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라캉과 지젝

라캉과 지젝

(정치적, 신학적, 문화적 독법)

강응섭, 김석, 김소연, 김정한, 남인숙, 신명아, 이성민, 정혁현 (지은이)
글항아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라캉과 지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라캉과 지젝 (정치적, 신학적, 문화적 독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자크 라캉
· ISBN : 978896735126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8-15

책 소개

‘라캉과 지젝’이라는 주제로 기획된 이 책은 한국에서 2000년대 이후 가장 뜨거운 문화 현상의 하나이자 무시하기 힘든 지식권력이 되어버린 슬라보예 지젝 현상에 대해 한국의 소장 연구자들이 전문가적 안목으로 진지한 탐문과 논쟁을 시도하는 첫 작업이다.

목차

머리말: 지식 권력이 된 ‘지젝 현상’에 대한 탐구

1장 라캉과 지젝: 주체화 윤리와 공동선을 향한 정치혁명
뫼비우스의 띠: 연속성과 불연속성│부정성에 대한 입장│주체화│보편성을 향한 혁명과 자기 정립의 윤리│라캉을 넘어서

2장 정신분석의 정치: 라캉과 지젝

정신분석과 정치│라캉의 정치적 회의주의│지젝의 공산주의│정신분석에 적합한 정치는 무엇인가?

3장 한 라캉주의적 헤겔주의자의 충동적 자유

매듭을 풀 단서들│충동의 문제│헤겔로의 회귀│배움

4장 라캉과 지젝의 신 개념

‘신’이라는 기표에 관한 문제제기│신에 관한 담화의 짧은 역사│라캉의 신 개념│지젝의 신 개념│정신분석은 종교가 될 것인가?

5장 정신분석의 신학적 해석: ‘기의 없는 기표’와 성서 읽기

‘기의 없는 기표’에 대한 신학적 사유│‘라캉과 함께 지젝’은 ‘기의 없는 기표’를 도입한다│라캉식 표현에서 지젝을 돌아본다│‘기의 없는 기표’는 중세 스콜라 신학을 떠돌아다녔다│바울식 ‘직유의 길’은 ‘기의 없는 기표’로 통한다한국 신학을 치유하는 길

6장 지젝의 정치신학 연구: 사도 바울 읽기를 중심으로

정치적 담론과 신학의 만남│지젝의 ‘약한 정치’와 ‘신의 약함’│지젝과 바디우의 사도 바울 읽기│‘고통 중인 신’과 ‘그리스도의 괴물성’│죽음충동의 해체적 전략에 의한 새 정치신학의 가능성

7장 라캉의 이미지론에서 지젝의 영화론으로: 미혹의 스크린 혹은 베일과 가면의 은유에 관한 고찰

근대적 시각성의 문제: 추상적 주체와 사로잡히는 주체│스크린의 기능: 창문과 거울의 은유에서 베일과 가면의 은유로│인터페이스-스크린 효과: 봉합의 실패와 응시의 가시화│지젝은 왜 인지주의적 포스트-이론에 반대하는가?

