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대의 노래 현대의 노래

고대의 노래 현대의 노래

(현대향가 제6집)

정복선, 이창호, 이용하, 윤정구, 유소정, 김현지, 고영섭, 주경림, 이영신 (지은이)
문예바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10,8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080원
12,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대의 노래 현대의 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대의 노래 현대의 노래 (현대향가 제6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1152240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3-12-20

책 소개

고전의 현대화와 현대의 고전화를 모색하고 있는 〈현대향가〉 동인의 제6집 『고대의 노래 현대의 노래』가 출간됐다. 이번 제6집에 참여한 시인들은 고영섭, 김현지, 유소정, 윤정구, 이영신, 이용하, 이창호, 정복선, 주경림 아홉 분이다.

목차

서문 • 고대의 노래 현대의 노래

정복선 창밖에 헌화가獻花歌를
비로소, 소풍이다
보름달을 뒤집어 보세요
수렵채집의 기나긴 꿈
제망매가祭亡妹歌 2
블랙홀에 떨어지는 물소리
그 역驛이 사라지다
달항아리 깨지다
알리바바 따라잡기
왜, 음악인가

이창호 봄길
꽃다지
꽃등불
즐거운 농부
조계산 야간 산행
서석대瑞石臺의 기원
주말농장에서
전라도 눈길
강바람 들바람
흔들리는 하루
아내를 위해 슬픔을 사다
무명의 독백

이용하 춘설
시인의 사랑
시절인연
소신공양
달을 얻다
재회
화랑도
사랑론
운주사 자명종
아내 도둑
마음 계영배
개벽

이영신 풍요風謠
산골짜기 고시원
마음 여행
월명이라는 그리움
나비야 나비야
쌈 구경
해 질 녘, 산국화향
도깨비바늘
풀밭 멍석
젖줄
현자, 처용
한 고개 넘고 두 고개 넘어

윤정구 봉천 동광중학교
봉천 동광중학교 2
해방과 전쟁의 소용돌이
봉천 동광중학교 서울 동창회
동광중학교 마지막 동창회
내 시에서 불교 냄새가 난다고?
기적
봉선화
도깨비 길
서낭당 고개 진달래 필 무렵
말 무덤
페르시아 왕국에서 온 처용

유소정 일루션illusion
수수께끼
기도

Bardo
봄을 찾다
꽃냥이
無音
Crack
숨, sum
나무 왕생
불꽃을 향하여

김현지 아름다운 것들은 언제나 쉬이 가네
속을 비워야 소리가 난다
그리운 할미꽃
태양도 가끔은 아프다
능소화 사랑
봄 마중
호박 한 덩이
홍시
하산지점
서설瑞雪
헌집
그들은 아직도 그곳에 있었네요

고영섭 시 한 수
하지
동치미
묘수
앗싸, 목련
돌아보다
병에게
칠가걸식七家乞食
일미칠근一米七斤
벚꽃 한 생
단풍
감사

주경림 뻐꾹뻐꾹 뻐꾹채
강화유리 자파현상
讚 방산 스승
부처님 공부시간, 한 컷
열한 개의 꽃송이
바람 헌화가
빗소리 새장
공자의 열린 음악회
연잎에 싼 잉어
문자도 ‘忠’
고슴도치의 오이 서리 _ 138
청자 미인

