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유학안 역주 1

명유학안 역주 1

황종희 (지은이), 윤상수, 강경현, 이봉규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1,650원
31,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명유학안 역주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유학안 역주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66842399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3-10-13

책 소개

황종희가 명대 리학의 역사를 서술하기 위해 지은 책이 바로 『명유학안』이다. 전체 유학의 역사에서 명대 리학이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으며, 그 명대 리학의 정통이 왕수인, 유종주로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려야 한다는 사명감, 그리고 그러한 명대 유학의 역사를 서술하는 일은 유종주의 후계자인 자신이야말로 가장 적임자라는 자부심이 황종희로 하여금 이 책을 저술하게 하였다.

목차

□ 간행사_ 5
□ 범례_ 16
□ 해 제(윤상수)_ 17
^^
서 序 •윤상수
정성의 서鄭性序 51
황천추의 발黃千秋跋 54
풍전해의 발馮全垓跋 56
우준의 서于準序 59
구조오의 서仇兆鰲序 63
명유학안서明儒學案序 68
명유학안서(원서)明儒學案序(原序) 74
가윤의 서賈潤序 80
가박의 발賈樸跋 84
가념조의 발賈念祖跋 87
막진의 서莫晉序 89
명유학안발범明儒學案發凡 95
^^
사설 師說 •윤상수^^
정학 방효유方正學孝孺 103
월천 조단曹月川端 107
경헌 설선薛敬軒瑄 110
강재 오여필吳康齋與弼 112
잉부 진진성陳剩夫眞晟 116
소천 주혜周小泉蕙 117
백사 진헌장陳白沙獻章 119
극암 진선陳克菴選 122
일봉 나륜羅一峯倫 123
허재 채청蔡虛齋淸 126
양명 왕수인王陽明守仁 128
동곽 추수익鄒東廓守益 133
용계 왕기王龍溪畿 135
정암 나흠순羅整菴欽順 139
경야 여남呂涇野柟 147
운포 맹화리•아강 맹추•양화 장원변 孟雲浦化鯉•孟我疆秋•張陽和元忭 149
염암 나홍선•대주 조정길•당남 왕시괴•정우 등이찬 羅念菴洪先•趙大洲貞吉•王塘南時槐•鄧定宇以讚 152
근계 나여방羅近溪汝芳 155
견라 이재李見羅材 157
경암 허부원許敬菴孚遠 159
^^
명유학안 권1, 숭인학안 1 明儒學案 卷一, 崇仁學案一 •강경현^^
빙군 강재 오여필 선생聘君吳康齋先生與弼 163
^^
명유학안 권2, 숭인학안 2 明儒學案 卷二, 崇仁學案二 •윤상수^^
문경 경재 호거인 선생文敬胡敬齋先生居仁 217
교유 일재 누량 선생敎諭婁一齋先生諒 274
서산 사복 선생謝西山先生復 282
공명 정항 선생鄭孔明先生伉 284
봉의 호구소 선생胡鳳儀先生九韶 286
^^
명유학안 권3, 숭인학안 3 明儒學案 卷三, 崇仁學案三 •이봉규^^
공간 장거 위교 선생恭簡魏莊渠先生校 291
시랑 인재 여우 선생侍郞余訒齋先生祐 347
^^
명유학안 권4, 숭인학안 4 明儒學案 卷四, 崇仁學案四 •이봉규^^
태복 동암 하상박 선생太僕夏東巖先生尙朴 355
광문 옥재 반윤 선생廣文潘玉齋先生潤 395

