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관계는 없다

성관계는 없다

(성적 차이에 관한 라캉주의적 탐구)

슬라보예 지젝, 알렌카 주판치치, 브루스 핑크, 조운 콥젝, 레나타 살레츨 (지은이), 김소연, 이성민, 신형철, 박대진, 김영찬, 김예리, 복도훈, 조창호 (옮긴이)
비(도서출판b)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관계는 없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관계는 없다 (성적 차이에 관한 라캉주의적 탐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자크 라캉
· ISBN : 978899545938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05-03-10

책 소개

슬라보예 지젝, 부르스 핑크, 조운 콥젝, 알렌카 주판치치, 레나타 살레츨 등 5명의 저명한 라캉 연구자들이 성과 성구분에 관한 라캉의 이론을 설명한 글 6편을 모아 엮었다.

목차

해제를 겸한 편역자 서문

제1부

성적 관계 같은 그런 것은 없다
거세
남근과 남근 기능
“성적 관계 같은 그런 것은 없다”
존재와 탈-존
성적 차이에 대한 새로운 은유 81
과 이성의 안락사
남근 함수
여성편: 수학적 실패
남성편: 역학적 실패
성적 차이와 초자아
기토와 성적 차이
칸트적인, 우주 속의 균열
기독교적 숭고, 혹은 ‘아래로의 종합’
‘성 구분 공식’
‘나는 내가 생각하는 곳에 있지 않다’
환상-응시로서의 코기토
‘자기의식은 하나의 대상이다’
‘나는 의심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촉박한 동일화

제2부

구멍 뚫린 시트의 사례
성적 차이의 실재
‘성 구분 공식’
영-제도로서의 성적 차이
‘탈세속적 사유’? 아니, 됐어!
타자: 상상적, 상징적, 실재적
역사주의와 실재
사랑과 성적 차이: 남자와 여자의 이중화된 파트너들
사랑에 빠진 남자들
섹슈얼리티 안의 불안
사랑에 빠진 여자들
사랑을 단념한다는 것

