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0181395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8-12-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 이민규
Part 1 서 론
Chapter 01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원용진
Part 2 교육 현장에서 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Chapter 02 미디어교육 정책 활성화를 위한 호조건: 민주적 거버넌스 체계의 설계 / 허경
Chapter 0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박한철
Chapter 04 시민사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 김양은
Part 3 미디어 현장에서 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Chapter 05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자본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권장원
Chapter 0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 금준경
Chapter 07 4차 산업혁명 시대 공영방송 사용설명서 / 최용수
Chapter 0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전망 / 김지연
Chapter 09 데이터경제 시대 스마트광고 리터러시: 데이터 보호와 활용의 균형 ‘데이터를 가장 안전하게 잘 쓰는 나라’를 향하여 / 박종구
Part 4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세계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
Chapter 10 유럽의 미디어교육법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 독일, 프랑스, 핀란드를 중심으로 / 강진숙
Chapter 11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 김아미
Chapter 12 세계시민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최숙
Part 5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에 맞춘 미디어 교육의 변화는 새로운 미디어교육 철학을 요청한다. 왜 해야 하는지(목적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인식론), 그게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존재론)를 적시하는 그림이 필요해졌다. - Chapter 01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민간(시민사회)이 주도하는 민관 협력적 거버넌스 - 민주적 거버넌스 체계가 구성되고 가동되기 위한 핵심 전제는 충분한 역량을 확보하고 있는 민간이 거버넌스에 있어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 Chapter 02 미디어교육 정책 활성화를 위한 호조건
학교는 대표적인 공교육기관으로서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에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시 학교라는 공교육기관에서 시작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 Chapter 0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