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설원 1

설원 1

유향(劉向) (지은이), 김영식, 이남종, 최일의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2,750원 -5% 0원
1,350원
41,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600원 -10% 1280원 21,760원 >

책 이미지

설원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설원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28852817
· 쪽수 : 684쪽
· 출판일 : 2020-02-20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2000년 전 나라를 이끈 군주들, 그리고 그 군주를 보좌한 신하들의 이야기 모음집이다. 황실과 민간에 소장된 관련 자료들을 모두 모은 후 선택, 분류, 정리해 편찬해 사료 가치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흥미롭고 교훈적인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목차

1권 군주의 도를 지키다(君道)
2권 신하의 길을 가다(臣術)
3권 근본을 세우다(建本)
4권 절개를 세우다(立節)
5권 덕행을 귀중히 여기다(貴德)
6권 은혜를 갚다(復恩)
7권 정사의 도리를 다하다(政理)
8권 현인을 높이다(尊賢)

저자소개

유향(劉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漢) 고조 유방(劉邦)의 아우인 초(楚) 원왕(元王) 유교(劉交)의 4대손이고 유흠(劉歆)의 부친으로, 선제(宣帝) 때 산기간대부(散騎諫大夫)에 발탁되었다. 본명이 갱생(更生), 자(字)는 자정(子政)으로 패(沛) 사람이다. 서한(西漢) 말엽의 저명한 경학가(經學家)이자 도서목록분류학자이며 문학가다. 그는 원제(元帝) 때 종정(宗正)이 되었는데, 음양오행술로 정치의 득실을 따지고 환관과 외척들을 탄핵함으로써 두 번이나 하옥되었다. 성제(成帝) 때에는 이름을 향(向)으로 바꾸고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냈으며 관직을 중루교위(中壘校尉)로 마쳤기 때문에, 후세에는 그를 ‘유광록(劉光祿)’ 또는 ‘유중루(劉中壘)’라고 칭했다. 유향은 전적들을 교감하여 ≪별록(別錄)≫ 20권을 찬(撰)했으며, 그 밖의 저작물로는 ≪상서홍범오행전론(尙書洪範五行傳論)≫·≪신서(新序)≫·≪설원(說苑)≫·≪열녀전(列女傳)≫ 등이 남아 있고, 이 외에도 분실된 ≪오경통의(五經通義)≫와, 대부분이 분실된 ≪구탄(九歎)≫ 등 사부(辭賦) 33편이 있다. 현재 보이는 ≪유중루집(劉中壘集)≫은 명대(明代) 사람이 집록한 것이며, 그가 편찬했다고 하는 문언소설인 ≪열선전(列仙傳)≫은 한위(漢魏) 시대의 방사(方士)가 유향의 이름을 가탁한 것이다.
펼치기
이남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 중국어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문과 겸임교수, 대만국립중산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맹호연시 연구(孟浩然詩 硏究)≫와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공저, 이상 서울대학교출판부) 등이 있으며, 역서로 ≪유원총보 역주(類苑叢寶 譯註)≫(공역,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등이 있다.
펼치기
최일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 중문과 졸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중국시와 시론 전공 대만(臺灣)대학 및 중국 요녕(遼寧)대학 방문학자 한국중국문학이론학회 회장 한국중국어문학회 회장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인문대학 학장 겸 중문과 교수 대표작 ≪중국시의 세계≫(신아사), ≪중국 시론의 해석과 전망≫(신아사), ≪원매의 강남산수 유람시≫(공역)(지식을 만드는 지식), ≪한시로 들려주는 인생이야기≫(공저)(차이나하우스), ≪최교수의 한시이야기≫(공저)(차이나하우스)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의 선임 연구원을 지냈으며, 서울대·한양대·중앙대 등에서 강의했고, 2020년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학술연구교수다. 논문으로는 <역사소설의 시원: 오월춘추의 소설화 기도에 관하여> 등이 있고, 역서로는 ≪문선≫(전 10권, 공역, 소명출판), ≪설원≫(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상군서(商君書)≫(홍익출판사), ≪박물지(博物志)≫, ≪열자(列子)≫, ≪귀곡자(鬼谷子)≫, ≪오월춘추(吳越春秋)≫, ≪월절서(越絶書)≫, ≪열녀전(列女傳)≫(이상 지식을만드는지식), ≪사단칠정논변≫(공역, 한국학술정보), ≪역주사단칠정논쟁≫(전 2권, 공역, 학고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안자(晏子: 안영)가 경공(景公) 곁에서 모시고 있었는데, 경공이 말했다.
“아침이 차가우니, 뜨거운 음식을 내게 올리길 청하오.”
안자가 대답했다.
“저 안영은 대왕의 음식과 영양을 맡은 신하가 아니오니, 감히 사양하옵니다.”
경공이 또 말했다.
“가죽 옷을 내게 올리길 청하오.”
안자가 대답했다.
“저 안영은 대왕의 사냥과 산택(山澤)을 관장하는 신하가 아니오니, 감히 사양하옵니다.”
경공이 말했다.
“그렇다면 선생은 과인에게 무엇을 하는 사람이오?”
안자가 대답했다.
“사직 대신입니다.”
경공이 말했다.
“사직 대신이란 무엇을 말하는 게요?”
안자가 대답했다.
“사직 대신은 사직을 세울 수 있는 자입니다. 곧, 위아래의 마땅한 것을 변별해 바른 이치를 얻게 하며, 백관들의 차례를 제정해 그에 마땅한 직위를 얻게 하고, 문서 명령을 지어서 이를 천하 사방에 반포할 수 있습니다.”
이 후로부터, 경공은 예의로써 안자를 접견하지 않음이 없었다.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와 싸워 이기고 강태공(姜太公)을 불러 물었다.
“은나라의 선비들과 민중을 장차 어떻게 해야겠습니까?”
강태공이 대답했다.
“신이 듣기론, 어떤 사람을 사랑하면 그 사람의 지붕 위 까마귀까지도 함께 사랑스럽고, 어떤 사람을 미워하면 그 사람의 울타리까지도 미워한다 하옵니다. 은나라의 적을 모두 죽여서 남은 자를 없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무왕이 말했다.
“아니 됩니다.”
강태공이 나가고 소공(邵公)이 들어오자 무왕이 물었다.
“그들을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소공이 대답했다.
“죄가 있는 자는 죽이고 죄가 없는 자는 살려 주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무왕이 말했다.
“아니 되네.”
소공이 나가고 주공이 들어오자 무왕이 물었다.
“그들을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주공이 말했다.
“그들 각자에게 자기 집에서 살게 하고 자기 밭을 갈게 하며, 옛 사람이나 새 사람을 동일시하는 태도를 바꾸지 말아야 하고, 오직 인의(仁義)만을 가까이해야 하니, 백성에게 잘못이 있으면 모두 군주 한 사람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무왕이 말했다.
“넓고 큰 마음이로다! 천하를 평정할 만하도다.”
무릇 군왕이 군자를 중시하는 까닭은 그들이 어질고 덕이 있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52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