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베리아 문화

시베리아 문화

L. V. 드미트리예바 (지은이), 강덕수, 라승도, 김연수, 강규은 (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5% 0원
1,2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베리아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베리아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59016073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9-08-31

책 소개

시베리아는 언제부터 존재했으며, 어떤 사람들이 어떤 문명을 일구었을까? 한국인도 상당 부분 북쪽 시베리아에서 왔다는데 그것을 밝힐 수 있는 어떤 실마리는 있을까? “시베리아 문화”는 시베리아에 관심을 가졌던 모든 한국의 독자들에게 진지하게 시베리아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준다.

목차

역자 서문 ··············· 7

서문 ··············· 11

제1장 현대적 관점에서 본 시베리아 자연과 문화 ··············· 15

제2장 시베리아의 원시-고대 사회 문화 유산 ··············· 71

제3장 중세 시베리아 문화 ··············· 133

제4장 근대 시베리아 문화 ··············· 223

제5장 20세기~21세기 초 시베리아 문화 ··············· 347

제6장 20세기~21세기 초 시베리아 예술 문화 ··············· 427

맺음말 ··············· 503

저자소개

L. V. 드미트리예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강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교수 現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소장 現 한국-사하친선협회 회장 現 러시아연방 북동연방대학교 명예교수 現 러시아 북동언어학회 저널 「Language, Communication, and Culture」 편집위원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1976) 미국 위스컨신 주립 대학교 언어학 박사(슬라브언어학 1984) 한국 음운론학회 회장 역임 한국 슬라브학회 회장 역임 러시아연방 사하공화국 국민훈장 수상(2008) 러시아연방 푸시킨 메달(훈장) 수상(2012) 러시아연방 교육학회 학술공헌 훈장 수상(2017) - 저서 및 역서 「러시아어사」(1992), 「야쿠트어」(2011) 「야쿠티야: 맘모스와 다이아몬드와 착한 사람들의 나라」(2011), 「도적」(레오니드 레오노프, 1990) 「엘레스 보오투르(야쿠트 영웅서사시)」(오고토예프 2005), 「17~19세기 러시아문학어의 역사」(비노그라도프 2009) 등 - 논문 「Allomorphy in Sakha Case Suffixation」(2016), 「에벤어와 한국어의 구조적-어휘적 유사성 연구」(2014), 「A comparative study of lexical affinities in Evenkci, Even, and Korean」(2017) 등
펼치기
라승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를 졸업했고 미국 텍사스주립대 학교 슬라브어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 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 다. 저서로는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문화로 보는 오늘 의 러시아』(공저, 2008), 『시네마트료시카: 영화로 보는 오 늘의 러시아』(2015), 『사바틴에서 푸시킨까지: 한국 속 러 시아 문화 150년』(공저, 2015), 『포시에트에서 아르바트 까지: 러시아 속 한국 문화 150년』(공저, 2018), 『극동의 부상과 러시아의 미래』(공저, 2019), 『북극의 이해』(공저, 2021), 『천년의 러시아: 모방과 변용의 문화』(공저, 2022) 가 있고 역서로는 『러시아 영화: 문화적 기억과 미학적 전 통』(2015)과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감독의 영화예술론 『시 간의 각인』(2021), 『한반도 분단과 통일 전망: 러시아의 시 각』(2023)이 있다.
펼치기
김연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노어학 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저서 ‘파워 러시아어 문법'(공저) 역서 축치족 신화(블라디미르 보고라스 저, 공역, 2015)
펼치기
강규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 노어학을 전공하고,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 러시아연구소 번역연구위원으로 다양한 포럼과 컨퍼런스에서 동시통역을 하고 있다. 외교부 동북아평화렵력구상 소책자를 번역하였으며, 한국외국어대학 통번역연구소와 한국번역학회가 공동 주최한 국제학술대회 동시통역, KBS 제17회 해외 동포상 ‘우리가 당신을 기억하는 이유’, EBS 세계테마 기행 ‘카프카스’ 편의 영상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1.1 시베리아의 자연적 특성

L.V. 드미트리예바

러시아 지도로 본 시베리아: 경계와 주체

특정 지역에서 문화의 역사적 변화 과정은 구체적인 기후와 지형 조건에 의해 정해진다. 오스왈드 슈펭글러에 의하면 문화는 모두 고유한 지형에서 생성되는 과정에서 토지에 대한 인간의 집착을 강화한다. 또 슈바르트(V. Shubart)에 의하면,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모든 사람의 지역적 일체성은 지역 발전의 원칙에 의해 인종과 관계없이 만들어진다. “대지의 힘은 피의 힘보다 더 원초적이고 강하다.” 슈바르트는 민족과 종족은 대지의 영혼에 의해 형성된 결과물이며 멘탈리티는 거주지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했다. “민중 정신은 지형의 정신으로부터 자라난다. 민중 정신은 지속적인 민족적 특성을 각인시킨다.” 그래서 자연환경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는 문화 유전자의 지역적 규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물리적, 지리적 관점에서 시베리아는 독특한 점이 많은 지역이다. 시베리아는 약 천만 입방 킬로미터를 차지한다. 이는 지구 면적의 약 1/10에 해당된다. 현대 러시아의 행정 지역 지도는 지역 정치적 전략에 의해 수정이 가해졌다. 2000년에 구성된 시베리아 연방관구는 역사적 경계를 거의 반 토막으로 만들었다. 오비강과 남시베리아 일부를 시베리아에 포함하는 대신 예니세이 분지까지로 축소하고 거의 모든 서시베리아 지역(쿠르간과 한티-만시 자치구와 야말-네네츠 자치구를 포함한 튜멘주)과 광활한 동쪽 지역인 야쿠티야를 배제했다. 국가의 내부 경계는 항상 가변적이고 조작적이라 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해 역사-문화적으로 중요한 2개 지역을 배제한 시베리아 문화 유전자 지도는 불완전하고 단편적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의 저자들은 우랄로부터 태평양에 이르는 전 지역을 시베리아라는 개념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북빙양에 면한 시베리아 대륙의 북쪽 끝(첼류시킨곶)에서부터 알타이산맥, 몽골, 카자흐스탄의 건조한 초원까지 이르는 거리는 약 4천 킬로미터이다. 서쪽의 우랄로부터 동쪽의 콜리마강 분지에 이르는 거리는 7천 킬로미터에 달한다. 서쪽 경계는 스베르들롭스크주와 코미 공화국에 닿아 있다. 시베리아의 남쪽 경계는 첼랴빈스크주 남동쪽 우랄산맥 동부 경사면에서 시작한다. 시베리아의 동쪽과 서쪽 경계는 예니세이강을 기준으로 나뉜다. 아르군강과 실카강의 합류 지점 부근의 치타주 동쪽에서는 동부 경계가 지난다. 이 경계는 시베리아를 극동 지역과 구분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