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8876538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9-03-20
책 소개
목차
원주 지역의 동학 포교와 원주 출신 동학인의 동학농민운동 _ 조규태
원주 동학을 계승한 장일순의 생명사상 _ 조성환
원주 동학농민혁명사 전개 과정과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_ 채길순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의 피신과 교단 정비 _ 성강현
원주 지역 동학농민군과 의병 _ 이병규
무위당은 어떻게 해월사상을 부활시켰나 _ 황도근
과학과 영성 그리고 진화 _ 최민자
멜라니 조이의 관점에서 바라본 식천(食天)의 신념 체계 _ 임상욱
동학으로 인해 근대적 인간의 가능성이 열리다 _ 김영철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운이 궁극적 기운[至氣]을 강조한다면, 해월은 그 기운을 모시는 구체적인 개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수운의 사상이 내 안에 있는 ‘우주적 생명력’을 모시고 바르게 하는 데 중점이 놓여 있다면, 해월의 사상은 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그 생명력[氣]을 모시고 있는 ‘생명체’[物]를 공경하는 데까지 관심이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그 존재의 가장 큰 차원은 천지이고, 그 천지의 산물이 만물이다. 해월이 땅조차도 살살 밟으라는 경물(敬物)사상을 설파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땅’ 역시 천지의 기운을 모시는 하나의 생명체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만물 역시 천주와 다름없다. 여기에서 인간뿐만 아니라 “만물이 모두 천주를 모시고 있다.”는 해월의 ‘만물시천주사상’19이 도출된다. 수운의 시천주(侍天主)가 주로 인간을 향해 있다면, 해월에서는 그것이 시천지(侍天地)로 확대됨과 동시에 시만물(侍萬物)로 구체화된다. 그래서 해월은 수운의 ‘侍’[모심]를 천지와 만물에 대한 ‘敬’[공경]과 ‘活’[살림]로 재해석한다(三敬과 活人). <‘원주 동학을 계승한 장일순의 생명사상’ 중에서>
강원도 원주는 지리적으로 충청도와 경기도의 접경 지역이다. 따라서 원주 지역은 강원도 산골 지역 잠행 포덕에 이어 경기·충청 평야 지역으로 포덕의 경계를 넓혀 가는 교두보 역할을 했다. 이런 조건 때문에 원주 지역의 동학 및 동학농민혁명사적 특징은 강원·경기·충청 인근 지역 동학 활동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원주 지역이 천도교 2세 교주 최시형의 38년 잠행의 마지막 피체지가 되었다. 원주에 동학 포교 사실이 확인되는 시기는 1870년 이전 원주인 장기서가 영월에 유배와 있던 이경화를 통해 입교하였고, 소밀원에 거처하면서 1871년까지 최시형을 가까이 보필한 것으로 보아 원주 동학은 이 시기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원주 동학농민혁명사 전개 과정과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중에서>
원주 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은 주로 2차 봉기 과정에서 나타난다. 그런데 원주 지역에서 활동을 전개한 동학농민군은 위에서 언급한 동학농민군이 대부분이다. 원주가 감영이 있는 큰 도시로서 많은 인구가 살고 도시의 규모와 역할을 감안할 때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한 숫자가 다른 지역에서 비해 매우 적은 편이다. 원주보다 규모가 작은 충청도 태안과 전라도 장흥 지역에서 동학농민군으로 확인된 숫자는 수백 명에 달한다. 이렇게 볼 때 원주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했다고 보기 어렵다. 원주 감영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거의 없었으며 특별한 움직임도 포착되지 않는다. 이규하의 경우도 원주 감영과는 거리는 있는 귀래면에서의 활동이다. 또한 1894년이나 1895년 사이에 원주 지역에서는 동학농민군과 진압군·일본군 사이에 전투가 확인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근의 정선, 영월, 평창 지역에서 더 활발하게 전투가 전개되었다. <‘원주 지역 동학농민군과 의병‘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