□ 인명•개념어•서명/편명 색인_ 397

저자소개

황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명말청초(明末淸初)의 학자이다. 자는 태충(太沖), 호는 남뢰(南雷) 또는 이주(梨洲)이며, 절강성(浙江省) 여요(餘姚) 사람으로 동림파(東林派) 관료였던 황존소(黃尊素)의 아들이다. 청년 시절 동림의 후예이자 복사(復社)의 명사로서 활약하며 정치 운동에도 참가하였고, 청(淸)나라 군대가 남하하자 의용군을 조직하여 저항하였다. 명조(明朝) 회복의 희망이 사라진 뒤에는 학문과 저술에 전념하며 청조(淸朝)의 부름을 거절하고 명(明)의 유로(遺老)로서 일생을 마쳤다. 스승인 유종주(劉宗周)를 통해 양명학(陽明學)의 온건한 측면을 계승하고 관념적인 심학(心學)의 횡류(橫流)를 비판하였으며, 경세(經世)를 위한 경학(經學)과 사학(史學)을 제창하여 청대 고증학의 형성에 기여하였다. 저술로는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 『명유학안(明儒學案)』, 『역학상수론(易學象數論)』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봉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로 『다산 정약용 연구』(공저), 『서학의 충격과 접변』(공저), 『이황』 등이 있고, 논문으로 「인륜: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동서의 지적 交錯: 『천주실의』의 理 해석과 그 반향」, 「초기 실학 연구의 학술사적 의의」 등이 있다.
펼치기
강경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유가철학이다. 논문으로 「퇴계 이황의 리(理)에 대한 해석의 갈래」(2017), 「조선시대 <명유학안> 독해 양상과 그 성격」(2017), 「조선시대 經筵에서 <尙書> 강독의 의미」(2022) 등이 있고, 저서로 <퇴계 이황의 리(理) 철학: 지선(至善) 실현과 자기완성>(2022)이 있다.
펼치기
윤상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인하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송대(宋代) 이후의 유학사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科挙の学から経史の学へ—黄宗羲からみた明末清初の学術転換の一様相」(박사논문, 2011), 「거업(擧業)을 통해 본 명말(明末)의 과거와 학문」(2011), 「청대 고증학의 개조 황종희」(2012), 「『명유학안(明儒學案)』의 양명학관(陽明學觀) 재고」(2012), 「전후 일본의 송명유학 연구에 대하여」(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여필吳與弼은 자가 자부子傅이고 호는 강재康齋이며 무주撫州의 숭인崇仁 사람이다. 부친은 국자사업國子司業 오부吳溥이다. 선생이 태어날 때 조부의 꿈에서 선조의 묘에 등나무가 얽혀 있는데 한 노인이 그것을 가리켜 반원?轅의 등나무라고 하였으므로, 초명은 몽상夢祥이었다. 8~9세에 이미 기개를 자부하였다. 19세에【영락연간 기축년(1409)이다.】 도성【금릉金陵이다.】에서 부친을 뵈었다. 세마洗馬 문정文定 양부楊溥를 따라 배우며 『이락연원록』을 읽고는 개연히 도에 뜻을 두고 말하기를 “정백순程伯淳(明道 程顥)도 사냥하는 것을 보고 기뻐하는 마음이 들었으니, 곧 성현도 보통 사람이나 마찬가지임을 알겠다. 누가 배워서 이를 수 없다고 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제학提學 이령李齡과 종성鍾城이 연달아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맡아 달라고 청하였고, 제생諸生도 귀계貴溪의 동원서원桐源書院에서 강학해 달라고 청하였다. 회왕淮王이 그의 소문을 듣고 왕부王府에서 『역易』을 강의해 달라고 청하였다. 왕이 그의 시문을 출판하려 하자 선생은 사양하면서 “아직 조금 더 진보할 필요가 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선생은 근엄하고 굳세고 청빈하였으며, 매사에 법도를 따랐다. 매일매일 반드시 공부의 계획을 세우고 잘한 일과 잘못한 일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스스로 반성하였다. 아무리 하찮은 물건이라도 자세하게 구별하여 죽을 때까지 뒤섞어 놓고 같이 사용하지 않았다.


거업록

“고요한 가운데에 무언가가 있다[靜中有物].”는 것은 단지 언제나 잡아서 지키고 주재하는 것이 있다는 말이니, (이것을 안다면) 공허하고 적막하거나 어둡고 막힐 근심이 없을 것이다.

마음을 잃어 버렸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은 그래도 좋은 일이다. 곧바로 일깨우고 수렴하여 다시 도망가지 않게 (하면 되니, 이것이) 바로 경을 위주로 하여 마음을 보존하는[主敬存心] 공부이다. 만약 마음을 둘 곳을 모른다면 망막하고 아득할 것이니, 이렇다면 무슨 공부를 하겠는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