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추자도 바당

추자도 바당

주강현, 허남춘, 조성윤, 정광중, 양성필, 정희종, 윤순희, 김윤정, 고미 (지은이)
블루&노트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추자도 바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추자도 바당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9674624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10-29

책 소개

제주바당총서 1권. 독도만큼 관심을 받지는 못하지만 추자도는 한국에서 무척 유명한 섬이다. 우선 낚시꾼들에게 최고의 낚시터로 유명하고, 일본 어민들에게는 최고의 어장으로 알려진 적도 있다. 추자도에 사는 어민들은 지금은 조기잡이로 살아간다.

목차

서 문 / 5

추자도의 지리적 환경 / 정광중
1. 머리말 22
2. 자연환경의 이해 24
3. 인문환경의 이해 39
4. 맺음말 58

과거와 현재, 섬 문화의 변화 / 정희종
1. 머리말 64
2. 마을의 형성과 생업 65
3. 일제강점기의 추자도 69
4. 해방 이후의 추자도 75
5. 1980년대 이후의 추자도 79
6. 상추자와 하추자의 관계 97
7. 맺음말 101

추자도의 어종과 어구·어법 변화양상과 생태적 전략 / 주강현
1. 머리말 106
2. 풍부한 어장 조건과 어업권 분포 111
3. 어선어업의 다양성과 멸치·삼치·조기잡이 119
4. 추자도식의 무레꾼 130
5. 맺음말: 생태적 고갈과 미래적 선택 135

섬, 그리고 해녀 / 고미
1. 머리말 142
2. 추자도, 섬, 그리고 해녀 144
3. 맺음말 159

추자도 주민의 종교 생활 / 조성윤
1. 머리말 164
2. 개신교 165
3. 가톨릭 175
4. 불교 178
5. 창가학회 180
6. 민석박물관 182

묵리의 정월 풍경 / 윤순희
1. 머리말 188
2. 묵리 현황 190
3. 예전 묵리의 정월 풍경 192
4. 현재 정월 풍경 195
5. 맺음말 212

섬이어서 더욱 각별한 전통 - 기제사와 말래 공간 / 김윤정
1. 머리말 214
2. 제사참여 217
3. 제사봉행 220
4. 제수음식 222
5. 제사공간 224
6. 맺음말 229

바람과 물, 삶과 집 - 추자섬의 자연환경과 가옥구조 / 양성필
1. 머리말 232
2. 바람 235
3. 물 240
4. 가옥의 구조 244
5. 맺음말 253

추자도의 음식 문화 / 허남춘
1. 머리말 258
2. 대표 어종 260
3. 항구와 축제 264
4. 추자도의 사계절 맛 270
5. 환경과 공존, 그리고 추자도 277

해안특공기지와 일본군 주둔 / 조성윤
1. 머리말 284
2. 남아 있는 해안가와 산중턱의 굴 286
3. 추자도에 주둔한 일본군 부대 291
4. 맺음말 295

