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49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0-04-14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_ 19
영문판 서문 _ 23
약어표 _ 26
서론 29
바울 서신과 사도행전의 성격 38
바울 서신: 후속 편지
사도행전: 복음의 메시지와 복음의 진보에 대한 기록
적절한 비교를 향하여 44
사도행전의 저자로서의 누가 47
1장 필하우어와 사도행전의 “바울 사상” 55
자연 신학 59
율법 67
율법과 할례에 대한 바울의 태도
바울의 이신칭의 교리
기독론 81
종말론 85
임박한 재림이 서신의 핵심 주제?
바울 서신에 있는 구속사
필하우어의 방법론에 대한 이의 제기 99
결론 105
2장 바울의 전도 설교의 재발견 108
방법론의 문제 110
“상기 형식”과 바울의 전도 메시지 116
고린도에서 전한 설교를 상기시키는 표현들
갈라디아에서 전한 설교를 상기시키는 표현들
데살로니가에서 전한 설교를 상기시키는 표현들
로마와 골로새 교회를 ‘상기’시키는 표현들
바울의 전도 메시지에 대한 요약
사도행전의 바울과 실제 바울의 전도 설교 비교 133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울의 전도 설교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의 상응하는 복음적 주제들
복음 전도자 바울
특정 지역에서 전한 전도 메시지 비교
결론 166
3장 차이점 이해하기 168
누가와 바울이 침묵하는 주제들 169
바울의 유대인적인 특성 묘사 180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 횟수 188
바울과 예루살렘의 관계 193
예루살렘 공회에 대한 묘사
안디옥 사건 때의 관계
동역자의 교환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권 이양
결론 211
4장 “우리-본문”과 바울에 대한 누가의 묘사 215
사도행전 16:10-17의 “우리” 219
사도행전 20:5-21:18의 “우리” 222
“우리-본문” 지역에서의 바울의 사역 229
고린도
데살로니가
빌립보
에베소
결론 236
5장 바울의 생애와 사역에 대한 누가의 묘사 240
바울의 초기 생애 243
바울의 유대인적 배경
회심/소명과 중생 이후의 초기 시절
선교사로서 사도 바울 253
바울의 선교여행
교회 개척자 바울
박해받는 선교사 바울
바울의 동역자들
바울의 특징
결론 278
결론 281
연구의 요약 284
학문적 공헌 291
실천적 적용 295
참고문헌 _ 298
인명 색인 _ 316
성경 색인 _ 320
주제 색인 _ 342
책속에서
서신들과 사도행전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일차적 목적과 범위를 가지고 기록되었다. 바울 서신에서 바울은 목회자이자 신학자로 보여지지만, 사도행전에서는 복음 전도자와 교회 개척자로 부각된다. 따라서 누가가 말하는 바울은 복음 전도 설교자다. 그러므로 바울의 전도 설교에 대한 누가의 기록을 바울 서신에서 (흔히 유대주의자들이 일으킨 동요에 대한 반발로) 제시된 신학적이고 목회적인 가르침과 비교하는 것은, 비록 그 둘이 서로 모순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더라도, 방법론적으로 위험하다.
_서론 중에서
그는 바울의 네 가지 신학적 주제, 즉 자연 신학, 율법, 기독론, 종말론에 대해 누가가 묘사한 내용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이 연구를 진행했다. 그의 결론은 간단명료하다. 사도행전의 바울은 실제 바울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이 주요 주제에 있어서 누가가 구체적으로 바울 신학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1세기 후반의 보편 교회의 교리였던 누가 자신의 신학적 교리를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필하우어는 누가가 그리는 바울과 역사적 바울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강조했다.
_1장 필하우어와 사도행전의 “바울 사상” 중에서
학자들은 바울 서신에서 바울의 전도 설교의 핵심을 재발견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앞으로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그들은 바울의 사상이 훗날 발전했을 수도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나중에 기록된) 서신에서 이러한 설교를 재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어떤 이들은 이런 식으로 바울의 전도 설교를 재발견하려는 시도가 방법론적으로 부적절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3 그러므로 우리는 한 가지 대안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그의 서신에서 바울이 첫 선교사역 기간에 회심자들에게 전한 설교와 가르침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해 사용한 상기 형식(reminder formula)을 특별히 유의하여 살핌으로써 바울의 전도 메시지의 본질적인 부분을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_2장 바울의 전도 설교의 재발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