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낭송 동의보감 외형편

낭송 동의보감 외형편

허준 (지은이), 류시성, 송혜경 (옮긴이), 고미숙 (기획)
북드라망
9,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910원 -10% 2,500원
490원
10,9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900원 -10% 340원 5,870원 >

책 이미지

낭송 동의보감 외형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낭송 동의보감 외형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9796952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12-22

책 소개

동양고전의 낭송을 통해 양생과 수행을 함께 이루는, ‘몸과 고전의 만남’ “낭송Q시리즈” 남주작편의 일곱 번째 책. 허준의 <동의보감>을 풀어읽은이들은 말한다. “외모는 중요하다”고. 잘생기고 못나(보이)고의 문제가 아니다. 외모는 “오장육부의 표현”이기 때문이란다.

목차

『동의보감』 「외형편」은 어떤 책인가 : 몸과 우주로 통하는 입구

1. 머리頭
1-1. 머리는 신이 사는 골짜기다
1-2. 머리에서 벌어지는 일들
1-3. 두통의 세계
1-4. 비듬퇴치법과 단방들

2. 얼굴面
2-1. 자체 발광의 비밀 : 얼굴은 오장의 표현이다
2-2. 얼굴이 추위를 견뎌내는 까닭
2-3. 얼굴이 뜨거운 것, 얼굴이 시린 것
2-4. 얼굴 관리법과 단방들

3. 눈眼
3-1. 눈, 오장육부가 띄우는 별이 빛나는 곳
3-2. 눈병의 세계
3-3. 시력이 나빠지는 이유
3-4. 눈에 병이 생기는 까닭
3-5. 독서로 손상된 눈을 관리하는 법
3-6. 눈병에 대처하는 방법
3-7. 눈병을 낫게 하는 단방들

4. 귀耳
4-1. 귀는 신장의 구멍, 혈기 조화의 바로미터
4-2. 귀에 생기는 병들
4-3. 귀에 벌레가 들어갔을 때

5. 코鼻
5-1. 코는 폐의 구멍, 신기의 문
5-2. 콧속의 병들
5-3. 딸기코, 그것이 알고 싶다
5-4. 코로 진단하기 혹은 콧병 퇴치법

6. 입과 혀口舌
6-1. 입과 혀 그리고 입술의 모든 것
6-2. 병과 입맛
6-3. 지독한 입냄새와 입안이 헌 것
6-4. 입술의 병들
6-5. 혀의 병들
6-6. 입에 생긴 황당 사건들
6-7. 입술과 혀의 진단법과 단방들

7. 치아牙齒
7-1. 치아는 뼈의 정수다
7-2. 치통의 세계
7-3. 흔들리고 시큰거리고 벌레 먹고
7-4. 치아를 튼튼하게!

8. 목구멍咽喉
8-1. 목구멍, 음식물과 숨의 통로
8-2. 목구멍의 병들
8-3. 목구멍병의 치료

9. 목頸項
9-1. 목을 따뜻하게 하라!
9-2. 뻣뻣한 목과 단방들

10. 등背
10-1. 등은 정기의 통로다
10-2. 등병은 폐병이다

11. 가슴胸
11-1. 가슴, 심장과 비장 사이
11-2. 가슴의 통증들 : 심통과 위완통
11-3. 가슴이 답답하거나 아프거나
11-4. 감정으로 가슴의 통증을 치료한다
11-5. 가슴을 편안하게 해주는 단방들

12. 젖가슴乳
12-1. 남자는 음경, 여자는 유방이 근본이다
12-2. 출산 후, 젖줄을 확보하라
12-3. 유방에 생기는 질병들
12-4. 바윗덩이 같은 근심이 암을 만든다
12-5. 젖가슴을 위한 단방들

13. 배腹
13-1. 땅을 산 사촌이 없는데도, 배가 아픈 까닭
13-2. 복통의 치료법과 단방들

14. 배꼽臍
14-1. 몸의 중심은 배꼽이다
14-2. 생명연장의 비밀

15. 허리腰
15-1. 허리는 신장의 거처다
15-2. 요통의 세계
15-3. 허리와 등의 통증을 다스리는 방법

16. 옆구리脇
16-1. 옆구리가 간이다
16-2. 협통의 세계
16-3. 겨드랑이 땀 퇴치법
16-4. 옆구리병의 단방들

17 피부皮
17-1. 12경락의 직조물, 피부
17-2. 가렵고 울긋불긋한 피부
17-3. 뾰루지와 땀띠 그리고 마비
17-4. 피부를 위한 단방들