찾아보기 / 298

저자소개

주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해양문명사가. 제주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한평생 우리 문화와 바다에 관해 연구했습니다. 현재 제주도에 갤러리와 도서관 등이 결합한 복합문화공간 ‘라키비움 바다’를 만드는 중입니다.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장, 국립해양박물관장, 한국역사민속학회장 등을 거쳤으며, 포르투갈 해양학술원 회원으로 세계 바다를 답사하며 해양문명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어린이책 《탐라국, 제주》, 《바람의 섬, 제주》, 《강치야 독도야 동해바다야》, 《주강현의 우리문화》, 《명태를 찾습니다!》, 《조선 사람 표류기》 등과 《양정 인물 평전》,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환동해 문명사》, 《조기 평전》, 《제주기행》, 《등대의 세계사》, 《제국의 바다 식민의 바다》, 《관해기》, 《독도강치 멸종사》, 《독도견문록》 등 50여 권이 있습니다.
펼치기
조성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 사람으로 살다가 1982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하면서부터 제주 사람이 되었다. 공부하고 싶은 것, 연구해야 할 것들이 많아 오랫동안 논문 발표에 열중했으나 최근에는 자신의 연구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공부한 것들을 책으로 출판하자고 마음을 먹었다. 논문으로 「임오군란의 사회적 성격」, 「조선후기 서울 주민의 신분구조와 변동」이 있으며, 저서로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공저), <일제 말기 제주도 일본군 연구>(엮음), <빼앗긴 시대 빼앗긴 시절: 제주도 민중들의 이야기>(공저)가 있다. 2014년 현재 ‘오키나와 전쟁의 기억’, ‘남양군도’, ‘일본 신종교의 평화운동’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정광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동경학예대학(東京學藝大學) 대학원 교육학 석사, 일본대학(日本大學) 대학원 이학박사. 제주대학교 부총장 겸 교육대학장(전), 제주일보 및 제주신보 논설위원(전), 한국사진지리학회 회장(전), (사)제주학회 회장(전).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위원(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현). 저서: 《지리학을 빛낸 24인의 거장들》(한울아카데미, 2003, 공저), 《한라산의 인문지리》(도서출판 각, 2006, 공저), 《제주학과 만남》(제주학연구자모임, 2010, 공저), 《지역과 사회과교육》(제주대학교출판부, 2010, 공저), 《제주 돌문화경관 연구》(한그루, 2020, 공저), 《제주 콘서트》(한그루, 2021), 《한라산과 곶자왈》(제주특별자치도, 2021, 공저), 《제주의 용암 숲 곶자왈의 인문지리》(한그루, 2023), 《인문지리학자의 제주 산책》(한그루, 2024) 등
펼치기
양성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및 동 대학원에서 건축공부를 하였으며 제주대학교에서 철학과 한국학을 수학하였다. 현재 건축사사무소 아키제주를 운영하면서 제주의 살림집과 마을 조사를 틈틈이 하고 있다. 저서로는 『신화와 건축공간』(2012), 『집과 건축』(2019), 『제주 삼촌들에게 들어보는 집과 마을 이야기』(2021 세종도서)가 있다.
펼치기
정희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석사 과정을 마치고 현재 박사과정 중에 있다. 석사 학위 논문은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 문화 특징과 변화 연구]이며, 제주도 민속문화 및 지하수 자원이용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윤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석사 과정을 마치고 현재 박사과정 중에 있다. 석사 학위 논문은 [제주도 와산리 멩감제 연구]이며, 주요 관심 분야는 생태관광, 민속문화, 생활사 등이다. 한국연구재단의 ‘2012년 인문학대중화사업’으로 제주도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인문(학)여행학교’를 진행하였다. 현재 제주생태관광㈜에서 일하고 있다.
펼치기
김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제사문화와 통과의례, 민간신앙 등이다. 현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기제사 문화와 남녀 역할구조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 출신. 제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를 졸업했다. 한때 애니메이션에 빠져 외국어에 탐닉했고 동시통역에 대한 원대한 꿈을 꿨다. 이루지 못한 꿈에 몇 년 목을 매다 1996년 12월 제민일보에 입사, ‘기자’라는 명함을 만들었다. 문화부를 시작으로 경제부와 정치부, 교육부, 사회부를 두루 거쳤다. 2006년 질문 많고 고집 센 성격만 꼭 빼닮은 아이를 얻으며 현재 ‘11년차 워킹맘’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있다. 여러 부서를 거쳤지만 전체 기자 경력 중 절반 이상을 문화부에서 보냈다. ‘전시장’ 에 입성하기까지 2년 가까이 문화 예술 외곽부터 훑는 수련 과정을 거쳤고 이후도 매일 배우는 마음으로 현장을 찾고 있다. 2005년 대하 기획 ‘제주잠녀’팀에 합류, 11년 넘게 필드를 지키고 있다. 지역 문화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다는 욕심으로 2010년 제주대학교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에 입문, 수료했다. <추자도 바당>(공저, 블루노트, 2012) <통사로 살피는 제주해녀>(공저, 제주도(사)세계문화유산보존사업회, 2014) <제주해녀-역사의 고리를 연결하다>(공저, 제주도(사)세계문화유산보존사업회, 2015) 등의 작업에 참여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