8장 여성, 사랑의 주체와 내면의 발견: 시린 네샤트의 비디오 삼부작을 중심으로

내면과 사랑의 의미│시린 네샤트, 작업 배경│환희, 격동, 열정│존재하지 않는 여성과 시 그리고 사랑│시로 말하는 주체, 여성

주註
참고문헌

저자소개

정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살림교회 목사 지은 책으로 『영화가 재밌다 말씀이 새롭다』(공저), 『라캉과 지젝』(공저), 『라캉과 한국영화』(공저), 옮긴 책으로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공역), 『이웃』, 『전쟁과 선』, 『맥주 타이타닉 그리스도인』, 『성서의 공유사상』이 있다.
펼치기
신명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어문전공 교수이다. 정신분석 및 문화비평가. 2005년 영미문학연구회 공동대표, 2012년 한국라캉과현대정신분석학회(현 현대정신분석학회) 회장, 2015년 한국 비평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가톨릭교수협의회 경희대학교 대표이다.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다코타대학교에서 영문학 석사, 미국 게인즈빌 소재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 조선일보에 인문학 옹호 칼럼을 썼고 2002년 『월간 미술』에 라캉의 시각예술론을 게재하여 라캉의 정신분석을 대중에 소개하였다. 대만, 일본, 중국, 싱가포르, 사이프러스, 포르투갈의 포르투에서 개최된 학술대회에서 프로이트, 라캉, 들뢰즈 등의 비평이론가들에 대해 발표했다. 저서로는 국내에서 공저로 출판된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라깡의 재탄생』 『젠더를 말한다』 『20세기 미국소설의 이해』 『라깡, 사유의 모험』 『우리 시대의 욕망읽기』가 있고, 해외에서 출판된 Reconsidering Social Identification: Race, Gender, Calss and Caste(Abdul R. JanMohamed, 2011)가 있다. 역서로 『윌리엄 포크너: 현실과 피안을 넘나드는 예술가』, 2006년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독자로 돌아가기: 신비평에서 포스트모던 비평까지』와 『라깡 정신분석 사전』(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강응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를 거쳐, 몽펠리에개신교대학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 정신분석상담학 교수이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읽기』,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자크 라캉과 성서해석』, 『라깡과 기독교의 대화』,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다. 그 외에 신학과 정신분석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과 공저가 있다.
펼치기
김정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강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대중운동의 이데올로기 연구: 5·18광주항쟁과 6·4천안문 운동의 비교』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실천문학 편집위원, 문화 과학 편집위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 민간조사관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현대 정치철학연구회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 현대 정치철학을 통해 역사적 사회운동들을 새롭게 인식하고, 그와 함께 보편적 사회운동을 위한 정치철학을 탐구하는 ‘사 회운동과 정치철학의 마주침’을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 『대중과 폭력: 1991년 5월의 기억』, 『1980 대중 봉기의 민주주의』(제7회 일곡유인호학술상 수상), 『비혁명의 시대: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알튀세르 효과』(공 저), 『너와 나의 5·18』(공저),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80년대』 (공저),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in Global Perspective(공저), Korean Memories and Psycho-Historical Fragmentation(공저), Toward Democracy: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1945~1980(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폭력의 세기』, 『혁명가: 역사의 전복자들』(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5·18 항쟁 시기에 일어난 일가족 살인 사건: 전쟁, 학살, 기억」, 「5·18학살 이후의 미사未死: 아직 죽지 못한 삶들」, 「광주 학살의 내재성: 쿠데타, 베트남전쟁, 내전」 등이 있다.
펼치기
김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에서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를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비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주요 번역서로는 『삐딱하게 보기』,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 윤리와 승화』 외 다수, 주요 저서로는 『실재의 죽음』, 『사랑의 내막』, 『영화비평과 정신분석』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번역가.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과정을 수학했다. 중학교 교사로 생활하다 교직을 접고 오랫동안 철학, 미학, 심리학, 인류학 등을 공부하며 관심 분야의 집필 및 번역 작업을 해왔다. 저서로는 <철학하는 날들>, <말 놓을 용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동기간>, <아름다음과 정의로움에 대하여>, <디자인 철학>, <부정적인 것과 머물기> 등 다수가 있다. 현재 ‘가디서사학세미나’에서 공부하며 ‘서사학 총서’를 준비 중이다.
펼치기
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8대학(Paris-8) 철학과에서 ‘라캉의 욕망하는 주체’를 주제로 2005년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철학아카데미, 고려대, 시립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2009년~2017년 건국대학교 자율전공학부를 거쳐, 2018년부터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정신분석 개념과 철학 이론을 접목해 한국 사회의 집단 심리와 사회, 문화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공동체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관심을 쏟고 있다.
펼치기
남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 및 대학원에서 미학 및 예술론, 비평론 강의. 미술평론가. 지은 책으로 『발터 벤야민-모더니티와 도시』가 있고, 논문으로 「담화이론과 뒤샹의 성적 현실」 「현대미술과 대중의 관계」 「라깡의 라스 메니나스 해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