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60681703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8-05-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제3부 해항도시
도쿠가와 막부 ‘쇄국’(鎖國) 체제 하의 중일(中日)무역 고찰: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중심으로 (1689~1868) | 류쉬펑(劉序楓)
Ⅰ. 머리말
Ⅱ. 나가사키의 개항과 중일무역
Ⅲ. 당관(唐館)의 건설과 관리
Ⅳ. 무역 진행절차와 당관 내의 생활
Ⅴ. 당관 내의 위법 행위와 처벌
Ⅵ. 맺음말
제국의 팽창과 변모하는 개항장 인천: 일본인 거류지 형성과 식민기지 | 이규수
Ⅰ. 머리말
Ⅱ. 개항과 일본조계
Ⅲ. ‘식민열’의 고양과 거류민사회
Ⅳ. 일본인 상인층과 식민기지
Ⅴ. 맺음말
19세기 후반 부산일본인사회의 구조변화와 쓰시마인(對馬人)의 대응 | 한현석
Ⅰ. 서론3
Ⅱ. 쓰시마의 위상변화
Ⅲ. 쓰시마인과 일본인의 갈등
Ⅳ. 쓰시마인의 동향회
Ⅴ. 결론
일제시기 부산의 중심 상점가와 도시문화 | 전성현
Ⅰ. 서론
Ⅱ. 자본주의 소비문화의 전개와 확장
Ⅲ. 식민주의 지역문화와의 결합과 제국주의 전쟁문화로의 수렴
Ⅳ. 결론
글로벌 상상을 자극하는 해항도시 간 이동: 근대 초기 일본 기타큐슈 지역 사람들 간 비공식 인적 교류의 재평가 | 마스다 겐(增田硏)
Ⅰ. 아시아 해역세계와 해항도시 간 이동
Ⅱ. 점과 호에 근거한 상상
Ⅲ. 해항도시 간 이동을 통한 아프리카로의 여행
Ⅳ. 결론
제4부 문화교섭
조선인 노예와 포르투갈인 | 루치오 데 소사(L?cio de Sousa)
Ⅰ. 마카오 선박과 조선인 노예
Ⅱ. 유럽인 선교사와 상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Ⅲ. 일본의 조선인 포로
Ⅳ. 강제 이주 및 기근, 그리고 나가사키 노예무역
Ⅴ. 나가사키의 조선인 공동체와 가톨릭
Ⅵ. 일본 밖의 조선인 디아스포라 사례들
Ⅶ. 마카오에서 조선인 및 일본인 노예의 종식과 필리핀의 중국인 노예무역으로의 대체(1600~1614년)
Ⅷ. 결론
예수회 신부 吳漁山의 ‘十年海上’ 사목활동과 天學詩 고찰 | 최낙민
Ⅰ. 들어가는 말
Ⅱ. 노천주당(老天主堂)의 중국인 신부
Ⅲ. 황푸강(黃浦江)을 건너는 중국인 신부
Ⅳ. 나오는 말
해항도시 나가사키(長崎)와 표상 정치: 철도원(鐵道院) 편 여행 가이드북을 소재로 | 하야나기 가즈노리(葉柳和則)
Ⅰ. 들어가며
Ⅱ. 텍스트로서의 여행 가이드북
Ⅲ. 여행 가이드북의 세 가지 유형
Ⅳ. 가이드북과 오리엔탈리즘
Ⅴ. 철도원 여행 가이드북의 폴리틱스
Ⅵ. ??철도원선연도유람지안내?? 속의 나가사키 표상
Ⅶ. An Official Guide to Eastern Asia 속의 나가사키 표상
Ⅷ. 나가며
망국민의 恨辭, ?桑海淚談?의 의미와 시공간적 맥락 연구: 요코하마와 광저우에서의 베트남인 해외혁명활동(1906~1915)을 중심으로 | 노영순
Ⅰ. 들어가며
Ⅱ. ?상해누담?의 내용과 의미 그리고 그 역사적 맥락
Ⅲ. 요코하마와 광저우에서의 베트남인 해외혁명 활동(1906~1915)
Ⅳ. 나가며
식민지시대 한·일해역의 자원과 해녀의 이동 | 안미정
Ⅰ. 머리말
Ⅱ. 식민지시대 한·일 해녀의 이동
Ⅲ. 한·일해역의 해양자원
Ⅳ. 여성출어자들의 생활세계
Ⅴ. 맺음말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