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8494507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4-05-30
책 소개
목차
사회인문학총서 발간에 부쳐
책을 내면서
1부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유교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과 그 민주주의적 함의|박영도
Ⅰ. 유교적 계몽정치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
Ⅱ. 유교적 공공성의 민주주의적 함의
Ⅲ. 공적 숙의, 엘리트주의, 민주주의:엘리트주의적/권위주의적 숙의로부터 민주적 숙의로
Ⅳ. 천리(天理)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의 필요성
Ⅴ. 유교적 계몽의 변증법과 그 경로
Ⅵ. 유교적 계몽의 변증법과 자유의 역설
인권에 대한 유교적 정당화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나종석
Ⅰ. 들어가는 말
Ⅱ. 유교적 어짊(仁)의 자율성과 칸트의 이성주의적 자율성 이념
Ⅲ. 어짊(仁)의 자율성 이론과 인권 이해의 새로운 가능성
Ⅳ. 성기/성물(成己/成物)의 변증법과 유교적인 어짊의 자율성론의 구체화
Ⅴ. 나가는 글
동아시아 인권 담론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전망-한국의 인권 담론과 동아시아 인권사상의 비판적 재구성|조경란
Ⅰ. 서론:동아시아에서 인권담론의 배경과 조건
Ⅱ. 유가적 인권 담론의 의미와 한계
Ⅲ. 보편적 인권과 보편적 인권에 대한 비판
Ⅳ. 동아시아 인권사상의 비판적 재구성을 위하여
2부 공공성의 위기와 유교적 대응
위험사회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생태 민주적 공공성에 대한 유교의 기여|박영도
Ⅰ. 들어가는 말
Ⅱ. 생태윤리로부터 생태 민주적 공공성으로
Ⅲ. 유교적 계몽정치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
Ⅳ. 유교적 공공성에서 생태 민주주의적 공공성으로: 유교적 계몽의 변증법과 그 경로
Ⅴ. 환경정의와 생태 민주적 공공성
Ⅵ. 생태계의 바다에 떠있는 민주적 공공성의 배
중국의 유학담론과 복수(複數)의 공공성-문화대혁명시기 유학담론과 비교하여|조경란
Ⅰ. 왜 ‘복수의 공공성’인가
Ⅱ. 유학소환에서 정체성, 역사성, 윤리성
Ⅲ. 유학담론의 태도와 복수의 공공성
Ⅳ. 맺음말
자유주의적 공사이원론의 위기와 유교적 대안|나종석
Ⅰ. 들어가는 말
Ⅱ. 주자학 이전의 전통적인 공(公) 개념의 성격 분석
Ⅲ. 주자학에서의 공 개념의 확장과 체계화
Ⅳ. 주희의 공 이론에 대한 몇 가지 쟁점들
Ⅴ. 맺는말:주희의 공생적.연계적 공공성 이론의 현재성
3부 현대 동아시아에서의 유교
1950.60년대 ‘근대화’와 다산 호출|정일균
Ⅰ. 머리말
Ⅱ. 1950.60년대의 시대상황:분단과 ‘두 개의 다산 호출’
Ⅲ. 1950.60년대 ‘실학’ 담론의 지형:‘다산 호출’의 양상Ⅰ
Ⅳ. 1950.60년대 ‘다산’ 연구의 주요동향:‘다산 호출’의 양상 Ⅱ
Ⅴ. 맺음말:21세기 ‘다산 호출’의 방법론에 관한 일 단상
한국 민주주의와 유교문화:한국민주주의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나종석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의 사회적 상상으로서의 유교적 전통
Ⅲ. 유교망국론
Ⅳ. 유교전통과 민주주의
Ⅴ. 선비정신과 민주주의의 결합으로서의 한국 민주화 운동
Ⅵ. 민주화 운동과의 접촉을 통한 유교전통의 변형
Ⅶ. 나가는 말
‘중국특색적’ 보편주의의 미래-유교와 공공성을 다시 묻다|백영서
찾아보기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