, 동아시아 유학사상 그리고 한국 현대사상 등이다. 저서로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정치철학』(2007), 『삶으로서의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2007),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서구 현대성과 복수의 현대성 사이』(2012), 『대동민주 유학과 21세기 실학: 한국민주주의론의 재정립』(2017), 『대동민주주의와 21세기 유가적 비판이론의 모색』(2023), 『유학과 동아시아』(편저, 2018),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 2011), 『한국 인문학의 형성』(공저, 2011),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공저, 2014),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공저, 2014), 『디아스포라: 민족 정체성, 문학과 역사』(공저,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비토리오 회슬레의 『비토리오 회슬레, 21세기의 객관적 관념론』(2007), 미하엘 토이니센의 『존재와 가상: 헤겔 논리학의 비판적 기능』(2008), 카를 슈미트의 『현대 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상황』(2012), 기무라 에이이치의 『공자와 ≪논어≫』(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