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파트 글자 Apartment Letters

아파트 글자 Apartment Letters

강예린, 윤민구, 전가경, 정재완 (지은이)
사월의눈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파트 글자 Apartment Letters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파트 글자 Apartment Letters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집
· ISBN : 9788996937357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6-09-23

책 소개

사월의눈 6권.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글과 디자인이란 행위로 종사하는 두 사람이 2009년 ‘경북아파트' 레터링을 발견한 이후 틈틈이 수집해 온 아파트 글자들을 선보이는 첫 아파트 글자 콜렉션이다.

목차

도시의 캡션, 아파트 글자 전가경 15
아파트 외벽도장공 유영욱과의 만남 윤민구 63
An interview with apartment building painter Yoo Young-wook Yoon Mingoo 145
아파트 글자, 위치 좌표 그리고 측벽 강예린 137
Apartment letters, geographic coordinates and flank walls Yerin Kang 151

저자소개

정재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한 후 정병규출판디자인과 민음사출판그룹에서 북 디자이너로 일했다. 거리 글자에 관심을 가지고 2008년부터 개인전 〈글자풍경〉을 네 차례 열었으며, 2018년에는 전시 〈정재완 북 디자인전〉, 2019년 지역 시각 문화를 기반으로 한 〈(북성로) 글자풍경〉 전시를 열었다. 함께 지은 책으로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 『전집 디자인』 『아파트 글자』 『디자인된 문제들』 등이 있으며 디자인한 책 『산업의 자연사』가 1회 한솔 인스퍼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작업의 방식』이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에 선정되었다. 현재 영남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이자 AGI 회원, 한국디자인사학회 회원,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사진책 출판사 ‘사월의눈’ 북 디자인을 도맡고 있다.
펼치기
강예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가. 서울대학교 지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건축을 수학했다. OMA 로테르담과 협동원을 거쳐 이치훈, 정영준과 함께 2010년 SoA를 설립했으며, 2019년부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아르코미술관,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등의 전시에 참여했고, 2017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생산도시’를 기획했으며, 2023년에는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초청작가로 참여했다. 저서로는 『도서관 산책자』(2012), 『세 도시 이야기』(2014), 『아파트 글자』(2016)가 있다.
펼치기
강예린의 다른 책 >
전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래픽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강의하며, 대구에서 ‘사월의눈’이라는 이름으로 사진책을 기획하고 만든다. 박사 논문 『잡지 『뿌리깊은 나무』 연구: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중심으로』(2017)를 발표했고, 공백으로 놓여 있는 한국 그래픽 디자인 역사를 출판 기획 및 저술을 통해 채우는 데 관심이 있다. 『세계의 아트디렉터 10』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공저) 및 인터뷰집 『펼친 면의 대화』 등을 썼고, 한국 시각디자인 역사의 단면을 담은 『한국의 90년대 전시 도록 xyz』와 『정병규 사진 책』,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통해 지역성을 탐구하는 ‘리듬총서’를 기획했다. 2025년 전주국제영화제 《100 필름 100 포스터》 전시의 총감독을 맡았다.
펼치기
윤민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9년생. 그래픽디자이너 겸 글꼴 디자이너. 글자를 그리고 글꼴로 만든다. 2002년 웹폰트 바른글꼴을 시작으로 다양한 한글꼴을 만들었다. 별도의 관심사는 현대 공룡학.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에게 글자를 재료로 제공하고, 그 협업을 통해 예상치 못한 작업 결과를 생산하는 과정에 흥미가 많다. http://yoonmingoo.net
펼치기

책속에서



나아가 한국의 아파트에선 나는 아파트 이름과 심볼마크, 아파트 상단에 그려진 글자로 살아왔던 공간들의 희미한 테두리들을 짚어본다. 현대아파트의 보수적인 예서체, 주공아파트의 집 모양 심볼마크, 삼익아파트의 유별난 문장디자인과 신동아아파트의 데코마스적 기업 CI 디자인. 수집하는 한국의 아파트 글자엔 ‘살아야 하는 터전'이라는 인식 이전에 ‘소유하는 상표'로 환원될 수밖에 없는 우리의 집단적 기억 그리고 운명이 함께한다.
- 전가경, “도시의 캡션, 아파트 글자” 중


윤민구: 저는 개인적으로 글자를 ‘그린다'는 말을 좋아하는데요. 선생님의 글자 역시 그림처럼 그린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좋은 글자를 그리는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유영욱: 그렇지. 그림을 그리다 보니 글자를 그리기도 어렵진 않더라고. 보는 눈이 있으니까. 지금은 좀 작아져서 보통 한 글자 크기가 1.6-1.7m 정도인데, 멀리서 봤을 때 이상한 부분 없이 예쁘게 보여야 한다는 거야. 처음 글자 그리고 나서도 한 10년은 되어야 제대로 그릴 수 있어. 그러니 프로가 되려면 힘들지. 멀리서 보면 1-2cm만 틀려도 다 티가 나니까 그리기 전부터 가까이서 볼 때와 멀리서 볼 때 어떻게 보일지 머릿속에 다 그려놓아야 해. 설명하긴 어려운데 나만의 공식 같은게 있어. 글자가 우리 키만 하니까 몇 cm 그리고, 몇 cm 이동했는지 기억을 해놔야지 안 그러면 안 맞아. 글자의 두께나 공간에 대한 계산 그리고 간격이 딱 들어 맞아야 해. 사람 눈이라는 게 아주 예민해서 프로가 쓴 것과 프로가 아닌 사람이 쓴 게 생각보다 티가 나거든. 나만 보는 게 아니잖아. 아파트에 사는 사람, 살지 않는 사람 모두가 보는 글자니까. 요새는 공사 현장 소장들도 보는 눈이 있어. 당연히 내 맘대로 막 그릴 수가 없지. 누가 봐도 잘 그린 글자여야 해.
- 윤민구, “아파트 외벽도장공 유영욱과의 만남”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