18. 살肉
18-1. 살이 보배다
18-2. 살에 생기는 병들
18-3. 살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는 단방들

19. 맥脈
19-1. 기혈의 통로, 맥
19-2. 진맥의 묘리
19-3. 맥의 기준
19-4. 오만 가지 맥들
19-5. 사계절의 맥
19-6. 맥의 순환에 좋은 단방들

20. 근육筋
20-1. 근육은 간이 관리한다
20-2. 근육이 땅기거나 늘어지는 이유
20-3. 근육병들 : 경련에서 뒤틀림까지
20-4. 상한 근육을 풀어 주는 단방들

21. 뼈骨
21-1. 뼈는 골수의 집이다
21-2. 뼈로 들어간 한열(寒熱)
21-3. 아프고 상한 뼈 그리고 단방들

22. 팔手
22-1. 팔, 어깨부터 손가락까지
22-2. 열나는 팔다리, 나른한 팔다리
22-3. 팔과 어깨에 생기는 병들
22-4. 손바닥과 손톱으로 병을 헤아린다
22-5. 생인손과 손발이 트는 것

23. 다리足
23-1. 허벅지에서 복숭아뼈까지 : 다리의 모든 것
23-2. 다리의 한증과 열증 : 한궐과 열궐
23-3. 각기병의 증상과 치료법
23-4. 각기병의 금기사항과 안마법
23-5. 힘없는 다리, 위증
23-6. 다리에 생기는 온갖 병들과 단방들

24. 모발毛髮
24-1. 머리털은 피의 나머지다
24-2. 혈기가 털의 상태를 좌우한다
24-. 머리카락, 눈썹, 수염, 콧수염의 모든 것
24-4. 수염과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
24-5. 건강한 털을 위하여 : 수양법과 단방들
25. 생식기前陰 261
25-1. 근육의 우두머리, 생식기
25-2. 생식기에 병을 일으키는 통로
25-3. 산증의 원인에서 치료까지
25-4. 남자의 생식기병
25-5. 여자의 생식기병
25-6. 생식기를 튼튼하게 만드는 체조와 단방들

26. 항문後陰
26-1. 항문의 모든 것
26-2. 지독한 항문병, 치질
26-3. 피똥을 싸다, 장벽과 치루
26-4. 탈항과 가려움증
26-5. 항문병 퇴치법
26-6. 치질의 금기사항과 단방들

