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천막부터 팝업 스토어까지)

함성호, 김영민, 송하엽, 조현정, 정다영, 최춘웅, 소현수, 조수진, 이수연, 김희정, 최장원 (지은이), 파레르곤 포럼
홍시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200원 -10% 560원 9,520원 >

책 이미지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천막부터 팝업 스토어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8619814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5-12-30

책 소개

천막부터 누정, 현대미술에서 팝업 스토어까지 다양성과 깊은 역사성을 지닌 파빌리온을 재발견하는 흥미로운 책이다. 파빌리온의 문화사, 이 땅의 파빌리온 역사, 건축, 미술, 디자인계의 핫이슈가 된 오늘의 파빌리온까지 거의 모든 면을 이야기한다.

목차

프롤로그: 파빌리온은 도시의 작은 랜드마크다
o 파빌리온, 도시를 바꾸다
o 도시의 숨구멍과 같은 파빌리온

1부. 역사의 파빌리온: 잊혀진 기억과 정신

1. 황제의 파빌리온부터 은둔자의 오두막까지
o 파빌리온은 보자기다
o 파빌리온과 정원
o 알렉산더의 텐트와 교황의 캐노피
o 베르니니의 발다키노
o 상여
o 중세부터 파빌리온으로 불리우다
o 신비주의의 오두막
o 파빌리온은 썸타는 곳?

2. 폴리: 욕망의 피신처에서 저항의 매개체로
o 폴리
o 사랑의 신전
o 작은 집
o 건축적 가설, 욕망에서 저항으로
o 가장자리 건축
o 임시건축
o 구호건축
o 저항의 매개체

2부. 우리의 파빌리온: 파빌리온과 문화

3. 누정의 역설: 무위의 경계에서 인위를 얻다
o 파빌리온과 누정
o 출처사은出處仕隱, 선비의 삶
o 누정에 담긴 은일隱逸 문화
o 두 가지 자연과 정원
o 누정에 앉아 무위無爲를 통해 인위人爲를 취하다
o 낙화落華, 선비 문화가 지다

4. 가건물의 시대: 판자촌에서 모델하우스까지
o 우리 사회의 숨은 파빌리온을 찾아서
o 생존을 위한 저항, 판자촌
o 이동시청, 가건물 처리를 위한 가건물
o 불시착한 문화의 창발 기지, 쿤스트디스코
o 진화하는 모델하우스
o 가건물은 깊다

5. 기억의 場: 中의 공간, 空의 가능성
o 역사가 아니라 기억이다
o '기억의 장'으로서의 광주폴리
o 비장소성 - 圖可圖非常圖 design is design is not design

3부. 진화하는 파빌리온: 이벤트에서 성찰로

6. 만국박람회와 파빌리온
o 파빌리온, 나비 같은 건축을 꿈꾸며
o 런던 만국박람회의 수정궁, 철과 유리의 하이테크 궁전
o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모더니즘의 건축의 정전
o 필립스 파빌리온, 건축의 한계를 넘어서
o 대한제국관, 파리에 세워진 근정전
o 오사카 만국박람회의 한국관, 현대적인 파빌리온으로 미래를 겨루다
o 박람회의 쇠퇴와 파빌리온의 변용

7. 미술과 파빌리온: 마주하는 경계
o 마주하는 경계
o 기억으로서의 장소
o 일상의 개입
o 파빌리온에서 관계 맺기
o 심리적인 파빌리온
o 공감각의 파빌리온
o 사회를 읽는 소프트웨어로서의 파빌리온
o 제3의 매체로서의 파빌리온
o 경계의 밖을 소환하는 파빌리온

8. 파빌리온에 비친 시대의 자화상
o 21세기형 파빌리온 태동,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o 브랜딩 건축, 이미지 메이커로서 파빌리온
o 지역을 알리는 건축에서 지역 속 건축으로
o 젊은 건축가의 파빌리온
o 임시거처를 위한 건축
o 빛을 발산하는 건축에서 어둠을 발견하는 건축으로