• 해설 | 격세유전의 문화적 밈 혹은 ‘가을 문명’의 한 소식 … 정효구 _ 142

저자소개

고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서울 보성고 졸업 동국대학 불교학과(불교학 인도철학) 졸업 동국대학 대학원 석박사(인도불교 한국불교) 졸업 고려대학 철학과 대학원(동양철학 한국철학) 박사수료 미국 하버드대학 한국학연구소 연구학자 역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외국인연구원 역임 동국대, 서울대, 서울대대학원, 서울시립대, 강원대, 한림대 외래교수 역임 사)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역임 한국불교사학회 회장 겸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 교수 (현재) 유튜브: 고영섭교수의 문사철대학 한국불교사연구소TV 『한국사상사』, 『한국의 불교사상』, 『한국불교사』, 『한국불학사』(3책), 『붓다와 원효의 철학』,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분황 원효』,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2책), 『분황원효불교사상사』 등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사 관련 논저 다수
펼치기
윤정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평택 출생. 1994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시집 『눈 속의 푸른 풀밭』 『햇빛의 길을 보았니』 『쥐똥나무가 좋아졌다』 『사과 속의 달빛 여우』 『한 뼘이라는 적멸』, 시선집 『봄 여름 가을 겨울, 일편단심』, 산문집 『한국 현대 시인을 찾아서』. 수주문학상, 문학과창작 작품상, 공간시낭독회 문학상 수상. 대산문화재단 창작기금, 문예진흥기금 수혜.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 <시천지> <현대향가> 동인. 한국시인협회 회원.
펼치기
정복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전주 출생 - 전북대학교 영문학과, 성신여대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 1988년 『시대문학』 등단 - 시집 『변주, 청평의 저쪽』 『종이비행기가 내게 날아든다면』 『마음여행』 『여유당 시편』 등 8권 - 시선집 『젊음이 이름을 적고 갔네』 - 영한시선집 『Sand Relief』 - 평론집 『호모 노마드의 시적 모험』 - 한국시문학상, 한국꽃문학상대상 등 수상 - 서울문화재단(2023), 경기문화재단 지원금 수혜 - 한국경기시협부이사장, 한국시협회원, 국제PEN한국본부자문위원, 『한국시학』 편집위원 - <현대향가> <유유> 동인
펼치기
주경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1992년 『자유문학』 등단. 시집 『씨줄과 날줄』 『눈잣나무』 『풀꽃우주』 『뻐꾸기창』 『법구경에서 꽃을 따다』(e북), 시선집 『무너짐 혹은 어울림』 『비비추의 사랑편지』. 문예진흥기금 수혜, 한국시문학상, 중앙뉴스문학상, 한국꽃문학상 대상 수상. <유유> <현대향가> 동인.
펼치기
이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정읍 출생. 서울대 사대, 고려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삼육대 교수 역임. 2007년 『시와시학』으로 등단. 시집 『세상에서 가장 빛나는 거울』 『6호선 갈아타는 곳』 등. <시섬문인회> <현대향가> 활동
펼치기
이영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금산에서 태어났다. 덕성여대 도서관학과를 졸업했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91년 『현대시』로 등단하였으며, 시집으로 『망미리에서』 『죽청리 흰 염소』 『부처님 소나무』 『천장지구』 『저 별들의 시집』 『오방색, 주역 시』 『시간의 만화경』이 있다. 2009년 한국시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향가시회’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김현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 창원 출생. 동국대 문예대학원 문예창작과. 1988년 『월간문학』 신인상 수상으로 등단. 시집 『연어 일기』 『꿈꾸는 흙』 『그늘 한 평』 『포아풀을 위하여』 『풀섶에 서면 내가 더 잘 보인다』 『은빛 눈새』 등, 포토에세이 『취우산에서 10년, 그리고 1년』. 동국문학상, 시인들이 뽑는 시인상 수상. 한국문인협회 우리말 가꾸기 위원회 위원, 국제PEN, 한국시인협회 회원. <유유> <현대향가> 동인
펼치기
이용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예산 출생. 동국대, KAIST, 시라큐스대 졸업(컴퓨터과학 박사). 2019년 『문학과 창작』으로 등단. 시집 『너는 누구냐』. <현대향가> 동인. 현재 동국대학교 교수.
펼치기
이용하의 다른 책 >
유소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8년 〈현대향가〉로 작품활동 시작. 2020년 동국대학교 철학박사 학위 취득(불교학 전공). 현재 LREC교육・연구 디렉터 & Music 테라피스트
펼치기

책속에서

봄눈에 아린 꽃눈을 내밀어 본 곳
그 역에 내린 지 이십여 년 삼삼오오 앉아서
지나온 철길과 역들의 모래바람을 토해 내던 곳
태풍에 떠밀려서 뒷걸음칠 때에
빠르게 떠나가는 기적소리에 하루를 베이던 곳
무연憮然히 주저앉았다가 다시 행성들을 따라 항해하려던,
아으, 그 역이 지구에서 영영 사라지다니
한 량輛의 나의 정신은 어느 역까지 가야 하나요?
― 정복선, 「그 역驛이 사라지다」 전문


흔들의자를 산다
세상이 나를 흔들기 전에
내가 먼저 나를 흔들기 위해
골목 칼바람이 내 자만심을 꺾기 전에
내가 먼저 내 자만심을 꺾어 버리고
해안 파도가 내 오만을 상처 내기 전에
내가 먼저 내 오만의 미소를 할퀸다
살기 위해서 살아남기 위해서
아아, 내가 먼저 내 꿈을 흔들어야 한다
밤을 밀치고 떠오르는 태양이 내 꿈을 흔들기 전에
― 이창수, 「흔들리는 하루」 전문


내 세상이 극심한 불면증일 땐
운주사 큰 와불 곁에 가 눕고 싶다
그대로 잠들어 나도 바위가 되고 싶다
오랜 시간 함께 풍화되고 침식되면
와불도 나도 얼굴이 다 뭉그러져서
꼭 닮은 채로 나란히 누워 있겠지
미륵은 56억 7천만 년 후 깨어날 것이니
그때 나도 기지개를 켜며 한마디 하겠지
여보, 한숨 푹 자고 나니
이제 좀 살 것 같소.
― 이용하 「운주사 자명종」 전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