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핑크 룸 푸른 얼굴

핑크 룸 푸른 얼굴

(윤석남의 미술 세계)

김혜순, 조한혜정, 김현주, 백지숙, 안경화, 고카츠 레이코 (지은이)
현실문화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핑크 룸 푸른 얼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핑크 룸 푸른 얼굴 (윤석남의 미술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가
· ISBN : 9788992214636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08-12-05

책 소개

이 책은 아르코미술관에서 개최한 윤석남의 개인전 <1,025: 사람과 사람없이>(2008.9.26~11.9)와 관련하여 기획되었다. 이 책에서 여성에서 유기견으로 이어지는 윤석남의 작업을 관통하는 그 무엇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목차

영매,윤석남 : 안경화

역사를 관통하는 여성의 힘 : 고카츠 레이코

윤석남의 미술과 여성 이야기 : 김현주

애타는 토템들의 힘찬 눈물 : 김혜순(대담)

모성,역사 그리고 여성의 자기진술 : 조혜정

윤석남의 눈,빛 : 백지숙

작가약력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혜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김혜순은 1979년 『문학과지성』 겨울호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또 다른 별에서』(1981),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1985), 『어느 별의 지옥』(1988), 『우리들의 음화』(1990), 『나의 우파니샤드, 서울』(1994), 『불쌍한 사랑 기계』(1997), 『달력 공장 공장장님 보세요』(2000), 『한 잔의 붉은 거울』(2004), 『당신의 첫』(2008), 『슬픔치약 거울크림』(2011), 『피어라 돼지』(2016), 『죽음의 자서전』(2016), 『날개 환상통』(2019),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2022), 시 산문집 『않아는 이렇게 말했다』(2016), 산문집 『여자짐승아시아하기』(2019), 시론집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2002), 『여성, 시하다』(2017), 인터뷰집 『김혜순의 말』(2023) 등을 펴냈다. 1989년부터 2021년 2월까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에 재직하며 수만은 시인·작가를 배출했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학부 명예교수이다. 김수영문학상(1997), 소월시문학상(2000), 현대시작품상(2000), 미당문학상(2006), 대산문학상(2008), 이형기문학상(2019), 대한민국문화예술상(2019), 캐나다 그리핀 시문학상(2019), 스웨덴 시카다상(2021), 삼성호암상 예술상(2022),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2024, 시 부문) 등을 수상하고, 영국 왕립문학협회 국제작가(2022),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AAAS) 회원(2025)으로 선정됐다.
펼치기
김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추계예술대학교 겸임교수
펼치기
백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와 4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퍼블릭 스토리》(2013~14) 예술감독이었으며, 아뜰리에 에르메스 예술감독(2011~1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관장과 인사미술공간의 프로젝트 디렉터를 역임했다(2005~08).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큐레이터와 마로니에미술관 수석 큐레이터를 지냈다. 2007년 뉴질랜드 고벳 브루스터 미술관의 《액티베이팅 코리아(Activating Korea: Tides of Collective Action)》, 2006년 광주비엔날레의 《마지막 장-길을 찾아서: 세계 도시 다시 그리다》, 2005년 독일 쿤스트할레 다름슈타트의 《시각의 전쟁(The Battle of Visions)》을 공동 기획했다. 2002년에는 대안공간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도시의 기억, 공간의 역사'를 조직하기도 했다.
펼치기
안경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월간미술, 아트선재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일하면서 추상미술, 공공미술, 미디어아트 등에 대한 논문 또는 글을 썼다. 현재 경기문화재단 정책실 수석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며 뮤지엄을 포함한 문화예술정책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고카츠 레이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도치기 현립미술관 학예과장
펼치기

책속에서

윤석남은 이 전시회에 신작 〈핑크 룸〉을 출품했다. 마루에 핑크빛 비즈를 촘촘히 깔고 갈고리가 튀어나온 소파와 의자에 동화된 여성, 나무판 모양의 여성을 배치한 설치는 2000년까지 이어지는 연작에 등장한다. 이전까지 어머니 세대 여성의 고뇌와 그것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힘을 그려온 윤석남은 이 연작에서 자기 세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삼아, 현대에도 어머니 세대와 마찬가지로 행동과 마음이 속박당하여 자유롭지 못한 여성의 내면을 표현했다. 이 〈핑크 룸〉 연작에는 어머니 세대의 여성들이 지닌 강인함이나 힘은 없고, 기이한 형광색 핑크와 번쩍대는 나전의 목판과 새틴 천으로 표현된 옷이 보여주는 허영의 아름다움과 허무함이 드러난다. 바닥에 흩어진 비즈 때문에 비틀대거나 넘어지는 불안정함이 덧붙여져 오히려 여성 내면의 유약함과 광기에 이르는 고뇌가 강조되었다. - p.31 중에서

윤석남이 지난 5년간 매달려온 작업은 이제까지의 작업과 사뭇 달라 보인다. 우선 인물이 사라지고 1,025마리의 개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2003년 1,025마리의 유기견을 돌보고 있다는 이애신 할머니에 대한 기사를 접한 그녀는 놀람 반 호기심 반으로 동생과 딸을 대동하고 그 현장을 찾았다. 유기견에 둘러싸여 살아가는 그 할머니는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 있었다. 그것은 21세기의 화두인 돌봄의 윤리를 실천하는 삶, 그 자체였다. - p.100 중에서


“억눌리고 소외받고 했던 사람이 더욱 폭넓은 이해와 사랑이 있다고 믿는다. 소외받은 사람이 더욱 넓은 사랑을 베풀 수 있다고 믿는다. 30대 초반에 내가 정신적인 문제가 생겨서 치유할 길이 없었는데, 그림을 그리면서 폭발하는 광기에 가까운 상태가 가라앉아갔다. 나는 그것을 김혜순의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에 나오는 ‘들림’에 가까운 상태라고 생각한다. 나는 그때 들렸었다. 정신적인 방황, 자기를 지워버리고 싶은 욕망의 과정에서 겪었던 고통이 무당 굿하듯이 그림으로 나오면서 자연스럽게 한꺼번에 말하고 싶은 욕망으로 나타나지 않았나 싶다. 이것이 나의 페미니즘이다.” - p.125~126 중에서

어머니를 그림으로 그리던 그는 어머니를 나무에다 새기기 시작했다. 평면이 싫어지더라고 했다. 거대한 캔버스 앞에서의 작업이 지루하고 부담스럽고 어딘지 어색하더라고 그는 말했다. 꼬무락 꼬무락거리면서 만드는 것이 하고 싶더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어머니를 나무에 그린다 했다. 우리 어머니들이 꼬무락거리면서 하던 일을 그는 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색채로는 절의 단청이나 나무 상여에 붙어 있는 장식들, 무당집에 가면 느껴지는 색들에 손이 가더라고 했다. 원초적이라고들 하는 색인데 왜 끌리는지는 모르겠다고 한다. 대모신의 비법을 따르고 싶은 것은 아닌지? 자신을 찾아, 여성성을 찾아 길 떠난 윤석남은 지금 위에서 논의한 여성 문학인들이 서성이는 언저리 어딘가에서 탐구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 p.210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