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자크 라캉
· ISBN : 978896735126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8-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지식 권력이 된 ‘지젝 현상’에 대한 탐구
1장 라캉과 지젝: 주체화 윤리와 공동선을 향한 정치혁명
뫼비우스의 띠: 연속성과 불연속성│부정성에 대한 입장│주체화│보편성을 향한 혁명과 자기 정립의 윤리│라캉을 넘어서
2장 정신분석의 정치: 라캉과 지젝
정신분석과 정치│라캉의 정치적 회의주의│지젝의 공산주의│정신분석에 적합한 정치는 무엇인가?
3장 한 라캉주의적 헤겔주의자의 충동적 자유
매듭을 풀 단서들│충동의 문제│헤겔로의 회귀│배움
4장 라캉과 지젝의 신 개념
‘신’이라는 기표에 관한 문제제기│신에 관한 담화의 짧은 역사│라캉의 신 개념│지젝의 신 개념│정신분석은 종교가 될 것인가?
5장 정신분석의 신학적 해석: ‘기의 없는 기표’와 성서 읽기
‘기의 없는 기표’에 대한 신학적 사유│‘라캉과 함께 지젝’은 ‘기의 없는 기표’를 도입한다│라캉식 표현에서 지젝을 돌아본다│‘기의 없는 기표’는 중세 스콜라 신학을 떠돌아다녔다│바울식 ‘직유의 길’은 ‘기의 없는 기표’로 통한다한국 신학을 치유하는 길
6장 지젝의 정치신학 연구: 사도 바울 읽기를 중심으로
정치적 담론과 신학의 만남│지젝의 ‘약한 정치’와 ‘신의 약함’│지젝과 바디우의 사도 바울 읽기│‘고통 중인 신’과 ‘그리스도의 괴물성’│죽음충동의 해체적 전략에 의한 새 정치신학의 가능성
7장 라캉의 이미지론에서 지젝의 영화론으로: 미혹의 스크린 혹은 베일과 가면의 은유에 관한 고찰
근대적 시각성의 문제: 추상적 주체와 사로잡히는 주체│스크린의 기능: 창문과 거울의 은유에서 베일과 가면의 은유로│인터페이스-스크린 효과: 봉합의 실패와 응시의 가시화│지젝은 왜 인지주의적 포스트-이론에 반대하는가?
8장 여성, 사랑의 주체와 내면의 발견: 시린 네샤트의 비디오 삼부작을 중심으로
내면과 사랑의 의미│시린 네샤트, 작업 배경│환희, 격동, 열정│존재하지 않는 여성과 시 그리고 사랑│시로 말하는 주체, 여성
주註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