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원매 산문집

원매 산문집

원매 (지은이), 백광준 (옮긴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2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560원 -5% 0원
740원
22,820원 >
22,32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32원
20,08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640원 -10% 830원 14,140원 >

책 이미지

원매 산문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원매 산문집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28833946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0-10-25

책 소개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작품이다. 청나라 중기의 문인인 원매의 대표적 산문을 담고 있다. 원매는 조용히 은신하는 삶을 산 것이 아니라 ‘마음 가는 대로’ 자신이 좋아했던 것을 펼치고 살았던 이채로움을 가진 인물이었다.

목차

개정판에 부쳐

삶의 지향과 사유

정진방에게 답하며(答魚門)
‘상례혹문’을 읽고(讀喪禮或問)
양조관에게 답하며(答楊笠湖)
청렴에 관하여(淸說)
검소함을 경계하며(儉戒)
‘복성서’를 읽고(書復性書後)
산인 아무개에게 답하는 글(答某山人書)
모란에 관하여(牧丹說)
지팡이에 대한 단상(杖銘)
관목 지팡이에 대한 단상(灌木杖銘)

사랑과 그리움…
조카 한집옥을 애도하며(韓甥哀詞)
누이를 애도하며(祭妹文)
다시 술양을 방문하여 그린 그림에 부치는 글(重到沭陽圖記)
돌아가신 어머니의 행장(先妣章太孺人行狀)
돌아가신 고모의 묘지명(亡姑沈君夫人墓志銘)
여동생 소문의 전기(女弟素文傳)
황촌의 벽에 쓰인 시에 관한 글(篁村題壁記)
동이수 시집의 서문(童二樹詩序)

원매의 애호 : 원림, 책, 음식
수원에 관한 글(隨園記)
수원에 관한 후속 글(隨園後記)
소호헌에 부치는 글(所好軒記)
황 군이 책을 빌리는 데 부침(黃生借書說)
수원식단 서문(隨園食單序)
수원식단·본분을 명심해야(隨園食單·本分須知)
수원식단·억지로 권하는 것을 경계함(隨園食單·戒强讓)
수원식단·화변월병(隨園食單·花邊月餅)
수원식단·밥(隨園食單·飯)
요리사 왕소여의 전기(廚者王小餘傳)

관가의 풍경 : 정치, 재판, 군사
도 관찰사가 사직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것에 답하는 글(答陶觀察問乞病書)
도 관찰사에게 다시 답하는 글(再答陶觀察書)
강소안찰사 전여사 선생에게 답하며(復江蘇臬使錢璵沙先生)
작은 일화(稗事)
노지유에 관하여(書魯亮儕)
마성의 사건 전말(書麻城獄)
말 화상의 일화(書馬僧)
반형산의 일화(書潘荊山)
향산 동지 팽군의 전기(香山同知彭君小傳)

원매의 여행
무자 중추의 유람기(戊子中秋記遊)
도중에 비를 만난 여산 황애 유람기(遊廬山黃崖遇雨記)
선도봉 유람기(遊仙都峯記)
절서의 세 폭포 유람기(浙西三瀑布記)
황산 유람기(游黃山記)
단하산 유람기(遊丹霞記)
계림의 여러 산 유람기(游桂林諸山記)
단주 보월대 유람기(遊端州寶月臺記)
협강사 비천정 유람기(峽江寺飛泉亭記)
무이산 유람기(游武夷山記)

여러 인물들
범산자의 전기(帆山子傳)
남경 학관 두 명의 전기(江寧兩校官傳)
왕학암의 일화(書汪壑庵)
포의원 선생의 전기(鮑竹溪先生傳)
범서병의 묘지명(範西屛墓志銘)
서선의 묘지명(徐君星標墓誌銘)
서영태 선생의 전기(徐靈胎先生傳)
설수어에게 띄우는 글(與薛壽魚書)
난쟁이의 전기(短人傳)
효자 이유황의 전기(李孝子傳)

시, 수필, 소설에 관하여
홍양길(洪亮吉)과 시를 논한 글(與稚存論詩書)
심덕잠의 시론에 답하여(答沈大宗伯論詩書)
하남원의 시집 서문(何南園詩序)
고 문량공의 미화당시집 서문(高文良公味和堂詩序)
시란타의 시론에 답하는 글(答施蘭垞論詩書)
시란타의 시론에 답하는 두 번째 글(答蘭垞第二書)
정진방의 시론에 답하여(答蕺園論詩書)
수원수필서(隨園隨筆序)
자불어서(子不語序)

