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89922672
· 쪽수 : 566쪽
· 출판일 : 2025-06-26
책 소개
국내 최초 그림과 함께 읽는 불멸의 영구 보존판!
《월든》은 분주하고 각박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실상 접하기 힘든 자연주의적인 삶을 활자로 담아낸 명고전으로, 오랜 세월 전 세계 독자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아왔다. 특히 이번 출간된 《월든》은 국내 최초 그림과 함께 읽는 불멸의 영구 보존판이자 일러스트 에디션으로 선보인 터라 더욱 뜻깊다고 하겠다. 《월든》이 쓰인 19세기 당시의 미국 사회와 크게 다를 바 없는 오늘, 물질적 성공 추구에 맞물린 이기주의 만연으로 복잡하고 답답하도록 숨 막히는 지금, 이 책을 통해 월든 호숫가에서의 유유자적한 삶을 음미해보자. 소로의 문장을 원본 그대로 살린 이 완역본이 당신을 월든의 대자연으로 온전히 안내해줄 것이다.
평생에 꼭 한 번은 읽어야 할 불멸의 고전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문장을 원본 그대로 음미한다!
국내 최초 그림과 함께 읽는 불멸의 고전 《월든》(일러스트 에디션)은 분주하고 각박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실상 접하기 힘든 자연주의적인 삶을 활자로 담아낸 역작으로, 오랜 세월 전 세계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누구나 문명과 떨어져 생활하는 것을 꿈꾸지만, 실제로 이를 행동에 옮긴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 때문에 《월든》은 ‘자연’과 접하는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 그토록 오래도록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2년 넘는 시간 동안, 외딴곳 호수에 오두막을 짓고 갖가지 동식물과 함께하며 무엇보다 직접 땀 흘려 농사를 지으며 자급자족하는 삶은 상상만으로도 평온해진다. 문명이 가져다주는 편리를 포기하고 자연으로의 회귀를 통해 진정한 생명력을 얻고 삶의 질을 고양해나가는 《월든》의 작가 소로의 모습은 그래서 매력적이다.
《월든》이 쓰인 19세기 당시의 미국 사회는 물질적 성공 추구에 맞물린 이기주의 만연으로 빈부 격차가 가장 심화되었을뿐더러 문명의 발달이라는 미명하에 누구랄 것도 없이 자연 파괴를 당연시했다. 그로부터 오랜 세월이 흐른 지금의 모습도 소로가 ‘자연주의적인 삶’을 선택하고 월든의 호숫가로 떠났던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여전히 복잡하고 답답하도록 숨 막히는 오늘날의 인생 패턴을 잠시 내려놓고, 이 책을 통해 월든 호숫가에서의 유유자적한 삶을 한번 음미해보자. 소로의 문장을 원본 그대로 살린 이 완역본이 당신을 월든의 안락한 대자연으로 온전히 안내해줄 것이다.
우리 삶이 사소한 일들로 낭비되지 않도록, 단순하게 단순하게!
월든의 대자연 속에서 나의 길을 바라보다
일러스트 에디션 《월든》은 자연과의 교감, 노동을 통한 진정한 수확의 기쁨, 생명력이 넘치는 삶, 명상과 산책, 독서, 그리고 고독에 대한 장대한 서사시다. 작가 소로는 말했다.
‘월든 호수는 왕관에 박힌 빛나는 보석과도 같다!’
이런 찬란한 대자연의 월든 호숫가에서 소로는 ‘혼자 외롭고 쓸쓸하게’가 아닌, 고독이라는 좋은 친구와 함께 진정한 홀로살이를 실행에 옮겼다. 그 발자취가 바로 이 책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그렇기에 《월든》은 성실하고 단순하고 순수함으로 회귀한 인간의 모습을 진솔하게 담아낸 역작(力作)인 것이다.
지금부터 소로의 《월든》으로 한바탕 숨을 쉬어보자. 봄부터 겨울까지 월든 호수의 변화무쌍한 모습을 생생히 표현한 《월든》으로 우리의 인생이라는 것을 차분히 들여다보자. 《월든》으로 ‘나에게 허락된 인생, 어떻게 잘 살 것인가?’를 찬찬히 생각해보자. 산이든 들이든 강이든 바다이든 지금 호젓한 곳 그 어딘가로 간절히 떠나고 싶다면, 일단 《월든》부터 펼쳐보자. 가장 안락하고 조용하고 편안한 장소로 가서 《월든》 속 소로와 함께 홀로살이를 시작해보자. 그렇게 명고전 《월든》의 대자연 속에서 나의 길을 통찰해보자.
목차
경제
나는 어디서, 무엇을 위해 살았는가
독서
소리들
고독
방문객들
콩밭
마을
호숫가
베이커 농장
더 존귀한 법칙들
동물 이웃들
난방
과거의 거주민들, 그리고 겨울의 방문객들
겨울 동물들
월든 호수의 겨울
봄
맺는말
옮긴이의 말
Image Credits
작가에 대하여
리뷰
책속에서
나는 사람이 가축의 주인이 아니며 가축이 사람의 주인이고, 가축이 사람보다 훨씬 자유롭게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사람과 소는 필요한 일을 서로 주고받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일들만 생각해보면, 오히려 소가 더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 같다. 소들이 사는 농장이 훨씬 더 방대하지 가 일해준 대가로 6개월 동안 소가 먹을 여물을 만들어야 하고, 이는 굉장히 힘든 일이다. 모든 부분에서 소박한 삶을 영위하는 나라, 즉 철학자들이 사는 나라에서는 동물의 노동력을 함부로 이용하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창문 아래로는 갓 자라나는 나무들이 있었고, 옻나무와 검은딸기의 덩굴이 지하실까지 길게 뿌리를 드리우고 있었다. 소나무 가지가 어찌나 무성한지 지붕널까지 파고들 정도였고, 세찬 강풍이 불어오면 날아갈 석탄 통이나 차일도 없었다. 그 대신 바람에 부러지거나 뿌리가 뽑힌 소나무는 땔감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폭설이 내린다고 해도 앞마당까지 길이 막히는 일도 없었다. 내 집에는 대문도 앞마당도 없었으니까. 문명 세계로 향하는 길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평범한 농부의 문 앞에서 유유히 헤엄치는 오리들의 물웅덩이와는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깨끗하다! 이곳에는 깨끗한 야생 오리가 호수를 찾아온다. 우리는 자연의 품에 살면서도 자연에 감사할 줄을 모른다. 깃털을 가진 새들은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하면서 꽃들과 조화를 이루지만 자연의 야생적이고 풍요로운 아름다움과 하나가 되려고 노력하는 젊은 남녀는 어디 있는가? 자연은 인간이 사는 도시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살 때만 가장 아름다운 꽃을 피울 수 있다. 천상에 대해 떠드는 것! 그건 땅을 욕보이는 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