에필로그. 도시에 저항하는 돈키호테
o 파빌리온은 도시에 착생한다
o 파빌리온은 도시에 새 옷을 입힌다

저자소개

함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문학과사회』 여름호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이듬해 1991년에는 『공간』 건축 평론 신인상을 받았다. 시집으로 『56억 7천만 년의 고독』, 『聖 타즈마할』, 『너무 아름다운 병』, 『키르티무카』, 『타지 않는 혀』가 있으며, 티베트 기행 산문집 『허무의 기록』, 만화 비평집 『만화당 인생』, 건축 평론집 『건축의 스트레스』, 『당신을 위해 지은 집』, 『철학으로 읽는 옛집』, 『반하는 건축』, 『아무것도 하지 않는 즐거움』을 썼다. 현대시작품상(2001년)을 수상했다.
펼치기
함성호의 다른 책 >
김영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기초컴퓨터설계, 정원 및 외부공간 설계스튜디오, 조경창의융합설계, 도시공간문화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송하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축설계와 현장실무 경험을 쌓았다. 이후 미시간 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2세기 건축, 21세기 건축으로 미래를 보다』 『랜드마크; 도시들 경쟁하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공저)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공저)을 쓰고, 『표면으로 읽는 건축』을 우리말로 옮겼다. 주요 디자인 작품으로 <U_GROWING PARK> <바람 같은 돌>이 있으며, 2014~2016년 서울건축문화제에서 <담박소쇄노들: 여름건축학교> <한강감정: 한강건축상상전> <한강힌트: 한국건축상상전>을 기획했다. 현재 중앙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공예박물관 설계>(2021년 7월 개관 예정) <수상레포츠통합센터 설계> 등을 작업하였다.
펼치기
조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디지털 인문사회과학부에서 건축사와 미술사를 가르치고 있다.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학(USC)에서 일본 현대건축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세기 일본과 한국 건축, 건축과 미술의 협업, 디지털 시대의 건축 등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전후일본건축』이 있고, 공저로 『김중업 다이얼로그』,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The Urbanism of Metabolism: Visions, Scenarios and Models for the Mutant City of Tomorrow』, 『Interpreting Modernism in Korean Art: Fluidity and Fragmentation』 등이 있다.
펼치기
조현정의 다른 책 >
최춘웅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건축문화연구실을 이끌고 있다. 건축 유산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복원 및 재생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큐레이터와의 협업으로 광주비엔날레, 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 등 전시 공간 디자인에 참여했고, 아티스트와의 협업으로 ‹상하농원과 소행정 G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독립적으로는 기무사, 문화역서울, 그리고 일민미술관에서 그룹전에 참여했다.
펼치기
소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기초설계, 동·서양조경문화론, 한국조경사, 환경계획연구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조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안건축연구실 연구원 조수진은 중앙대학교 건축학부를 졸업하고 친환경 건축 관련 실무 경험을 쌓은 후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파빌리온을 일종의 설치건축의 영역에서 바라본 <인스톨레이션 건축: 시간성, 유연성, 윤리성의 특징에 대한 연구Installation Architectur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imeness, Flexibility, Ethicality> 논문으로 건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건축과 대중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여러 연구 및 전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일상 공간에 설치되는 건축 형태에 관심이 많다. 설치건축, 랜드마크 등을 주제로 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이수연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였다. 사무소SAMUSO를 거쳐 2008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였다. 2015년부터 코넬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에 합류하여 동시대 미디어 아트와 영화, 퍼포먼스 등 예술 외연의 확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 미디어 소장품 전시 <조용한 행성의 바깥>에 이어 2011년 <청계천 프로젝트>, <소통의 기술: 안리살라, 함양아, 필립 파레노, 호르헤 파르도>, 2012년 영국 헤이워드 갤러리와 함께 진행한 퍼포먼스 전시 <MOVE> 및 2013년 3개년 독일?한국 간 국제예술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마련된 전시 <Korea-NRW 예술 교류 전시>를 기획하였다.
펼치기
김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CAC 공동 디렉터이자 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다. 동시대 건축가들의 역할과 활동, 건축을 표현하는 매체와 작업 방식에 관심을 갖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코디네이터(2015-2017), 2018년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한국관 부 큐레이터를 지냈다. 서울시립사진미술관 학예연구사(2019-2024)로 재직하며 건립 관련 다양한 학예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공동 저서로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가 있다.
펼치기
최장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사무소 건축농장 소장 최장원은 중앙대학교 건축학과와 컬럼비아 건축대학원을 졸업하고 2013년에 건축사무소 건축농장을 설립하여 디자인과 예술 분야에서 건축과의 소통방식을 탐구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뉴욕현대미술관, 현대카드가 공동주최한 ‘젊은건축가프로그램’ 첫번째 당선 작가(프로젝트 팀 문지방)로 선정되어 ‘신선놀음’(2014)이라는 파빌리온을 선보였다. 광화문 광장에 난민주간을 기념하기 위한 <점들의 이야기 축제>(2013)를 제안했으며, <재료의 건축/건축의 재료>(금호미술관, 2015)전에 파빌리온 작가로 참여했으며 <이영희 바람: 바램>(동대문디자인플라자, 2015)전 공간기획을 맡았다. <주말예술농장> 프로젝트로 2015 김수근건축상 프리뷰상과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15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건축부문>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파레르곤 포럼 (기획)    정보 더보기
파레르곤parergon 포럼은 ‘주변부’를 뜻하는 이름대로 대안적인 건축 활동을 모색하는 학자, 건축가, 큐레이터가 모인 연구 모임이다. 건축의 영역을 확장하는 매체와 이야기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주류 건축의 대안으로서 파빌리온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도시의 결핍을 채우고, 매개자의 역할을 하는 이 작고도 약한 장소의 가능성을 찾아보고 싶었다. 그리고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이 내용을 논의하기 위해 건축, 미술, 조경 분야의 전문가 여러분을 초대해 이 책을 기획하고 함께 쓰기로 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198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