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불평등 2016

한국의 불평등 2016

장지연, 전병유, 정준호, 강병익, 황규성 (지은이), 한신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기획)
페이퍼로드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000원 -10% 450원 7,650원 >

책 이미지

한국의 불평등 2016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불평등 2016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9118625630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6-06-29

책 소개

한국의 불평등 문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소득, 자산, 교육, 지역 등 4개 분야로 나누어 불평등의 실태와 원인을 드러내고 제도와 정책, 그리고 정치의 시각에서 불평등 문제를 입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했다.

목차

『한국의 불평등 2016』을 펴내며 …5

제 1장 소득불평등
소득불평등 수준 …15
소득원(요소)별 불평등 추이 …20
근로소득 불평등 추이에 대한 설명 …27
최근의 불평등 추세가 주는 함의 …30

제 2장 자산불평등
자산에 대한 정의와 조사 현황 …43
자산불평등의 국제 비교 …46
한국의 자산불평등 추이 …49
자산의 구성 …54
자산과 부채 …57

제 3장 교육불평등
한국의 교육불평등 구조 …79
교육기회와 학업성취도 …81
진학과 사회진출 …88
사회경제적 지위의 세대 간 재생산 …93

제 4장 지역불평등
지역 간 소득격차: 그 추세와 요인 …103
지역 간 소득격차의 추이 …105
지역 간 소득격차의 요인 …118
지역별 노동소득분배율의 산정과 그 추이 …121
지역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 …131

제 5장 사회안전망과 조세의 재분배기능
사회보험 가입비율 …143
소득분위별 사회보험 가입비율 …147
조세의 재분배기능 …158

제 6장 정치불평등: 선거제도의 불비례성
한국 선거제도: 비례성과 대표성의 제고 …174
조세부담률과 선거제도의 비례성 …185
여성국회의원의 비율과 선거제도의 비례성 …186
참고문헌 …195

색인 …201
필자소개 …203

저자소개

장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사회학을 전공했고, 주된 관심 분야는 소득 불평등, 복지국가, 일과 생활의 균형이다. 지은 책으로 《경제적 불평등과 노동시장연구》(2013, 공저), 《어떤 복지국가인가?》(2013, 공저), 《OECD 주요국의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2012, 공저), 《노동시장 구조와 사회보장체계의 정합성》(2011,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박사. 국민경제자문회의 수석전문위원과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을 역임했다. 주로 산업(혁신)정책, 지역 정책, 그리고 부동산 시장 및 자산 및 소득 불평등을 아우르며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불화와 공존』(2016, 공저), 『뉴노멀』(2017, 공저), 『우리는 복지국가로 간다』(2020, 공저), 『한국의 불평등』(2022,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준호의 다른 책 >
강병익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재)민주연구원 사회정책 담당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한국 정당의 복지정치 유형: ‘정책역량’과 ‘동원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의 조세담론 정치: 세금폭탄론과 부자감세론을 중심으로」(공저) 등이 있으며, 「다중격차: 한국 사회 불평등구조」와 「다중격차II: 역사와 구조」를 여러 사람과 함께 썼다.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대학원에서 한국 정당의 복지정치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한신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다중격차의 재생산 구조와 사회정치적 의제화”와 “다중격차 시대의 사회적 균열과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대주제로 한국의 불평등을 꾸준히 연구해 오고 있다. 세계 각국의 불평등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14년에는 옥스퍼드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한 『Changing Inequalities and Societal Impacts in Rich Countries』의 한국 부분인 「Korea: The Great U-Turn in Inequality and the Need for Social Security Provisions」를 집필하였다. 전병유│ 한신대학교 교수(경제학, 연구단장) 신진욱│ 중앙대학교 교수(사회학) 황규성│ 한신대학교 연구교수(정치학) 이철승│ 시카고대학교 교수(사회학) 이재경│ 한신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연구원(정치학) 오선영│ 한신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연구원(통계학) 정준호│ 강원대학교 교수(경제지리학) 정세은│ 충남대학교 교수(경제학) 장지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사회학) 강병익│ 한신대학교 연구교수(정치학)
펼치기

책속에서

소득과 자산의 불평등이 조금이나마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매우 다행스런 결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불평등의 완화가 저성장에 기인한 것은 아닐까 라는 또 다른 염려가 엄습한다. 경제적 상황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소득과 자산에서는 사정이 나아지고 있지만, 경제상황과 독립적인 교육이나 제도/정책/정치 영역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은 한국 사회의 불평등이 구조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지도 모른다. 개별 영역에서 수치상으로 불평등이 완화되더라도 국민의 생활 자체가 편안해지지 않는 것은 불평등의 구조 자체에 질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 「『한국의 불평등 2016』을 펴내며」중에서


OECD 국가들은 신용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과잉부채 가구의 대다수는 중산층(2, 3, 4분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우선, 모든 국가에서 부채가구 비중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한다. 소득 하위 5분위의 경우에 부채가구 비율은 1/3, 소득상위 1분위의 경우에 부채가구 비율은 2/3 정도이다. 그러나 한국은 하위 5분위의 경우 부채가구 비율이 40%에 달하고, 상위 5분위는 80%에 달해 전반적으로 높다. 또한, 부채가구 중에서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3 이상인 과잉부채가구의 비율은 OECD 국가들 대부분이 2, 3, 4분위의 중산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한국은 과잉부채가구의 비율이 가처분소득 하위 1, 2분위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하위 1분위의 과잉부채가구 비율이 43.0%에 달하고 하위 2분위의 경우에도 28.6%에 달한다. 이는 한국의 자산-부채 구조가 매우 불안정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자산불평등」에서


절대다수의 학생이 학업성적 향상을 위해 사교육을 받고 있지만 가구의 소득에 따라 사교육비 지출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사교육이 불평등을 낳는 첫 번째 경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에 지출하는 금액이 많아진다. 가계 소비지출 가운데 학원교육에 지출하는 비용은 2003년에 10만 5천 499원에서 2014년에는 17만 7천 65원으로 늘어났다. 그런데 2014년 현재 소득 10분위에 속하는 가구는 36만 2천 590원을, 1분위에 속하는 가구는 1만 9천 840원을 학원교육에 지출하여 소득에 따라 18배의 차이를 보였다.
-「교육불평등」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256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