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토기와 도자기

토기와 도자기

(한국 도자기 문명사)

김종일, 권오영, 장남원, 한혜선 (지은이)
들녘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토기와 도자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토기와 도자기 (한국 도자기 문명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9257261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04-28

책 소개

한국의 토기와 도자기문화의 발전 과정을 기존과는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성형기법, 산지 추정, 사회적 기능 및 역할과 고유의 미감을 포착하는 것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문명사적 관점에서 토기 및 도자기 제작기술이 여타 다른 분야의 제작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주목한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머리말: 흙과 불의 만남

2장 토기의 등장과 도자기로의 전환

1절 인류 최초의 신소재: 토기의 탄생
2절 토기의 등장과 그 배경
3절 선사 토기의 제작과 발전: 토기의 등장과 불의 사용
4절 또 하나의 혁신, 유약의 개발: 토기에서 자기로

3장 토기의 시대: 선사 및 고대 토기의 제작기술 발달사
1절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과 사회 변화
1. 토기 제작기술과 작업 연쇄
2. 토기 제작기술의 변화와 장인
3. 토기 제작기술의 복원과 민족지 고고학
4. 한국 선사시대 토기 제작과 공방 —가마 구조를 중심으로—
2절 선사 및 고대 토기를 통해 본 문명사
1. 한국 선사시대 토기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2. 한국 고대 토기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3. 종류와 기능에 따른 토기의 의미
4. 토기의 생산과 유통
5. 토기가 알려 주는 것

4장 자기의 시대 I: 청자의 발달과 제작기술의 성숙
1절 고려시대 청자의 도입과 새로운 도자기문화의 전개
1. 차문화와 중국 자기의 유입
2. 초기 청자가마의 구조와 제작기술의 원류
2절 청자 제작기술의 발달과 질의 분화
1. 고려비색의 구현
2. 번조기술의 분화와 품질의 다변화
3절 상감청자를 통해 본 공예재료 간 장식기법의 공유
1. 고려청자의 독보적 성취, 상감기법
2. 공예기법의 공유와 청자의 특수성
4절 도량형기로 사용된 고려의 도기
1. 양기로 활용된 고대 토기의 사례
2. 고려 선박 마도선 인양 도기 항아리에 반영된 측정과학

5장 자기의 시대 Ⅱ: 조선 도자의 완성과 장식기법에 따른 의미
1절 고려 전통의 계승, 분청사기
1. 분청사기의 시작과 인화기법의 발전
2. 분청사기의 지역성
2절 새로운 왕조의 이상과 경질백자의 완성
1. 관요제도의 성립과 조선 왕실의 백자 사용
2. 왕실백자 제작의 체계적 운영과 관리
3. 왕실백자의 제작 공정과 공방
3절 장식기법에 따른 조선백자의 위계
1. 백자의 다양한 장식기법
2. 장식기법과 문양에 따른 백자의 위계

6장 기와와 전돌
1절 기와
1. 기와의 발생과 발전 과정
2. 기와의 용도
3. 기와가 말하는 것
2절 전돌
1. 개념과 기원
2. 전돌의 보급과 발전
3. 중세사회에서 전돌의 사용

7장 맺음말

■ 부첨1: 토기 양식과 정체성
■ 부첨2: 토기의 확산과 사회적 구분 ㅡ유럽 Bell Beaker Pottery를 중심으로ㅡ
■ 부첨3: 제주도 고산리식 토기와 한반도
■ 부첨4: 대표적인 초기 청자요지 황해도 배천 원산리 요지
■ 부첨5: 바닷길을 이용한 고려청자의 유통
■ 부첨6: 고려시대 생활사 자료의 보물창고, 태안 마도선
■ 부첨7: 조선 초 공납제도의 단상을 보여주는 분청사기 명문(銘文)
■ 부첨8: 조선 후기 백자에 나타난 대외 교류의 양상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저자소개

권오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역사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박물관 관장 일도 하고 있습니다. 《백제를 왜 문화 강국이라고 하나요?》 등을 썼습니다.
펼치기
장남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자사 전공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및 동아시아 도자사를 중심으로 공예사 전반을 아우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연구 성과로는 『A Companion to Korean Art』(2020), 「Perception of Goryeo Celadon in the Context of the Late Joseon Period」(2021), 「《미구회람실기》(1878)의 도자관련 기록 검토」(2020), 「Treasured Ceramics of the Late Joseon Period View from a Material Culture Perspective」(2017) 등이 있다.
펼치기
한혜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도자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조선시대 도자사를 넘어 공예사 전반으로 영역을 확장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연구 성과로는 『고려 도기 연구』(2019), 「고려시대 반구장경병(盤口長頸甁)의 재질간 형태 공유 양상과 특징」(2020), 「고려전기 의례에 사용된 안(案)의 종류와 의미」(2021), 「Utilization of Earthenware Pottery for Food Storage in the Goryeo Period」(2021), 「조선 영조대 연향의궤 속 도기의 용도와 조달방식」(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고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 재직 중이다. 유럽 선사시대 및 한국 청동기시대, 그리고 고고학 이론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아제르바이잔 가발라 유적 및 러시아 투바 공화국 아르잔 고분군 조사를 주도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Formation and Change in Individual Identity between the Bell Beaker Culture and the Early Bronze Age in Bavaria, South Germany (Oxford: Archaeopress, 2004), 「민족주의적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7), 「유럽 선사시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 - 독일 남부지역 출토 무덤을 중심으로」(2015), 「유라시아 전차의 등장과 확산 과정의 고고학적 의미 - 유럽 내 전차의 확산 과정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