저자소개

허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30여 년 동안 왕실병원인 내의원의 어의로 활약하는 한편,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비롯한 8종의 의학서적을 집필. 허준은 뼈대 있는 무관의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허론(許?)과 양반 가문 출신인 어머니 영광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어머니의 신분이 정실(正室)이 아니었기에, 그의 신분은 중인으로 규정되었고, 이러한 신분은 문·무관보다 천하다고 여겨진 의관의 길을 택하는 데 작용하였다. 그럼에도 훌륭한 가문의 배경 덕에 허준은 어려서부터 경전·역사·의학에 관한 소양을 충실히 쌓을 수 있었다. 허준이 언제, 어떻게 의학을 공부했으며, 또 의관으로 나아갔는지를 일러주는 자료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관직으로 볼 때, 허준의 장년 이후의 삶은 세 시기로 나뉜다. 첫째, 내의원 관직을 얻은 1571년부터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까지이다. 이 21년 동안 허준은 내의(內醫)로서 크게 이름을 얻기는 했지만, 최고의 지위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1590년(선조 23) 허준은 왕세자의 천연두를 치료한 공으로 당상관 정3품의 품계를 받았다. 이 품계는 『경국대전(經國大典)』이 규정한 서자 출신인 허준이 받을 수 있는 최고 관직인 정3품의 한계를 깰 정도의 큰 상이었다. 둘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이후 선조가 승하하던 1608년(선조 41) 때까지이다. 허준이 선조의 의주 피난길에 동행하여 생사를 같이함으로써 그는 선조의 절대적인 신임을 얻었다. 1596년(선조 29) 왕세자의 난치병을 고친 공으로 중인 신분에서 벗어나 양반 중 하나인 동반(東班)에 적을 올렸다. 1604년(선조 37)에는 임진왜란 공신 책봉이 있었는데, 허준은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정되는 한편, 그는 본관인 양천(陽川)의 읍호(邑號)를 받아 양평군(陽平君)이 되었다. 이와 함께 품계도 승진하여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다. 1606년(선조 39) 선조의 중환을 호전시킨 공으로, 선조는 그에게 조선 최고의 품계인 정1품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를 주고자 했으나, 사간원·사헌부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쳐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셋째, 1608년(선조 41)부터 그가 죽던 해인 1615년(광해 7)까지이다. 이 7년은 시련기로 선조 승하의 책임을 지고 벼슬에서 쫓겨나고 먼 곳으로 귀향을 가는 등 불운이 있었고, 귀양에서 돌아온 이후에도 권세가 없는 평범한 내의로 지내다 고요하게 삶을 마쳤다. 1608년(선조 41) 선조가 병으로 죽자, 그것이 수의(首醫)인 그의 잘못이라는 탄핵을 받아 허준은 삭탈관직 되는 한편, 의주 유배형이 처해졌다. 그의 유배는 1년 8개월이 지난 1609년(광해 1)에 풀렸으며, 6년 후인 1615년(광해 7) 세상을 떴다. 사후 조정에서는 그의 공을 인정하여 정1품 보국숭록대부를 추증했다. 의관 허준의 출세는 조선의 역사에서 거의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파격의 연속이었다. 이는 그의 의술 솜씨와 우직한 충성이 빚어낸 성취였다. 이와 함께 이를 질시한 양반계급의 불만도 작지 않았다. ‘양반에게 굽실거리지 않으며, 임금의 은총을 믿고 교만스럽다.’는 세평(世評)도 존재했다.
펼치기
류시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지리산 자락에서 나고 자랐다. 어려서 집이 목장을 한 덕분에 소들과 함께 ‘방목’되었다. 그 영향으로 20대 내내 집 밖을 떠돌았고, 서른이 다 되어 갈 무렵 공부가 하고 싶어졌다. 아니 공부밖에 할 게 없었다. 그때 『논어』와 『동의보감』을 만났고, 그 인연으로 고전과 한의학의 세계에 빌붙어 살아가는 중이다. 지금은 ‘감이당’에서 청년백수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갑자서당』, 『혈자리서당』, 『누드글쓰기』 등이 있으며, 풀어 엮은 책으로 『낭송 논어/맹자』 등이 있다.
펼치기
송혜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교육에서 사교육까지 다 받았지만 이상하리만치 세상에 대해 아는 것이 없고 할 줄 아는 것도 없었다. 덜컥 고등학교 교사가 됐으나, 직업이 무지를 가려주지는 못했다. 더 이상은 안 되겠다 싶어 뒤늦게 인문의역학 공부의 세계에 입문했다. 팔자에 공부운이 많은 덕인지, 별다른 재주가 없지만 공부는 계속하고 있다. ‘감이당’에서 청년백수들과 고전과 한의학을 공부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절기서당』, 함께 풀어 엮은 책으로 『낭송 동의보감 외형편』이 있다.
펼치기
고미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전평론가. 강원도 함백 출신.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감이당 & 남산강학원에서 ‘밥과 친구와 생사의 비전’ 등 거의 모든 것을 해결하고 또 탐구하고 있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비롯한 열하일기 3종 세트,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를 비롯한 달인 4종 세트,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를 비롯한 동의보감 4종 세트, 근대성 3종 세트, 그 외에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 『조선에서 백수로 살기』,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몸에서 자연으로, 마음에서 우주로 with 동의보감 & 숫타니파타』 외 다수가 있다. 가장 최근에 낸 책으로는 『청년 붓다, 바람과 사자와 연꽃의 노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달이 반드시 햇빛을 받아야 빛을 내듯이, 사람의 귀와 눈도 반드시 양기를 받아야 비로소 밝아질 수 있다. 따라서 귀와 눈의 음혈(陰血)이 부족하면 양기가 더해지더라도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보고 듣는 것이 밝지 못하다. 귀와 눈의 양기가 부족하여도 음혈이 작용할 수 없으므로 역시 밝지 못하다. 그러므로 귀와 눈은 반드시 혈(血)과 기(氣)를 조화시켜야 비로소 밝게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게 된다.” (본문 60~61쪽)


“『내경』에서 말하길 “방광의 경맥은 모든 양陽의 경맥을 통솔한다. 그 경맥은 풍부혈(風府穴 : 머리 뒤쪽에 있는 혈자리)에 이어지므로 풍부혈이 모든 양의 기를 주관한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풍부는 한기가 처음 들어오는 곳이다. 북쪽 사람들은 모두 털로 목을 감싸고, 남쪽 사람들도 허약할 때는 비단으로 목을 감싸는데, 속칭 삼각三角이라는 것이 이것이다. 허약한 사람은 반드시 목덜미를 감싸는 것이 좋다.”(본문 114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7969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