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6068169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8-05-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들어가는 글 - 동아시아해역의 근세와 근대 | 이수열
Ⅰ. 이 책의 성립 경위와 구성
Ⅱ. 조공무역체제론
Ⅲ. 전근대 동아시아의 통상질서: 조공과 호시
Ⅳ. 조공체제와 조약체제: 종주권과 주권
Ⅴ. 맺음말
제1부 해역질서
<해동제국기>를 통해 본 15세기 조선지식인의 동아시아관: 약탈의 시대에서 공존·공생의 시대로 | 손승철
Ⅰ. 들어가는 말
Ⅱ. 약탈의 시대, 왜구
Ⅲ. 경상도의 저팬타운, 삼포
Ⅳ. <해동제국기>의 편찬
Ⅴ. 공존·공생의 시대
Ⅵ. 나오는 말
중·근세 동아시아의 海禁정책과 境界인식: 동양 삼국의 해금정책을 중심으로 | 민덕기
Ⅰ. 머리말
Ⅱ. 명조의 해금정책
Ⅲ. 조선의 해금정책과 명의 영향
Ⅳ. 일본의 해금정책과 ‘쇄국’
Ⅴ. 한·중·일 삼국 해금의 특징
Ⅵ. 해금정책으로 보는 경계인식
Ⅶ. 맺음말
일본과 바다 | 하네다 마사시(羽田 正)
Ⅰ. 들어가며
Ⅱ. 열린 바다와 통일 정권
Ⅲ. 쇄국과 영역·사람의 관리
Ⅳ. 나가며
16세기 중엽 포르투갈인들이 본 동아시아 해상질서 | 홍성화
Ⅰ. 서론
Ⅱ. 16세기 포르투갈·스페인인이 남긴 동아시아 관계사료
Ⅲ. 중국해적의 활동범위
Ⅳ. 해적과 지방관료, 그리고 상인
Ⅴ. 중국과 일본에 대한 포르투갈인의 비교
Ⅵ. 결론
조선 후기 동아시아 해역의 漂流民 송환체제 | 김강식
Ⅰ. 머리말
Ⅱ. 직접 송환체제
Ⅲ. 간접 송환체제
Ⅳ. 맺음말
제2부 역내교역
근대 동아시아 설탕의 유통 구조 변동과 조선 시장 : 조선화상(朝鮮華商) 동순태호(同順泰號)의 설탕 수입을 중심으로 | 강진아
Ⅰ. 머리말
Ⅱ. 개항 전 조선의 설탕 유통
Ⅲ. 동순태호 설탕 수입의 추세와 변동
Ⅳ. 동아시아 제당업의 구조적 변동과 정제당 수입의 소멸
Ⅴ. 맺음말
나가사키(長崎) 화상(華商) 태익호(泰益號)의 쌀과 해산물 무역활동(1901~1910) | 주더란(朱德蘭)
Ⅰ. 머리말
Ⅱ. 일본 내 타이완쌀(臺灣米)의 판매
Ⅲ. 타이완 내 일본 해산물의 판매
Ⅳ. 태익호(泰益號)가 구축한 동아시아 무역네트워크의 특징
Ⅴ. 결론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생산된 수산물의 수이출(輸移出) 동향 | 김승
Ⅰ. 머리말
Ⅱ. 수산물의 수이출(輸移出) 현황
Ⅲ. 수이출 수산물의 종류
Ⅳ. 맺음말
‘아시아 경제사’와 근대일본: 제국과 공업화 | 이수열
Ⅰ. 1980년대: 이론 출현의 시대적 배경
Ⅱ. ‘아시아 경제사’의 문제의식
Ⅲ. 해양아시아의 근세와 근대
Ⅳ. 두 개의 산업혁명론
Ⅴ. 글로벌 경제사와 아시아
16·17세기 세계 은 흐름의 역사적 의미 | 현재열
Ⅰ. 서론
Ⅱ. 16·17세기 은의 전 지구적 유통과정
Ⅲ. 헤밀턴 테제 비판
Ⅳ. 애트월 테제 비판
Ⅴ. 결론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