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9089391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막북행정록 서漠北行程錄序 | 8월 5일 신해辛亥 | 8월 6일 임자壬子 | 8월 7일 계축癸丑 | 8월 8일 갑인甲寅 | 8월 9일 을묘乙卯
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
8월 9일 을묘乙卯 | 8월 10일 병진丙辰 | 8월 11일 정사丁巳 | 8월 12일 무오戊午 | 8월 13일 기미己未 | 8월 14일 경신庚申
환연도중록還燕道中錄
8월 15일 신유辛酉 | 8월 16일 임술壬戌 | 8월 17일 계해癸亥 | 8월 18일 갑자甲子 | 8월 19일 을축乙丑 | 8월 20일 병인丙寅 | 옥갑야화玉匣夜話 | 허생전許生傳 | 허생 뒷이야기[許生後識] Ⅰ | 허생 뒷이야기[許生後識] Ⅱ
책속에서
청나라가 천하를 통일하고는 비로소 열하라 했는데, 참으로 만리장성 밖의 요충지다. 강희황제(청나라의 제4대 황제. 묘호는 성조. 재위 1662~1722) 때부터 늘 여름이면 이곳에 거둥하여 더위를 피했다. 그의 궁전들은 채색이나 장식이 없었고, 피서산장이라고 불렸다. 이곳에서 책을 읽고 때로는 숲과 냇물 가를 거닐며 천하의 일을 다 잊고는 평민으로 지내겠다는 뜻이 담긴 듯하다.
그러나 실상은 북쪽 변경 깊숙한 곳으로, 매우 험한 요새여서 몽골의 숨통을 죄는 곳이다. 그래서 이름은 비록 ‘피서避暑’라 붙였으나, 실제로는 천자 스스로 북쪽 오랑캐를 막겠다는 속셈이다. 이는 마치 원나라 때 해마다 풀이 푸르면 수도를 떠났다가, 풀이 마르면 남쪽으로 돌아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자가 북쪽 가까이 머무르면서 자주 거둥을 하면 북방의 모든 오랑캐가 함부로 남쪽으로 내려와 말을 방목하지 못한다. 그래서 천자의 순행 시기를 늘 풀이 푸르고 마른 상태로 정했으니, 피서라는 명칭도 이를 가리키는 것이다. 올봄에도 황제가 남방을 순행했다가 바로 북쪽 열하로 돌아왔다.
다시 북녘으로 눈을 돌려 멀리 하늘가를 바라보니 두 눈이 별안간 어지러워진다. 먼 하늘에 금빛 건물이 아스라이 들어와 번쩍여 제대로 바라볼 수 없기 때문이다. 강에는 거의 일 리里나 되는 다리가 놓여 있는데, 난간을 꾸민 단청이 울긋불긋하다. 몇 사람이 그 위로 다니는 모습이 아련히 그림 같다. 이 다리를 건너려고 하는데, 모래 위로 사람이 급히 오면서 손을 휘젓는 품이 건너지 말라는 것 같다. … 사신과 당번 역관은 궁궐에서 바로 온 까닭에 내게 미처 알리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여기고 있었는데, 내가 갑자기 나타나자 모두들 내게 구경벽이 심하다고 놀린다.
연경에서도 숲 사이로 자주·다홍·초록·파랑 등 여러 빛깔의 기와로 이은 집이 보이고, 더러는 정자 꼭대기에 금빛 호리병을 세운 것은 보았으나, 지붕 위에 금기와를 올린 것은 처음 본다. 이 전각에 올린 기와가 순금인지 도금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 층 대전이 둘, 다락이 하나, 문이 셋 모두 금기와다. 나머지 정자는 여러 빛깔의 유리기와인데, 금기와에 비하면 보잘것없다.