학술에 관하여
윤사촌에게 답하는 글(答尹似村書)
혜동에게 답하는 글(答惠定宇書)
혜동에게 답하는 두 번째 글(答定宇第二書)
정진방에게(與程蕺園書)
황생에게 주는 글(贈黃生書)
황생에게 다시 답하는 글(再答黃生)
손보지 수재에게 띄우는 두 번째 글(與孫俌之秀才第二書)
원혜양 효렴에게 답하는 글(答袁蕙纕孝廉書)
호물애의 시문에 부친 글(胡勿厓時文序)
모곤(茅坤)의 팔가문선을 읽고(書茅氏八家文選)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원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나라 강희(康熙) 55년(1716)에 태어나 가경(嘉慶) 2년(1797)에 사망했다. 자는 자재(子才)이고 호는 간재(簡齋)다. 어릴 때부터 재능이 있어서 시문 창작에 뛰어났다. 건륭(乾隆) 4년(1739)에 진사가 되어 율양(溧陽), 강포(江浦), 목양(沐陽), 강녕(康寧) 등지의 관리를 지내면서 많은 공적을 세워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건륭 13년(1748) 33세에 부친상을 당해 귀향한 후 어머니를 모신다는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더 이상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남경의 소창산(小倉山)에 수원(隨園)을 짓고 창산거사(倉山居士), 수원노인(隨園老人)이라고 자호하며 저술 활동과 후학 교육에 힘썼다. 만년에는 남방의 여러 명산을 유람하며 많은 문인들과 교류했다. 개방적인 성격으로 부녀의 문학 활동을 장려하고 문하에 여성 제자를 거두어 당시 문단에 새로운 기풍을 불러일으켰다. 원매는 성품이 정직해 관부의 부정부패를 몹시 혐오했다. 지방 관리로 있을 때에도 늘 백성의 입장에서 사건을 해결하고 농부, 아녀자, 상인 등과도 가까이 교류했다. 이러한 성품으로 건륭 10년 율양을 떠날 때는 눈물을 흘리며 전송하는 고을 백성이 거리를 메웠고, 건륭 53년 율양의 명사 여역정(呂嶧亭)의 초청으로 다시 그곳을 찾았을 때에는 많은 사람들이 뛰어나와 그를 영접했다고 전한다. 또한 마음의 진솔한 성정을 중시한 원매는 성령설(性靈說)의 시론을 확립하고, 문단의 영수로 활동했다. 그는 시, 시화, 척독, 문장, 필기 소설 등의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소창산방시문집(小倉山房詩文集)≫과 ≪수원시화(隨園詩話)≫, ≪속시품(續詩品)≫ 등은 청대 시론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 ≪자불어(子不語)≫ 24권과 ≪속자불어(續子不語)≫ 10권은 원매가 약 40년에 걸쳐 완성한 작품이자 청대의 주요 필기 소설에 해당한다. 그 외에도 그는 소문난 미식가여서 중국의 각종 요리 방법 등을 소개한 ≪수원식단(隨園食單)≫을 저술하기도 했으며, 평생 책을 좋아해 월급을 서적 구입에 다 쓸 정도로 많은 서적을 모으기도 했다.
펼치기
백광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중국 난징대학 중문과에서 청대(淸代) 후기동성파(後期桐城派)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이다. 논문으로 「黎庶昌의 서양 서술과 여행의 발견─《西洋雜誌》를 중심으로」, 「園林과 公園의 사이에서─19세기 중국인의 公園 유람」 등이 있고, 저서로는 『동서양의 경계에서 중국을 읽다』(공저), 역서로는 『동성파 산문집』,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공역), 『만유수 록(漫遊隨錄) 역주』(공역) 등이 있다. 현재 명·청대 문인 및 그 문화와 더불어 근대 시기 동서 교류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백광준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배와 수레를 보면, 현자는 “사람들을 구할 수 있겠구나” 하고 말하고, 아래 등급의 사람은 “놀러 다닐 수 있겠구나” 하고 말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타고 도적질할 수 있겠구나” 하고 말한다. 아름다운 이를 보면, 현자는 “짝을 이뤄주어야겠구나” 하고 말하고, 아래 등급의 사람은 “유혹당하지 않도록 경계를 해야겠구나” 하고 말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희롱하고 또 팔아넘겨서 잇속을 차려야지” 하고 말한다.


지금 사람들은 사리에 밝기를 추구하지 않고 우선 청렴하기만을 추구합니다. 사리에 밝지 않고 청렴한 것은 사리에 밝지 않고 탐욕스러운 것만 못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사리에 밝지 않고 탐욕스러운 경우, 탐욕스러움은 어리석음을 치료하는 약이어서 가난한 사람은 죽어도 부유한 사람은 삽니다. 사리에 밝지 않고 청렴하면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없어서,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이 모두 부당한 판결에 의해 죽임을 당합니다. 지금 사람들은 사리에 밝기를 추구하지 않고 우선 부지런하기만을 추구합니다. 사리에 밝지 않고 부지런한 것은 사리에 밝지 않고 게으른 것만 못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사리에 밝지 않고 게으른 경우, 게으름은 과오를 줄이는 한 요인이어서 엉터리 판결이 한 달에 한두 건에 불과합니다. 사리에 밝지 않고 부지런하면 경솔히 결정한 엉터리 판결이 하루에도 장차 수천 건일 것입니다.


장우촌(張雨村)의 아들은 태어날 때부터 피부가 없었다. 사람들이 그 모습을 보고 메스꺼워하여 장우촌은 그 아들을 내다버리려고 했다. 선생은 찹쌀을 가루로 만들고 반죽해 아이의 몸에 입혀서 비단으로 싸고는 흙 속에 묻게 했다. 머리를 밖으로 내게 하여 우유를 먹이니, 이틀 밤낮이 지나자 피부가 생겨났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33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