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7374851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4-11-0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이 책의 소중함에 대하여 이남호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바람의 자화상으로 달아나라 김승희
자화상
「수대동 시」 단상 황인숙
수대동 시
말할 수 없는 것과 말해 버린 것 김혜순
봄
이 시는 도대체 어디서 온 것인가 마종기
부활
이토록 눈물겨운 아롱 아롱! 고두현
귀촉도
절창에 녹다 정현종
푸르른 날
꽃아. 아침마다 개벽하는 꽃아.
생명 에너지의 역동적인 운동 김기택
국화 옆에서
좋은 귀신들의 힘 이은규
나의 시
마음의 극한에서 깊어진 노래 김사인
기도 1
꽃밭의 별과 종소리 이영광
상리과원
살의 일로써 고명재
선덕여왕의 말씀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 문정희
꽃밭의 독백
존재의 돋을새김으로서의 시 안희연
무제(종이야 될 테지…)
미당시의 회화적 색채와 이미지 이제하
어느 날 오후
내 마음속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
지극하면 맑고, 맑아지면 비끼어 간다 김언
동천
만남과 이별을 묵연하게 바라보는 슬기 문태준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한 사람의 꽃나무 박소란
무의 의미
체험된 감동의 침묵 박형준
저무는 황혼
선운사 동백 송찬호
선운사 동구
마흔하나 이현호
마흔다섯
저 꽃은 받았어야 했을까 이병률
나그네의 꽃다발
아주 먼 옛날 개나리 꽃나무 씨앗 이야기 권승섭
내가 심은 개나리내 뜰에 와서 살게 된 개나리 꽃나무 귀신
감나무야 감나무야 내 착한 감나무야
오해받는 일의 즐거움 한백양
신부
해일처럼 이야기가 서효인
해일
사랑과 신비 양안다
그 애가 물동이의 물을 한 방울도 안 엎지르고 걸어왔을 때
길들여지기를 거부하는 시 여세실
신발
때를 생각함 윤제림
겁의 때
시가 오는 부엌 앞 김민정
서리 오는 달밤 길
서정주 시의 힘과 ‘영원한 처음’의 순간 이혜미
초파일의 신발코
내가 가지고 싶은 시 장석남
년 월 바이칼 호수를 다녀와서
우리집 감나무에게 드리는 인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스물세 살 식민지 청년 시인의 순수한 리비도와 부정적 충동의 현대성. 충분치 않은 삶이지만 충분한 삶. 고통스런 죄가 많지만 아름다운 죄인. 「자화상」은 참으로 사랑하다가 숨이 끊어질 듯 아름다운 시다. -김승희
그때까지 한국의 대표시를 제법 섭렵했다고 믿었었는데 느낌부터 생판 다른 이 시는 도대체 어디서 온 것인가. 오래 헤어졌던 그리운 사람을 다시 만나는 것 같은 가슴 벅찬 행복감으로 「부활」을 어느 틈에 다 외워 버리고 말았다. -마종기
늘 ‘내 십팔번’이라고 말하고 불러온 「푸르른 날」이 왜 절창인지에 대해 한마디 해야겠다. 우리가 모두 ‘푸르른 날’ 느끼는 감정과 욕망을, 그리움의 밀도를 그 이상 더 잘 쓸 수 없게 노래해서 사람을 까무러치게 한다. -정현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