저자소개

슬라보예 지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서 태어나 류블랴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파리8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문학, 사회학, 예술과 대중문화를 넘나들며 전방위적 영향력을 끼치는 이 시대 가장 주목받는 사상가로 꼽힌다. 헤겔주의 철학자이자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자, 코뮤니스트이다. 현재는 영국 런던대학교 버크벡 인문학연구소 국제 소장, 미국 뉴욕대학교 독일어과 글로벌 석좌교수, 스위스 유럽대학원 철학과 교수,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학교 철학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잉여향유』, 『팬데믹 패닉』,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등이 있다.
펼치기
알렌카 주판치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슬로베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철학 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지젝이 자신과 주판치치와 돌라르를 '트로이카 당'이라고 부르듯 슬로베니아학파의 중심축 가운데 하나이다. 지은 책으로 <가장 짧은 그림자 The Shortest Shadow : Nietzsche's Philosophy of the Two>,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 <죽기에 완벽한 장소: 히치콕 영화들에서의 극장>, <실재의 윤리: 칸트와 라캉> 등이 있다.
펼치기
브루스 핑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Bruce Fink 교수는 현재 미국의 듀케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다. 파리8대학 정신분석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프랑스에서 7년간 정신분석가 훈련을 받은 영어권에서 최고의 정신분석학자로 알려져 있다. 라깡이 돌아가시기 직전에 세운 정신북석연구소인 Ecole de la Cause Freudienne의 회원이다. 또한 피츠버그 정신분석학회 및 연구소의 affiliated member로 활동하고 있다. 그가 영어권의 라까니언들한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95년에 나온 The Lacanian Subject: Between Language and Jouissance라는 첫 번째 저서 덕분일 것이다. 그의 두 번째 저서인 A Clinicl Introduc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 Theoryand Technique는 우리나라에서 '라깡과 정신의학'이란 엉뚱한 제목으로 번역되어 있다. 우리말로 번역된 또 한권의 저서는 '에크리 읽기'이다. 그는 현재 미국에서 임상심리학의 대학원생과 사회사업가, 정신과의사, 정신분석가, 정신치료자의 분석가로서 슈퍼바이저로서 활동하고 있으며 전화분석을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다.
펼치기
조운 콥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브라운 대학교 근대문화와 미디어학과 교수. 오랫동안 「옥토버」의 편집위원이었으며 현재는 버소 출판사에서 나오는 「S」의 편집위원이다. 2013년 브라운 대학교로 옮기기 전에 재직하던 버펄로의 뉴욕 주립대에서는 <정신분석과 문화 연구 센터>의 소장을 역임했으며 여기서 1995년부터 잡지 「Umbr(a)」를 발행했다. 「내 욕망을 읽어봐: 역사주의자들에 반대하는 라캉」(Read My Desire: Lacan against the Historicists)을 비롯, 11권에 이르는 저서 및 편저서를 출간했으며 각종 저널과 저술들에 60여 편에 달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레나타 살레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슬로베니아 출신 철학자이자 사회학자. 마르크스주의적 라캉주의 철학자로 라캉주의 정신분석학과 독일 관념론, 비판이론의 철학적 유산을 결합한 슬로베니아 정신분석학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주로 법·범죄학·정신분석학을 결합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대학교 범죄학연구소 수석연구원이자 런던 대학교 버크벡 칼리지 교수로 있으면서 런던 정치경제대학, 뉴욕의 카도조 로스쿨 등에서도 정신분석학과 법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선택이라는 이데올로기』The Tyranny of Choice(2010), 『불안들』On Anxiety(2004), 『성관계는 없다』Sexuation(공저)(2000), 『사랑과 증오의 도착들』(Per)versions of Love and Hate(1998), 『사랑의 대상으로서 시선과 목소리』Gaze and Voice as Love Objects(공저)(1996), 『자유의 전리품』The Spoils of Freedom(1994) 등이 있다.
펼치기
김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에서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를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비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주요 번역서로는 『삐딱하게 보기』,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 윤리와 승화』 외 다수, 주요 저서로는 『실재의 죽음』, 『사랑의 내막』, 『영화비평과 정신분석』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번역가.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과정을 수학했다. 중학교 교사로 생활하다 교직을 접고 오랫동안 철학, 미학, 심리학, 인류학 등을 공부하며 관심 분야의 집필 및 번역 작업을 해왔다. 저서로는 <철학하는 날들>, <말 놓을 용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동기간>, <아름다음과 정의로움에 대하여>, <디자인 철학>, <부정적인 것과 머물기> 등 다수가 있다. 현재 ‘가디서사학세미나’에서 공부하며 ‘서사학 총서’를 준비 중이다.
펼치기
신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2005년 계간 <문학동네>에 글을 발표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몰락의 에티카』 『느낌의 공동체』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인생의 역사』를 출간했다. 2014년 봄부터 2022년 여름까지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 재직했고, 2022년 가을부터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비교문학 협동과정)에 재직 중이다. 관심사는 예술의 윤리적 역량, 윤리의 비평적 역량, 비평의 예술적 역량이다.
펼치기
박대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정신분석학의 정치적 함의에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진주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불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대 초반부터 문학운동판에서 연극과 비평 활동을 하다가 200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문학 비평을 쓰기 시작했다. 저서로 『비평극장의 유령들』 『근대의 불안과 모더니즘』 『비평의 우울』 『문학이 하는 일』 『명작은 시대다』 『언어와 혁명─혁명 이후의 한국문학』 등이 있고, 함께 옮긴 책으로 『성관계는 없다─성적 차이에 관한 라캉주의적 탐구』 『근대성의 젠더』가 있다.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계명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예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6년 현재 한남대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복도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부교수. 『문학동네』(2005년 봄호)에 평론을 발표하면서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현대문학상(2007)을 수상했다. 저서로 『눈먼 자의 초상』, 『묵시록의 네 기사』, 『자폭하는 속물』, 『SF는 공상하지 않는다』, 『한국 창작 SF의 거의 모든 것』(공저), 『키워드로 읽는 SF』 등이 있고, 역서로 『성관계는 없다』(공역)가 있다.
펼치기
조창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사회학과 석사과정을 마쳤다. 옮긴 책으로 <성관계는 없다>, <가장 짧은 그림자>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