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

홍신자, 베르너 사세, 김혜나 (지은이)
판미동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7052569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5-03-12

책 소개

20세기 한국을 대표하는 아방가르드 무용가 홍신자, 그의 남편이자 독일 최초의 한국학자이며 함부르크대학 명예교수인 베르너 사세, 그리고 ‘오늘의 작가상’과 ‘수림문학상’을 수상한 젊은 소설가 김혜나. 세 사람이 인도 오로빌에서 만나 삶과 명상, 사랑과 관계에 대해 대화하며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해 가는 여정을 담은 책이 출간되었다.

목차

오로빌에서 온 편지 - 7
우리의 삶 자체가 꿈이다

출발, 불안한 시작 - 17
배가 항구에 정박 중일 때는 아무런 위험이 없다

도착, 시간을 너머 - 23
다른 공간이 아니라 다른 시간이 존재하는 곳

오로빌로 가는 길 - 28
진짜 나로 존재할 수 있을까

내 이름을 부르면 - 33
우리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을까

만남 - 38
오로빌 마을에서 만난 홍신자 그리고 베르너 사세

저녁식사와 명상 - 43
한 끼의 식사가 명상이 된다

나눔 vs 소비 - 50
돈을 벌고 쓴다는 것의 의미

일상의 명상 - 62
슈퍼마켓에서 명상을

삶과 일의 균형 - 70
하고 싶은 일, 그러나 해야 할 일을 만날 때

강요된 욕망과 본질 - 80
모든 것을 비웠을 때 채워진다

오로빌에서의 아침 – 91
숨겨 둔 마음이 깨어나는 시간

연애에 대하여 - 98
가슴을 열어야 사랑할 수 있다

결혼에 대하여 - 110
결혼은 잘 맞는 음식과 같다

결혼에 대하여 2 - 117
자유보다 복종이 더 좋은 이유

자유에 대하여 - 127
남을 의식하는 시선 밖에는 자유가 있다

헤어짐에 대하여 - 134
쉬운 결합은 있어도 쉬운 이별은 없다

한국인의 밥과 옷 - 145
밖에서 안을 바라본다는 것

‘사람’ 자체로 하나가 되는 마을 - 158
세상이 붙인 꼬리표를 떼고 살아가는 곳

물 명상 - 169
물속에서 만난 존재의 어머니

진화 - 177
내 안의 내적인 혁명을 깨트리는 에너지

오로빌에서의 삶 - 190
삶은 진화의 영역으로 가기 위한 과정

비움에 대하여 - 197
놓아 버리는 것이 잃어버리는 것은 아니다

나를 공격하는 사람들 - 205
악한 존재가 아닌 약한 존재

진흙 속의 연꽃 - 211
세계를 바라보는 긍정적인 시선

꿈에 대하여 - 223
자신의 상황을 마주하고 꿈을 좇아야 한다

두려움에 대하여 - 229
두려움의 실체를 먼저 파악하라

죽음에 대하여 - 237
인간의 존재는 죽어도 살아 있다

내면의 언어 - 246
고양이 명상, 말이 없는 대화하기

떠나는 날 - 252
진정한 내가 되기 위한 준비

그리고 서울 - 256
절망하는 순간에 더 큰 희망이 떠오른다

주 - 260
참고 및 인용 도서 - 262

저자소개

홍신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방가르드 무용가. 명상가. 1940년 충남에서 태어났다. 대학 졸업 후 미국으로 건너가 무용계에 입문, 1973년 「제례」를 발표하여 《뉴욕타임스》의 호평을 받았다. 이후 인도로 떠나 수행의 길을 걸었으며, 3년 만에 무용계로 복귀하여 존 케이지, 마가렛 렝 탄, 백남준 등 세계적인 예술가들과 협업했다. 2010년 독일인 한국학자 베르너 사세와 결혼했고, 현재까지 자유로운 영혼의 몸짓을 춤으로 표현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자유를 위한 변명』(중국, 일본 번역 출간), 『나도 너에게 자유를 주고 싶다』, 『생의 마지막 날까지』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설가. 1982년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고, 청주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공부했다. 2010년, 꿈 없는 청춘의 자화상을 그린 소설 『제리』로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집필 활동과 더불어 요가 강사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소설집 『청귤』 『깊은숨』, 중편소설 『그랑 주떼』, 장편소설 『제리』 『정크』 『나의 골드스타 전화기』 『차문디 언덕에서 우리는』, 에세이 『나를 숨 쉬게 하는 것들』 『술 맛 멋』 등이 있다. 수림문학상을 받았다.
펼치기
베르너 사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자. 함부르크대학교 명예교수. 1941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다. 1966년부터 4년간 전라남도 나주와 서울에 살면서 한국 문화를 접했다. 이후 독일 보훔대학교에 입학, ‘계림유사에 나타난 고려방언’ 연구로 당시 서독 최초로 한국학 박사가 되었다. 독일 보훔대학교와 함부르크대학교에 한국학과를 개설했으며, 은퇴 후에는 한양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을 가르쳤다. 『월인천강지곡』을 독일어로, 『동국세시기』를 영어로 옮겼고, 『민낯이 예쁜 코리안』을 썼다. 제13회 이미륵상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삶에는 반드시 부서졌으면 하는 것과 절대로 부서지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 공존한다. 나는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나’라는 사람에 대해서 떠올려 보았다. (…)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하지 못한 ‘나’를 견딜 수가 없었다. 이러한 ‘나’가 제발 부서지기를, 모두 부서져 하나도 남아 있지 않기를 간절히 바랐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나’라는 존재가 부서지는 것이, 무너지는 것이, 망가지는 것이 너무나 두려웠다. 이제까지 내가 지켜 온 것, 일으켜 세워 온 것들이 한꺼번에 무너질까 봐 겁이 났다. 그래서 나는 늘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 하면서 어디로도 떠나지 못하는 불안한 삶의 한가운데 놓여 있었다.


오로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집을 사거나 파는지에 대해 묻자 선생님은 오로빌에서는 집을 팔고 사는 개념은 외부 세계와 다르다고 했다. 오로빌은 인도 정부에서 준 땅에 기초하고 있고, 그 땅은 오로빌 재단의 소유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오로빌에서 집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은 소유자가 아니라 관리자(Steward)로 이름한다. 집을 팔고 사는 것을 개인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 서비스와 커뮤니티가 개입하여 결정한다. 그래서 집을 사는 데 내는 돈을 컨트리뷰션(Contribution, 기여금)이라고 한다. 그래서 살다가 오로빌을 떠나는 경우에 이 집은 오로빌에 귀속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0525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